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활동 > 살림위원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7차 살림회의록 (0) | 2017.09.01 |
---|---|
제7차 살림회의 안내 (변경) (0) | 2017.08.07 |
제6차 살림회의 안내 (0) | 2017.06.03 |
제5차 살림회의록 (0) | 2017.05.31 |
제5차 살림회의 안내 (0) | 2017.05.22 |
'최신글 보기'에 해당되는 글 5223건
'회원활동 > 살림위원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행학습이 법으로 금지됐음에도 불구하고 광주지역 학원들의 위반 건수는 늘고 있습니다. '학벌없는 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은 올해 상반기 동안 광주지역 64개 학원이 선행학습을 홍보한 것으로 조사됐다며 이는 지난 2015년 상반기에 적발된 건수의 두 배가 넘는다고 밝혔습니다. 시민모임은 '선행교육 규제법'이 시행된 지 3년이 지났지만 사설 학원을 제재할 방법이 없다며 교육청이 학원 운영 조례 개정 등을 통해 강력히 규제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광주MBC '각종 매체 > 언론보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학벌없는사회’ 광주 학원 64곳 실태 조사 … 2년새 두배 늘어 ‘예비 중1, 예비 고1 수시모집중…내신·심화·선행’, ‘초 5, 초 6 중등 과학개념 12개월 완성’ 광주 첨단지구를 비롯, 봉선동·장동 일대 학원가에 나붙은 선행학습 유발 광고 문구들이다. 이른바 ‘선행교육 규제법’(공교육 정상화 촉진 및 선행교육 규제에 관한 특별법)이 ‘학원과 교습소, 개인 과외교습자의 선행학습 유발 광고를 금지한다’고 규정하고 있음에도 학원가에선 선행교육이 성행하면서 대책 마련이 요구되고 있다. 학벌없는 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이하 학벌없는사회)은 올 상반기에 광주지역 학원 밀집 지역인 봉선동·장동, 첨단·신창지구 일대 학원들을 대상으로 선행학습 광고 현황을 조사한 결과, 64개 학원의 선행학습 조장·홍보 광고 실태를 파악했다고 19일 밝혔다. 지난 2015년 상반기, 같은 기간 적발한 건수(26건)에 견줘 2배 넘게 늘어난 수치로, 허술한 법규정과 교육 당국의 소극적 행태도 한몫을 했다는 게 학벌없는사회 주장이다. 대부분의 학원들은 ‘중학교 입학 전 중 1과정 2회 끝내자’는 문구 등을 내걸고 선행학습을 부추기고 있는 실정이다. 학부모들 사이에서도 “A 학원에서는 중 1이 중 3 과정까지 끝냈다”거나 “B 학원에는 중학교 1학년에게 고교 과정까지 가르쳐준다”는 학원별 선행학습 수준이 공공연하게 나돌고 있다. 지난 2014년 9월 시행된 이른바 ‘선행교육 규제법’은 학원 등의 ‘선행학습 유발 광고’를 금지하고 있음에도 제재 방안이나 실질적인 처벌 규정은 없는 실정이다. 그나마 선전·홍보 행위만 규제할 뿐 학교와 달리, 학원의 선행학습 자체를 금지하는 규정도 없다. 여기에 교육청도 인력 부족 등을 이유로 적극적인 행정 지도에 나서지 않고 있다는 게 학벌없는사회 주장이다. 학벌없는사회는 이같은 점을 들어 “학원들에 대한 철저한 지도·감독을 요구하는 한편, 학원 운영 조례 등을 개정해 학원의 선행학습 홍보행위에 대한 제재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밝혔다. 김지을기자 dok2000@kwangju.co.kr 광주일보 http://www.kwangju.co.kr/read.php3?aid=1497884400607039021 '각종 매체 > 언론보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학벌없는사회 조사, 재작년보다 2배 이상 “교육청, 학원 선행학습 홍보 강력 처벌을” 광주지역 일부 학원가의 선행학습 홍보를 적발한 결과 2년 전보다 두 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밝혀졌다. 19일 ‘학벌없는 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학원 밀집 지역을 중심으로 선행학습 광고와 홍보 실태를 조사한 결과 모두 64개 학원이 선행학습을 홍보했다. 2015년 상반기 조사에서는 26개 학원이 선행학습 광고로 지적받았는데 2년 만에 2배 이상 증가한 것이다. 