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단체가 정보공개청구를 통해 광주광역시교육청 자료를 분석한 결과, 이정선 교육감 취임 이후 현재까지 총 43건의 청사 외벽 현수막을 설치하였고, 4,000만 원의 예산이 집행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 이러한 홍보성 현수막 설치는 이정선 교육감 취임 이후 두드러지게 늘어났는데, 문제는 이들 현수막의 상당수가 옥외광고물법을 위반하고 있다는 점이다.

 

현행 옥외광고물법 시행령에 따르면, 공공청사 외벽에는 주요 정책 및 행사 홍보 목적에 한해, 청사 건물당 30일 이내 1개의 현수막 설치만이 허용된다.

 

- 그러나 2025. 7. 16.기준 광주시교육청 청사에는 별관을 포함해 총 3개의 현수막이 설치돼 있으며, 1개는 설치 기간이 30일을 초과한 상태이다. 더 큰 문제는 이러한 위반 사례가 일회성이 아니라 반복적으로 발생하고 있다는 점이다.

 

특히 설치된 현수막 중 일부는 공약평가결과 등 교육감(교육청) 실적을 부각하는 것으로, 정치적 목적의 홍보물로 해석될 여지가 크다.

 

- 내년 지방선거가 1년도 채 남지 않은 상황에서 이 같은 홍보성 현수막은 선거를 염두에 둔 사전 선전행위로 오해받기 쉬우며, 공직자의 정치적 중립 의무에도 위배될 수 있어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크다.

 

현수막의 제작 및 설치, 철거에는 건당 최소 20여만 원에서 최대 180만 원의 광주시교육청 예산이 소요되고 있는데, 교육청 내부 지침이나 전담 부서 없이 무분별하게 게시되고 있는 실정이다.

 

- 현재 교육재정이 긴축 기조에 놓인 상황에서, 이러한 전시 행정은 교육환경 개선에 사용되어야 할 소중한 예산을 낭비하는 행위로 강하게 비판받아야 마땅하다.

 

광주시교육청이 옥외광고물법 관련 인지 여부를 떠나, 막대한 예산을 집행한 자체만으로 그 도덕적 책임은 무겁게 느껴야 할 것이다.

 

- 이에 우리 단체는 옥외광고물법 위반 소지가 있는 현수막을 즉각 철거할 것, 교육감 실적 홍보를 위한 현수막 설치를 중단하고, 공직자의 선거 중립 의무를 철저히 준수할 것을 광주시교육청에 촉구하는 바이다.

 

2025. 7. 16.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시민모임

,

우리 단체가 광주광역시 교육비특별회계 세입·세출예산서를 분석한 결과, 광주교원단체총연합회(이하 광주교총’)의 사무실 임대료 명목으로 2023720만 원(60만 원), 2024804만 원(67만 원), 2025864만 원(72만 원)의 예산이 편성·집행되고 있는 사실을 확인했다.

 

광주 지역 내 교원노조, 학교비정규직노조, 교육청공무원노조 등은 노동조합법에 따라 단체협약을 근거로 광주시교육청 산하기관 내 최소한의 공간만을 제공받고 있다. 그러나 광주교총은 2009년부터 민간 건물에 입주해 왔으며, 2023년부터는 그 임대료를 교육청 예산으로 지원받고 있어 형평성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 광주시교육청은 교육기본법과 교원지위법에 따라 2023년 체결한 광주시교육청-광주교총 교섭·협의 합의서를 근거로 임대료 대납의 정당성을 주장하고 있다.

 

- 그러나 주목할 점은 이 같은 임대료 지원이 이정선 교육감 취임 이후부터 시작되었다는 사실이다. 이미 2019년에 체결된 기존 합의서에도 광주교총 사무실 제공에 관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었지만, 당시에는 노조 및 단체 간 형평성을 고려하여 임대료 지원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 이러한 상황을 고려할 때, 현재의 임대료 지원은 이정선 교육감의 정치적 판단이 개입된 결과로 의심할 수밖에 없다.

