|
|
[중앙통신뉴스=박종하 기자]학벌없는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이하 학벌없는사회)은 23일 보도자료를 통해 광주광역시가 ‘남도학숙의 입사자 선발 시 신입생 성적평가를 폐지하고, 사회적배려대상자의 입사문턱을 대폭 낮추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개선안’을 확정한 것에 대해 환영한다고 밝혔다. 이번 개선안에 따르면, 내년부터 신입생은 고등학교 성적평가가 완전 폐지되고, 재학생은 대학교 성적 반영 비율을 50%에서 30%로 대폭 축소되며, 사회적배려대상자 범위도 현재 국민기초생활보장수급자 등 5개 분야에 차상위계층, 한부모가족, 소년소녀가정, 조손가정, 아동복지시설 보호학생, 북한이탈주민, 특별재난지역주민 등 7개 분야를 추가해 가점이 부여된다. 학벌없는사회는 이번 개선안은 올해 2월 학벌없는사회가 제안하고, 시민단체 관계자·남도학숙 입사생·전문가·광주시․전남도 공무원으로 구성된 남도학숙 입사기준 개선 T/F팀이 논의하여 만든 결과물로, 특정대학교 학생 위주로 남도학숙 입사자가 선발되는 현상을 해소할 수 있는 방안이라고 기대된다고 밝혔다. 또, 내년 제2남도학숙 개관으로 입사자가 604명으로 늘어남에 따라, 많은 광주시·전남도 출신 대학생들의 경제적 부담을 줄여, 학교생활과 기숙생활을 보다 편히 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한편, 학벌없는사회는 지난2월 ‘2014~16년 남도학숙 입사자의 출신대학교 현황’을 공개하고, 학업성적을 위주로 입사자를 선발하는 것은 차별이라며 광주광역시 인권옴브즈맨에 진정을 넣었으며, 광주시에 공정하고 합리적인 남도학숙 입사기준 개정을 요구한 바 있다.
중앙통신뉴스 http://ikbc.net/ArticleView.asp?intNum=20522&ASection=001008
“단체장 인기 높이려…정부 방침과 역행”
[일요신문] 광주지역 대다수 자치구와 대기업이 정부의 방침에 역행해 사교육 입시 스타로 알려진 강사를 초빙, 입시 설명회를 열어 논란이 일고 있다. 광주지역 일선 지자체들이 정부 방침과 역행해 사교육 강사들을 초빙해 입시 설명회를 열어 논란이 일고 있다. 사진은 한 입시학원이 마련한 대학입시설명회 모습. 연합뉴스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은 2016년 6월부터 올해까지 광주시와 각 구청의 입시설명회 현황을 분석한 결과 강사 14명 중 10명이 사교육기관 강사였다고 밝혔다. 이번 조사는 해당 기간에 입시설명회를 미실시한 광주시와 광산구, 북구의 사례는 제외됐다.
앞서 교육부는 지난해 6월 '대학 입학설명회 개최 및 운영 안내'라는 제목의 공문을 내려 지자체 주관 입시설명회에 사교육 기관 강사 초빙 지양을 권장했다. 하지만 지자체가 선출직 단체장의 인지도를 높이는 수단으로 입시설명회를 경쟁적으로 개최하면서 공교육 정상화를 추진하는 정부의 방침에 어긋나게 사교육 강사를 초빙하고 있다.
학벌없는사회는 “사교육기관 강사가 입시설명회에 개입한다는 건 입시정보를 전달한다는 순기능과 달리, 사교육 상품을 간접 홍보할 가능성이 크다”면서 “버젓이 지자체가 사교육 상품을 간접 홍보하도록 판을 깔아주는 건 교육의 공공성을 망각한 행위”라고 꼬집었다.
특히 “지자체가 경쟁적으로 개최하는 입시설명회는 공교육 정상화를 추진하는 정부 방침에 어긋나는 측면이 있다”며 “사교육기관 강사 초빙을 지양하라는 교육부의 공문까지 무시했다”고 지적했다.