해당 학원들은 ‘예비 0학년 학습’, ‘선행·선수반 모집’ 등과 같은 문구로 선행학습을 부추기는 홍보를 했다. 이와 관련해 학벌없는 사회는 “공교육 정상화 및 선행교육 규제에 관한 특별법(선행학습 규제법)이 유명무실해지고 있어 이에 대한 강력한 행정조치가 필요하다”며 “교육청이 학원 운영 조례와 학원 위반사항 벌점 규정 개정을 통해 학원의 선행학습 홍보행위를 강력히 처벌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초·중·고등학교의 교육과정 정상 운영’, ‘학생들의 과도한 학습노동 방지’한다는 선행학습 규제법의 목적을 최대한 살리고, 법의 실효성을 높일 수 있도록해야 한다”며 “학교와 같이 학원에서도 선행학습을 일절 금지하는 법안으로 강화해 나갈 것을 문재인 정부에 강력히 요구한다”고 강조했다. 현행 선행학습 규제법은 학교에서의 선행학습을 금지하고 있지만, 사교육에 대해서는 선전·홍보 행위만 규제할 뿐 학원의 선행학습 자체를 금지하지는 않고 있다. 김우리 기자 uri@gjdream.com 광주드림 http://www.gjdream.com/v2/news/view.html?news_type=202&uid=480838 '각종 매체 > 언론보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등생도 1년만 배우면 중3 실력 된다" 등 실려 교육단체 조사 2년 전 비해 2배 증가 64곳 적발 "광주시교육청 강력한 단속ㆍ행정조치 나서야" 공교육 정상화 촉진 및 선행교육 규제에 관한 특별법(이하 선행학습 규제법)이 시행된 지 2년 반이 지났지만, 광주 관내 일부 학원에서 옥내ㆍ외 현수막, 전단지, 홈페이지 등 다양한 방식으로 선행학습 상품을 홍보하는 행태가 기승을 부리고 있다. 19일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이하 학벌없는사회)은 올 상반기 학원 밀집지역을 표본으로 선행학습 광고 및 선전 실태를 조사한 결과, 총 64개 학원에서 '예비 ○○학년 학습', '선행ㆍ선수반 모집' 등과 같은 문구로 홍보가 이뤄지고 있음을 확인했다. 학벌없는사회는 해당 학원들에 대해 지도ㆍ감독기관인 광주시교육청에게 지도 감독을 요청한 상태다. 이번 조사결과는 2015년 하반기 대비 2배에 달하는 수치여서 광주시교육청의 단속 의지가 부족한 것 아니냐는 지적이다. 광주 동부교육지원청 관계자는 "드러내놓고 홍보를 하는 학원도 거의 없고, 또한 해석의 차이가 있다"면서 "선행학습이라는 명확한 문구가 없는 경우 단속에 무리가 있다"고 말했다. 선행학습규제법은 지난 2014년 학교 내 선행학습을 유발하는 행위를 규제하기 위해 시행된 특별법이다. 이 법은 초ㆍ중ㆍ고교와 대학 입시에서 교육과정보다 앞선 내용을 가르치거나 시험으로 출제하지 못하도록 하고 있다. 사교육을 유발하는 주범인 선행학습을 근절시켜 학생들의 과도한 학습 부담을 덜어주겠다는 것이 법의 취지다. 하지만 특별법 적용대상에는 사교육 시장이 제외돼 있어 입법 취지를 살리지 못하고 있는데다, 학교 내 선행학습만 금지되면서 수요자들이 사교육 시장으로 대거 몰리는 현상까지 발생하고 있다. 법안에는 '학원, 교습소 또는 개인과외교습자는 선행학습을 유발하는 광고 또는 선전을 하여서는 아니 된다. (제8조 선행교육 및 선행학습 유발행위 금지 제3항)'는 규정이 포함돼 사교육 단속 근거가 마련됐으나 이를 어겼을 경우 제재할 구체적인 방안은 명시돼 있지 않아 사실상 유명무실한 '반쪽짜리 법'이라는 조롱까지 받고 있다. 법적 규정 미비에도 불구하고 단속할 방법은 있다. 노골적인 선행학습 홍보가 이뤄지는 학원에 대해서는 해당 감독기관이 행정지도를 지시하고 이를 수용치 않을 경우 행정지도 위반으로 벌점을 매길 수 있다. 행정지도위반 벌점은 30점으로 31점부터 대상 학원은 최대 1년까지 영업이 정지된다. 선행학습 관련 벌점은 없지만 행정지도를 미이행했을때는 학원에 벌점 부과 제재를 가할 수 있는 것. 