 

광주교총
시교육청
교습협의
함의서
2019 교섭협의합의서 중
83시설 제공 및 예산 지원】 ③ 시교육청은 광주교총이 사용할 사무실, 집기를 예산의 범위 내에서 지원한다.
2023 교섭협의합의서 중
6시설 제공 및 예산 지원】 ② 시교육청은 광주교총이 사용할 사무실, 집기를 예산의 범위 내에서 지원한다.
시교육청
이행계획
다른 노조, 단체와의 형평성을 고려하여 최소한의 규모에서 노동조합사무소 등을 제공하는 방향으로 추진 예산의 범위 내에서 교원단체 사무실 등을 제공하는 방향으로 추진

 

더욱이 광주교총은 공시지가 약 20억 원 상당의 토지와 건물을 보유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별도의 민간 건물을 임대하여 사무실로 사용하고 있다.

 

- 일부 자산은 관할교육지원청의 승인을 받아 임대 수익을 창출하고 있음에도, 시민의 세금이 특정 단체의 사무공간에 사용되고 있는 점은 특혜 논란을 더욱 가중시킬 수 있다. 이에 광주시교육청은 공공기관으로서의 책무를 되새기고, 공정하고 효율적인 예산 집행을 통해 시민의 신뢰에 부응해야 할 것이다.

 

📌 요구사항

광주교총 사무실 임대료 대납 여부를 재고할 것

노조, 단체 간 형평성을 고려하여 사무실을 제공할 것

 

2025. 7. 15.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시민모임

,

• 일시 : 7월10일 저녁6시30분 사무실
• 장소 :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시민모임 사무실
• 내용 : 
1. 활동(재정)보고 
2. 현안 논의 
3. 기타 제안사항 논의

'회원활동 > 살림위원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제5차 살림회의록  (0) 2025.06.16
2025년 제5차 살림회의 안내  (0) 2025.05.13
2025년 제4차 살림회의록  (0) 2025.05.13
2025년 제4차 살림회의 안내  (1) 2025.04.30
2025년 제3차 살림회의록  (0) 2025.04.22
,

2025. 6. 유아 대상 레벨테스트 금지 촉구 일인시위를 광주광역시교육청에서 진행했습니다.

 

광주지역 일부 어학원과 사립유치원에서 유아들을 대상으로 영어시험을 통해 반편성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이는 매우 비교육적인 행태로, 입시경쟁을 가속화하여 유아들의 놀권리와 쉴권리 등 인권침해할 소지가 큽니다.교육부에서 시도교육청에 특별점검을 요구한 만큼, 이러한 문제들이 하루속히 뿌리뽑히길 바랍니다.

 

,

https://stib.ee/DrLI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시민모임 2025년 5번째 소식지

 

stibee.com

 

'각종 매체 > 웹소식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4번째 웹소식지  (0) 2025.05.07
2025년 3번째 웹소식지  (0) 2025.04.23
2025년 2번째 웹소식지  (0) 2025.02.06
2025년 1번째 웹소식지  (0) 2025.01.03
2024년 7번째 웹소식지  (4) 2024.10.14
,

- 예술교육 기회 확대 위해 사회적배려대상자 전형 마련해야

 

최근 광주광역시교육청은 고등학교 입학전형위원회를 열어 광주예술고등학교를 포함한 관내 고등학교의 2026학년도 신입생 입학전형을 승인했다.

 

- 그동안 우리 단체는 특수목적고인 광주예술고가 신입생 모집 시 일정 비율을 성적 우수자에게 할당한 것은 보편 교육 원칙에 위배된다.’고 비판해왔다. 이에 학교는 2026학년도부터는 무용과(댄스스포츠)를 제외한 3개 학과에서 관련 특별전형을 폐지하기로 했다.