학벌없는사회는 광주시와 각 구청에 입시설명회를 개최할 때 교육청·대학교육협의회·교육방송(EBS) 등 공교육 관련 기관과 연계해 강사를 선정하고 취업과 진학의 균형 잡힌 교육지원을 해달라고 요구했다. 또 각종 입시설명회 관련 관리·감독 강화와 지자체 입시설명회의 강사 지원 협조 등을 교육부와 광주시교육청에 각각 요구했다.
일선 구청뿐만 아니라 일부 대기업도 사교육 입시 스타로 알려진 강사를 초빙, 입시 설명회를 추진하고 있어 교육의 공공성을 해치는 행위라는 비판이 제기됐다.
롯데백화점 광주점은 오는 30일 입시 전문가인 메가스터디교육 입시전략연구소 A 소장을 강사로 초빙해 2018학년도 수시지원전략 설명회를 열 계획이다. 롯데백화점 광주점은 거금을 들여 A씨를 초빙한 것으로 알려졌다. 롯데백화점 광주점은 "이번 특별강의는 2018년도 입시 설명을 통해 수시 비중이 해마다 증가하는 추세에 발맞추어 변화하는 수시전형에 대한 수험생과 학부모들의 이해를 높이는 계기로 마련하게 됐다"고 말했다.
광주의 한 시민단체 관계자는 “일선 지자체와 대기업이 정부 방침을 무시하고 사교육 강사를 앞다퉈 초빙해 입시설명회를 여는 것은 교육의 공공성을 해치는 행위다”며 ”이는 현 정부의 교육정책과 사회적 분위기와도 어울리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정윤중 기자 ilyo66@ilyo.co.kr
일요뉴스 http://ilyo.co.kr/?ac=article_view&entry_id=254777
(광주=국제뉴스) 류연선 기자 =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이하 학벌없는사회)은 23일 광주광역시가 남도학숙의 입사자 선발 시 신입생 성적평가를 폐지하고, 사회적배려대상자의 입사문턱을 대폭 낮추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개선안을 확정한 것에 대해 적극 환영한다고 밝혔다.
개선안에 따르면, 내년부터 신입생은 고등학교 성적평가가 완전 폐지되고, 재학생은 대학교 성적 반영 비율을 50%에서 30%로 대폭 축소한다.
또한, 사회적배려대상자 범위도 현재 국민기초생활보장수급자 등 5개 분야에 차상위계층, 한부모가족, 소년소녀가정, 조손가정, 아동복지시설 보호학생, 북한이탈주민, 특별재난지역주민 등 7개 분야를 추가해 가점이 부여된다. 이번 개선안은 올해 2월 학벌없는사회가 제안하고, 시민단체 관계자·남도학숙 입사생·전문가·광주시·전남도 공무원으로 구성된 남도학숙 입사기준 개선 T/F팀이 논의하여 만든 결과물로, 특정대학교 학생 위주로 남도학숙 입사자가 선발되는 현상을 해소할 수 있는 방안이라고 기대하고 있다.
더불어 내년 제2남도학숙 개관으로 입사자가 604명으로 늘어남에 따라, 많은 광주시·전남도 출신 대학생들의 경제적 부담을 줄여, 학교생활과 기숙생활을 보다 편히 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학벌없는사회는 지난2월 '2014~16년 남도학숙 입사자의 출신대학교 현황'을 공개하고, 학업성적을 위주로 입사자를 선발하는 것은 차별이라며 광주광역시 인권옴브즈맨에 진정을 넣어, 광주시에 공정하고 합리적인 남도학숙 입사기준 개정을 요구한 바 있다.
국제뉴스 http://www.gukje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733615
【광주=뉴시스】맹대환 기자 = 학벌없는 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이하 학벌없는사회)은 23일 남도학숙 입사자 선발시 성적평가를 폐지하는 등 개선안을 마련한 것에 대해 환영한다고 밝혔다.
학벌없는사회는 그동안 남도학숙이 학업성적 위주로 입사자를 선발하는 것은 차별이라며 공정하고 합리적인 입사기준을 만들어야 한다고 요구해왔다.
이에 따라 광주시와 전남도는 내년부터 신입생은 고등학교 성적평가를 폐지하고 재학생은 대학교 성적 반영 비율을 50%에서 30%로 하향하기로 결정했다.