학벌없는사회 관계자는 "시시때때로 이뤄지고 있는 학원의 선행학습 상품 광고에 대해 지도감독 기관인 시교육청의 상시적 단속이 계속돼야 한다"면서 "지도감독 기관의 의지가 없거나 학원에 시정조치를 요구하더라도 불이행시 처벌하지 않으면 눈 가리고 아웅하는 식으로 대응할 것이기에 지금보다 더욱 강력한 행정조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노병하 기자 bhro@jnilbo.com 전남일보 http://www.jnilbo.com/read.php3?aid=1497884400526148004 '각종 매체 > 언론보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광주지역 일부 학원들의 선행학습 홍보 행태가 관련 규제에도 오히려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19일 지역 교육단체인 ‘학벌없는 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학원 밀집 지역을 중심으로 선행학습 광고와 홍보 실태를 조사한 결과 모두 64개 학원이 선행학습을 홍보하고 있었다. 2015년 상반기 조사에서는 26개 학원이 선행학습 광고로 지적받았는데 2년 만에 2배 이상 증가했다. 이들 학원은 ‘예비 0학년 학습’, ‘선행·선수반 모집’ 등과 같은 문구로 선행학습을 부추기는 홍보를 했다. 학벌없는 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은 ‘공교육 정상화 및 선행교육 규제에 관한 특별법(선행학습 규제법)’이 유명무실해지고 있어 이에 대한 강력한 행정조치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 단체 관계자는 “학원의 선행학습 광고와 선전을 금지하고 있지만 제재할 구체적인 방안이 법에 명시되지 않아 사문화되고 있다”며 “교육청이 학원 운영 조례와 학원 위반사항 벌점 규정 개정을 통해 학원의 선행학습 홍보행위를 강력히 처벌해야 한다”고 밝혔다. 현행 선행학습 규제법은 학교에서의 선행학습을 금지하고 있지만, 사교육에 대해서는 선전·홍보 행위만 규제할 뿐 학원의 선행학습 자체를 금지하지는 않고 있다. 박은성 기자 pes@kjdaily.com 광주매일신문 http://www.kjdaily.com/read.php3?aid=1497868925411200005 '각종 매체 > 언론보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민모임 "64개 학원 지적...규제에도 늘어" 관련 규제에도 불구하고 광주지역 일부 학원들의 선행학습 홍보 행태가 오히려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19일 지역 교육단체인 '학벌없는 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학원 밀집 지역을 중심으로 선행학습 광고와 홍보 실태를 조사한 결과, 모두 64개 학원이 선행학습을 홍보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 2015년 상반기 조사에서는 26개 학원이 선행학습 광고로 지적받았다. 시민모임은 2년 만에 2배 이상 증가했다고 밝혔다. 이들 학원은 '예비 0학년 학습', '선행·선수반 모집' 등과 같은 문구로 선행학습을 부추기는 홍보를 했다. 학벌없는 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은 '공교육 정상화 및 선행교육 규제에 관한 특별법'(선행학습 규제법)이 유명무실해지고 있어 이에 대한 강력한 행정조치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 단체 관계자는 "학원의 선행학습 광고와 선전을 금지하고 있지만 제재할 구체적인 방안이 법에 명시되지 않아 사문화되고 있다"며 "교육청이 학원 운영 조례와 학원 위반사항 벌점 규정 개정을 통해 학원의 선행학습 홍보행위를 강력히 처벌해야 한다"고 밝혔다. 한편 현행 선행학습 규제법은 학교에서의 선행학습을 금지하고 있지만, 사교육에 대해서는 선전·홍보 행위만 규제할 뿐 학원의 선행학습 자체를 금지하지는 않고 있다. 