 

2025학년도 특별전형 2026학년도 특별전형
전공과 지원자격 전형요소 및
반영비율
전형요소 및
반영비율
내신성적 (100) 실기평가
(100)
내신성적 (100) 실기평가
(100)
무용과 대한 댄스스포츠경기연맹이 공인·승인하는 전국규모대회에서 모던 또는 라틴 5종목 이상 입상실적이 있는 자 90% 10% 90% 10%
국악과 중학교 내신 석차백분율이 50% 이내인 자 50% 50% 폐지
한국화과 중학교 내신 석차백분율이 50% 이내인 자 100% 없음 폐지
미술과 중학교 내신 석차백분율이 20% 이내인 자 100% 없음 폐지

2025-2026학년도 광주예술고등학교 신입생 입학 관련 특별전형 비교표

 

- 예술학교 입학 기회를 내신 성적으로 왜곡하는 폐해가 일정 부분 해소된 것에 우리 단체는 환영하는 바이며, 이를 통해 헌법상 '교육의 기회균등' 원칙이 더 적극적으로 실현될 것으로 기대하는 바이다.

 

- 다만, 아쉬운 점도 존재한다. 지난해 고교 입학전형위원회의 권고에도 불구하고, 광주예술고는 끝내 사회적배려대상자 전형을 마련하지 않았다. 고등교육에서는 경제적사회적 약자를 위한 예술교육 기회를 확대하고자 노력하고 있는데, 정작 초중등교육 단계에서는 희망의 사다리가 끊겨 있는 것이다.

 

- 지원자격-


고등학교 졸업 학력이 인정되는 학교를 졸업한 자(20262월 졸업예정자 포함) 또는 관계 법령에 의하여 이와 동등 이상의 학력이 있다고 인정되는 자(고등학교 졸업학력 검정고시 합격자 및 외국 소재 고등학교 졸업(예정)자 포함) 로서,


지원서 접수 마감일 기준으로 아래 조건 중 하나에 해당하는 자
.국민기초생활 보장법2조 제1호에 따른 수급권자 또는 동조 제2호에 따른 수급자
.국민기초생활 보장법2조 제10호에 따른 차상위계층 중 차상위 자활, 차상위 장애수당, 차상위 장애인연금 부가급여, 차상위 건강보험본인부담금 경감, 한부모 가정 지원 중 하나 이상의 급여를 받고 있는 가구의 학생
. 차상위계층 확인서 발급 대상 가구의 학생

한국예술종합학교 예술사(대학)과정 - 2026학년도 정원 외 전형(교육기회균등) 신입생 모집요강

 

그동안 교육 당국은 과학 분야에 편중된 영재교육을 예술 분야로 확대하고, 영재교육의 중요성을 사회적으로 환기하고자 광주 예술영재교육원을 거쳐 예술중, 예술고로 이어지는 체계적인 지역 예술교육 시스템을 구축해왔다.

 

- 하지만 사교육 중심, 엘리트 중심이라고 비판받아 온 영재교육의 문제점이 유독 예술 분야에서는 해소되지 않고 있다. 광주예술고가 일반전형을 통해 신입생을 선발할 때도 영재성, 성장가능성에 주목하기보다 우수한 내신, 선행학습 여부가 중시되고 있는 것만 봐도 그렇다. 여기엔 부모의 경제력이 반영되기 쉽다.

 

- 지금이라도 이러한 부작용을 해소하고, 사회적 배려대상자를 위한 전형을 마련하는 것이 매우 상식적이며 시급한 과제임을 광주시교육청은 인식해야 할 것이다.

 

영재성은 타고난 것이면서도 환경에 따라 크게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공교육을 책임지는 교육청과 학교는 영재성을 지녔음에도 사회적, 경제적 여건 탓에 성장 기회를 박탈당하는 인재가 없는지 끊임없이 살펴야 한다.

 

- 이에 우리 단체는 사회적 배려 대상자에게 예술교육 기회를 늘리는 방향으로 광주예술고(광주예술중 포함) 입학전형을 개선할 것을 광주시교육청에 촉구하는 바이다. 나아가 이들이 예술가로서 자기 정체성을 발견하고, 성장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지원할 것을 요구하는 바이다.