또 사회적배려 대상자 범위도 차상위계층, 한부모가족, 소년소녀가장, 조손가정, 아동복지시설 보호 학생, 북한이탈주민, 특별재난지역 주민 등 7개 분야를 추가해 가점을 부여한다.
이번 개선안은 올해 2월 학벌없는사회가 제안하고 시민단체, 남도학숙 입사생, 전문가, 광주시, 전남도로 구성된 전담팀이 논의해 만들었다.
mdhnews@newsis.com
뉴시스 http://www.newsis.com/view/?id=NISX20170623_0000021234&cID=10809&pID=10800
신입생 성적평가 폐지, 재학생 성적반영 비율 50%→30%
성적우수자를 우선으로 입사를 할 수 있었던 남도학숙이 선발 기준을 대폭 완화했다.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은 23일 남도학숙 입사자 선발시 신입생 성적평가를 폐지하고 사회적배려대상자의 입사문턱을 대폭 낮춘 것에 대해 환영한다고 밝혔다.
개선안에 따르면 내년부터 신입생은 고등학교 성적평가가 완전 폐지되고, 재학생은 대학생 성적 반영 비율을 50%→30%로 대폭 푹소한다.
사회적배려대상자 범위도 현재 국민기초생활보장수급자 등 5개 분야에 차상위계층, 한부모가족, 소년소녀가정, 조손가정, 아동복지시설 보호학생, 북한이탈주민, 특별재난지역주민 등 7개 분야를 추가해 가점이 부여된다.
이번 개선안은 학벌없는사회가 제안, 시민사회단체 관계자, 남도학숙 입사생 등 입사기준 개선 TF팀이 논의하여 만든 결과물로, 특정대학교 학생 위주로 남도학숙 입사자가 선발되는 현상을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학벌없는사회는 “내년 제2남도학숙 개관으로 입사자가 604명으로 늘어남에 따라 많은 광주시, 전남도 출신 대학생들의 경제적 부담을 줄여 학교생활과 기숙생활을 보다 편히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한편 한편 학벌없는사회는 지난2월 ‘2014~16년 남도학숙 입사자의 출신대학교 현황’을 공개하고, 학업성적을 위주로 입사자를 선발하는 것은 차별이라며 광주광역시 인권옴브즈맨에 진정을 넣었으며, 광주시에 공정하고 합리적인 남도학숙 입사기준 개정을 요구한 바 있다.
시민의소리 http://www.siminsori.com/news/articleView.html?idxno=85345
전남인터넷신문 http://jnnews.co.kr/news/view.php?idx=202246
플러스코리아 타임즈 http://www.pluskorea.net/sub_read.html?uid=90160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 2017년 모꼬지 잘 다녀왔습니다. 남는 건 사진이라는데 달랑 이 사진(회) 뿐이네요. 함께 맛을 나누지 못해 아쉽습니다. 다음에 더 좋은 친목도모의 장을 마련할게요.^^
from 살림살이
2017. 7. 3. 14:26
수입항목 |
6월 |
|
CMS
후원금 |
1,831,270 |
자동이체 후원금 |
50,000 |
연 후원금 |
|
일시 후원금 |
500,000 |
사업비 |
연대사업
기금 |
|
사업 후원금 |
|
기타 수입 |
입금오류
및 반환 |
|
판매기금 |
|
결산이자 |
1,140 |
부채 |
|
합계 |
2,382,410 |
지출항목 |
6월 |
인건비 |
활동비 |
1,352,230 |
4대 보험비 |
187,360 |
퇴직연금비 |
112,686 |
역량강화비 |
50,000 |
상여금 |
|
운영비 |
정수기렌탈비 |
19,900 |
물품구입비 |
|
문자발송비 |
65,998 |
통신비 |
27,420 |
홈페이지 관리비 |
10,000 |
사업비 |
내부사업비 |
215,270 |
연대사업비 |
|
기타 |
세금
및 수수료 |
|
수리비 |
|
합계 |
2,040,864 |
월별 |
이월금 |
수입 |
지출 |
입금 - 지출 |
총잔액 |
6월 |
2,940,775 |
2,382,410 | 2,040,864 |
341,546 |
3,282,321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