김혜진기자 hj01140@hanmail.net 무등일보 http://www.honam.co.kr/read.php3?aid=1497884400527624011 '각종 매체 > 언론보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적용 대상서 학원·교습소 빠져 유명무실 【광주=뉴시스】맹대환 기자 = 공교육 정상화를 위해 선행학습을 규제하는 특별법이 제정됐지만 사교육 현장에서는 유명무실하다는 지적이다. 19일 학벌없는 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이하 학벌없는사회)에 따르면 이 단체가 올해 상반기에 광주시내 학원 밀집지역에서 선행학습 광고 현황을 조사한 결과 총 64개 학원이 선행학습을 홍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5년에는 상반기와 하반기에 각각 26건이 적발됐으나 올해는 두 배 이상 늘어난 셈이다. 2014년 시행된 선행학습 규제법은 학교 내 선행학습을 유발하는 행위를 규제하기 위해 만들어진 특별법으로 초·중·고교와 대학 입시에서 교육과정보다 앞선 내용을 가르치거나 시험으로 출제하지 못하도록 하고 있다. 사교육을 유발하는 주범인 선행학습을 근절시켜 학생들의 과도한 학습과 학부모의 사교육비 부담을 줄이겠다는 취지다. 하지만 이 특별법 적용대상에는 사교육 시장이 제외돼 있어 입법 취지를 살리지 못하고 있다. 학교에서 선행학습을 금지하자 수요층이 대거 사교육 시장으로 몰리는 '풍선효과'가 나타나고 있기 때문이다. 특별법에는 '학원·교습소가 선행학습을 유발하는 광고 또는 선전을 해서는 안된다'고 명시하고 있으나, 이를 어겼을 경우 제재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이 빠져 있다. 선행학습 규제법이 오히려 사교육시장의 배만 불려주는 원인을 제공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학벌없는사회는 "광주시교육청이 학원운영조례와 학원 위반사항 벌점규정 개정을 통해 선행학습을 강력하게 규제해야 한다"며 "문재인정부도 선행학습 규제법의 실효성을 높일 수 있도록 법안을 강화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mdhnews@newsis.com 뉴시스 http://www.newsis.com/view/?id=NISX20170619_0000016037&cID=10809&pID=10800 '각종 매체 > 언론보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1년이면 중3실력?...선행학습 광고 적발건수, 재작년 하반기 대비 2배나 늘어 [KNS뉴스통신=박강복 기자] 공교육 정상화 촉진 및 선행교육 규제에 관한 특별법(이하 선행학습 규제법)이 시행된 지 2년 반이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광주 관내 일부 학원에서 옥내·외 현수막, 전단지, 홈페이지 등 다양한 방식으로 선행학습 상품을 홍보하는 행태가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이하 학벌없는사회)은 19일, 학원 밀집지역을 표본으로 선행학습 광고 및 선전 실태를 조사한 결과. 총 64개 학원에서 ‘예비 00학년 학습’, ‘선행·선수반 모집’ 등과 같은 문구로 홍보하고 있음을 적발했다고 밝혔다. 학벌없는사회는, 이번 조사결과는 2015년 하반기 조사결과 대비 2배에 달하는 수치로 광주시교육청의 지도감독이 허술했음을 다시 확인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선행학습금지법이 시행된 지 3년이 지났지만, 반쪽짜리 법률안에 머물러 2014년 시행된 선행학습 규제법은 주로 학교 내 선행학습을 유발하는 행위를 규제하기 위해 만들어진 특별법으로, 이 법은 초·중·고교와 대학 입시에서 교육과정보다 앞선 내용을 가르치거나 시험으로 출제하지 못하도록 하고 있다. 즉, 사교육을 유발하는 주범인 선행학습을 근절시켜 학생들의 과도한 학습 부담을 덜어주겠다는 것이 법의 취지다. 하지만 애초부터 선행학습 규제법에는 치명적인 문제가 있었다. 학원의 반발을 사기 쉽고, 단속이 어렵다는 이유로 사교육 분야는 법 적용 대상에서 제외시켜 입법 취지를 살리기 힘들다는 비판을 받고 있고, 실제 학원의 선행상품 판매를 막는 데는 유명무실하여 반쪽짜리 법이라는 조롱까지 받고 있는 실정이다. 