 

2025. 7. 3.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시민모임

,

2025년 5~6월 살림살이

from 살림살이 2025. 7. 2. 13:48
구분 5월 6월
후원금 CMS 후원금 3,429,690 3,639,020
자동이체 후원금 10,000 10,000
일시 후원금 1,350,630  
기타 4,368,352 66,247
총계 9,158,672 3,715,267
5월 6월
인건비 4대 보험비   1,034,460
급여 2,692,050 2,692,050
원천세 9,390 9,390
지방소득세 930 930
급여 미지급(2024년)    
식비, 공제회비 110,000 110,000
상여금    
퇴직금 225,198 225,198
퇴직금 미지급(2024년)    
운영비 물품구입비 115,300 2,730
정수기 렌탈비    
사무실 관리비 75,290 13,420
사무실 임대료 250,000 250,300
문자발송비    
통신비 36,090 51,700
홈페이지 관리비 10,000 10,000
사업비 내부사업비 12,748 1,208,340
연대사업비    
기타 3,901,000 1,000,500
총계 7,437,996 6,609,018
구분 이월금 수입 지출 입금 - 지출 총 잔액
5월 18,677,989 9,158,672 7,437,996 1,720,676 20,398,665
6월 20,398,665 3,715,267 6,609,018 - 2,893,751 17,504,914

'살림살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1~4월 살림살이  (0) 2025.04.23
2024년 살림살이  (0) 2025.01.03
2023년 살림살이  (0) 2024.02.15
2022년 살림살이  (0) 2023.01.12
2021년 10~12월 살림살이  (0) 2022.01.12
,

최근 과도한 학습 시간, 전자기기 사용 증가 등으로 신체활동이 줄어들자, 척추측만증, 비만 등 체형이 불균형한 학생이 늘고 있다. 이 가운데, 광주광역시교육청은 학생 불균형체형 예방교육 지원 조례를 근거로 다양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 그런데, 일부 사업에 실효성 논란, 예산 낭비, 특정 기관이나 업체를 위한 특혜 의혹 등이 불거지고 있다.

 

광주시교육청은 2024년부터 관내 초등학교 6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보호자의 동의를 받아 척추측만증 진단검사 사업을 실시하고 있다. 척추측만증 예방을 위해서 조기 발견이 중요하기 때문이라고 한다.

 

- 하지만 이미 중 1학년 학생 건강검진을 할 때, 흉부 엑스선 촬영으로 척추측만증을 진단하고 있어, 불과 1년 사이에 동일 검사가 중복되고 있다. 방사선에 노출되는 것도 좋을 일이 없는데, 보람도 없이 돈만 쓴다는 비판이 나온다.

 

- 또한, 정규수업 시간 중 출장 형태로 진단검사가 이루어져 학생들의 학습권도 침해되고 있다.

 

- 해당 검사는 ◐▥ 의료기관이 2년 연속 맡고 있는데, 통상적인 공개경쟁이 아닌 업무협약을 근거로 계약이 추진되고 있다. 이로써 2025년 기준 11천여만 원이 편성된 이 사업은 특정 기관에 집중적으로 예산이 집행되었다.

 

한편, 광주시교육청은 학생 불균형 체형 예방 일환으로 올해 처음으로 건강증진 진단기구 구입비 지원 사업을 시행했다. 초등학교 4, 중학교 3곳 등 총 7개 학교를 선정해 각 학교당 2천만 원(14천만 원)을 지원했으나, 특정 업체의 제품에 계약이 집중된 사실이 드러났다.

 

(단위 : 만원)

사업선정
학교명
풍영초 고실중 첨단초 미산초 광주양산초 성덕중 수완하나중
계약 업체명
/계약금액
A/1998 B/1980 C/1995 C/1995 C/1900
D/100
C/1909
D/100
C/1900
D/100
비고     트레드밀 포함 가격 D사 제품 트레드밀

2025년 건강증진(불균형 체형 예방) 진단기구 구입 지원 사업

 

- 선정 과정에서도 일부 학교는 관리자(교장 등)의 요구에 의해 신청이 이루어졌는데, 보건교육 현장에서는 실효성과 활용도가 낮다고 평가하고 있다. 고가 장비가 애물단지로 전락할 상황인데, 교육청은 현장을 들여다보지도 않고 있다.

 

이처럼 불균형 체형 예방 사업이 목적 달성은커녕, 예산 낭비와 특혜 논란으로 얼룩지고 있다. 이에 우리 단체는 해당 사업을 전면 재평가할 것과 보건교육 현장의 의견 수렴을 통한 내실 있는 정책을 추진해 나갈 것을 광주시교육청에 촉구하는 바이다.

 

2025. 7. 2.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시민모임

,

광주광역시교육청은 10여 년 전부터 협소한 업무 공간과 건물 노후화를 이유로 신청사 건립 사업을 추진해왔다. 이정선 교육감 취임 이후 이 사업은 다시 본격화되었고, 최근 교육부의 사전타당성조사에 따라 관련 조례안이 광주광역시의회에 상정되었다.

 

신청사는 현재 광주시교육청 산하기관인 교육시민협치진흥원 부지에 조성될 예정이며, 올해 토지 매입을 시작으로 2026년 설계, 2027년 착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총 사업비는 약 1,105억 원으로 추산된다. 그러나 문제는 이러한 막대한 예산이 확보되지 않은 상황에서 조례 제정을 통해 사업을 무리하게 강행하려 한다는 점이다.

 

광주시의회에 제출된 신청사 건립 비용추계서에 따르면, 광주시교육청은 교육부 보통교부금 243억 원과 통합재정안정화기금 862억 원을 재원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하지만 최근 중앙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의 이전 수입이 대폭 줄어들면서, 기금 사용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고, 이로 인한 기금 고갈 우려도 커지고 있다. 결국 신청사 건립이 광주교육의 전반적인 재정 악화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단위 : 천원)

구분 1차년도
(2025)
2차년도
(2026)
3차년도
(2027)
4차년도
(2028)
세 출 758,300 7,813,389 50,713,246 51,251,893 110,536,828
광주광역시교육청
신청사 건립
758,300 7,813,389 50,713,246 51,251,893 110,536,828
재원 조달 758,300 7,813,389 50,713,246 51,251,893 110,536,828
보통교부금

24,318,460
24,318,460
통합재정안정화기금 758,300 7,813,389 26,394,786 51,251,893 86,218,368

광주광역시교육청 신청사 건립 비용추계서 발췌

 

광주시의회에서는 2024년 말 기준 통합재정안정화기금 잔액이 2,247억 원에서 1,293억 원으로 감소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는데, 이는 20224,461억 원에 비해 절반 이상 줄어든 수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광주시교육청은 이 기금의 상당 부분을 신청사 건립에 투입하려 하고 있는데, 이는 이정선 교육감이 내년 선거를 의식한 무리한 정책 추진이라는 비판을 피할 수 없다.

 

(단위 : 천원)

기금명 ‘24년도말
조성액(a)
‘25년도 기금운용계획 ‘25년도말
조성액
(d=a+b-c)
전년대비
증감
(d-a)
융자금
미회수채권
(e)
연도말
총규모
(f=d+e)
수입계획(b) 지출계획(c)
통합재정
안정화기금
224,755,139 5,477,973 100,892,570 129,340,542 -95,414,597 0 129,340,542

광주광역시교육청 통합재정안정화기금 조성 규모

- 2024회계연도 광주광역시교육청 결산·기금·예비비 승인 심사보고서 발췌

 

더욱이 국내외 경제 불확실성이 지속되고 있어, 앞으로도 광주를 포함한 전국 시·도교육청의 이전 수입은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 같은 상황에서 광주시교육청이 학생들을 위한 종자돈을 신청사 건립에 소진해 버린다면, 향후 고교 무상교육 예산 부담은 물론, 지방채 발행이라는 재정 위기로 이어질 우려가 크다.