다만, 학원 선행학습을 규제하기 위한 노력으로 “학원, 교습소 또는 개인과외교습자는 선행학습을 유발하는 광고 또는 선전을 하여서는 아니 된다. (제8조 선행교육 및 선행학습 유발행위 금지 제3항)” 라고 법안에 명시하고 있는 점은 그나마 고무적이다. ▲광주지역 일부학원들, 다양한 방식으로 선행학습반 모집 홍보 학벌없는사회는 1학기 중간고사 이후나 여름방학 직전에 사교육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걱정하여, 선행학습을 자극하는 상행위로 인해 각 가정에서 경쟁적으로 학원비를 지출하는 폐단이 발생하지 않도록 집중적인 점검을 실시한 결과, 학원들은 버젓이 선행학습 상품 광고행위를 지속하고 있다. 학원에 대한 선행학습 광고 및 선전 금지 조항이 있긴 하지만, 제재할 구체적인 방안이 법에 명시되어 있지 않아 사실상 유명무실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학원가에서 선행학습 상품 광고가 넘쳐나는 이유가 바로 ‘선행학습 금지법’ 자체에 있는 것이다. ▲학원운영조례를 개정하여 해당행위 금지조항·행정처분 근거를 마련해야 학벌없는사회는 시시때때로 이뤄지고 있는 학원의 선행학습 상품 광고에 대해 지도감독 기관인 광주시교육청의 상시적 단속 계획과 인력, 예산 등 행정제반을 마련할 것을 요구했다. 또한, 광주시교육청은 학원운영조례 및 학원 위반사항 벌점규정 개정을 통해 선행학습 규제법을 근거로 강력한 행정조치를 마련할 것을 요구했다. 학벌없는사회는 “학원의 선행학습 상품 광고 사례가 다수 발견되고 있는 바, ‘초·중·고등학교의 교육과정 정상 운영’, ‘학생들의 과도한 학습노동 방지’한다는 선행학습 규제법의 목적을 최대한 살리고, 법의 실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학교와 같이 학원에서도 선행학습을 일절 금지하는 법안으로 강화해 나갈 것을 문재인 정부에 강력히 요구한다”고 촉구했다. 박강복 기자 pkb7657@hanmail.net KNS뉴스통신 http://www.kns.tv/news/articleView.html?idxno=320072 '각종 매체 > 언론보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광주 교육단체, 지역 학원가 실태조사 (광주=연합뉴스) 김재선 기자 = 광주지역 일부 학원들의 선행학습 홍보 행태가 관련 규제에도 오히려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19일 지역 교육단체인 '학벌없는 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학원 밀집 지역을 중심으로 선행학습 광고와 홍보 실태를 조사한 결과 모두 64개 학원이 선행학습을 홍보하고 있었다. 2015년 상반기 조사에서는 26개 학원이 선행학습 광고로 지적받았는데 2년 만에 2배 이상 증가했다. 이들 학원은 '예비 0학년 학습', '선행·선수반 모집' 등과 같은 문구로 선행학습을 부추기는 홍보를 했다. 학벌없는 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은 '공교육 정상화 및 선행교육 규제에 관한 특별법'(선행학습 규제법)이 유명무실해지고 있어 이에 대한 강력한 행정조치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 단체 관계자는 "학원의 선행학습 광고와 선전을 금지하고 있지만 제재할 구체적인 방안이 법에 명시되지 않아 사문화되고 있다"며 "교육청이 학원 운영 조례와 학원 위반사항 벌점 규정 개정을 통해 학원의 선행학습 홍보행위를 강력히 처벌해야 한다"고 밝혔다. 현행 선행학습 규제법은 학교에서의 선행학습을 금지하고 있지만, 사교육에 대해서는 선전·홍보 행위만 규제할 뿐 학원의 선행학습 자체를 금지하지는 않고 있다. kjsun@yna.co.kr 연합뉴스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7/06/19/0200000000AKR20170619048500054.HTML?input=1195m '각종 매체 > 언론보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