 

현재 광주시교육청이 가장 시급하게 해야 할 일은 신청사 건립이 아니라, 학생들에게 직접 지원되는 교육사업 예산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고, 이를 위한 기금 안정화 대책을 마련하는 것이다.

 

이에 우리 단체는 신청사 건립을 위한 통합재정안정화기금 사용에 반대하며, 신청사 건립 관련 조례안의 심의를 보류할 것을 광주시의회에 촉구하는 바이다. 아울러 불필요한 사업을 조정하는 등 긴축재정을 통해 별도의 신청사 재원을 마련할 것을 광주시교육청에 요구하는 바이다.

 

2025. 6. 30.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시민모임

,

우리 단체가 광주광역시 관내 초등학교의 교육과정 운영 계획서(학교알리미 공시자료) 및 학생의 놀 권리 보장 관련 실태(교육청 자료)를 조사·분석한 결과, 전반적으로 학생들의 놀 권리와 쉴 권리가 개선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분석 결과에 따르면, 광주 지역 초등학교 98개교가 수업 후 매일 20분간의 중간놀이시간을 운영하고 있으며, 18개교는 매일 30분을 확보하고 있다. 점심시간의 경우, 76개교는 50~55, 37개교는 1시간으로 운영하고 있으며, 98개교는 학생 놀 권리 보장을 위한 별도의 사업 예산을 편성하고 있다.

 

하지만 일부 사립초등학교(광주삼육초등학교)는 학생인권 보장 등 사회적 흐름에 반하는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해당 학교는 1, 2교시 수업 종료 후 쉬는 시간이 고작 5분에 불과해, 학생들이 화장실을 다녀올 시간조차 부족한 실정이다.

 

- 또한, 이 학교는 조기 등교를 시행해 학생들의 수면시간조차 빼앗고 있다. 오전 810분까지 등교해 종교예배 등 아침활동을 실시한 후, 1교시 수업을 오전 840분부터 시작하고 있는데, 이는 광주시교육청의 ‘9시 등교 정책을 정면으로 무시하는 행태이다.

 

- 특히 점심시간도 40분에 그치며, 방과후 운영되는 늘봄학교 프로그램(방과후학교)’의 쉬는 시간조차도 스쿨버스 하교 시간 등을 이유로 단 5분만 주어지고 있다.

 

- 이처럼 학교장의 재량에 따라 점심시간, 쉬는 시간이 정해지고 있는데, 광주시교육청은 매년 학교별 보고 자료만 취합할 뿐 지도·점검이 미흡해 위와 같은 문제를 전혀 인지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 청소년의 체력 저하가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가운데, 초등학생들에게 충분한 휴식시간을 보장하지 않는 것은 학습 집중력 저하는 물론, 건강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 더욱이 초등학교에서는 안전사고 예방 등의 이유로 담임교사가 쉬는 시간에도 교실에 상주하는 경우가 많은데, 고작 5분의 쉬는 시간만 주어질 경우 학생들이 통제된 교실에서 자유롭게 뛰어 놀 수도 없다.

 

중간놀이시간과 점심시간은 단순한 휴식이 아니라, 학생들이 장시간 수업으로 쌓인 피로를 해소하고, 또래와 관계를 형성하며 건강한 성장을 도모할 수 있는 중요한 시간이다. 이에 따라 광주시교육청은 학생 놀 권리 보장 조례를 제정하고, 관련 사업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 그러나 일부 학교의 운영 실태는 이러한 조례의 취지를 무색하게 만들고 있다. 이에 우리 단체는 학교장 재량이라는 명목 아래 학생의 인권이 침해되지 않도록, 광주삼육초등학교 시정표에 대한 개선을 광주시교육청에 촉구하는 바이다.

 

- 아울러, 학생 놀 권리 보장 조례가 사문화되지 않도록, 시정표 전수조사 등을 통해 관내 모든 학교의 실태를 면밀히 점검할 것을 요구하는 바이다.

 

2025. 6. 26.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시민모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