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정부의 ‘블라인드 채용’ 지침에도 일부 지방공기업이 이를 지키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벌없는 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은 29일 “광주시 지방공기업인 김대중컨벤션센터가 블라인드 채용을 준수하지 않은 것으로 조사됐다”고 밝혔다. 김대중컨벤션센터는 이달 들어 채용공고 5건을 냈다.
하지만 입사지원서에 응지자의 생년월일과 성별 등을 적도록 했다. 또 출신학교와 학교 소재지, 학점, 퇴직사유 등을 쓰고 사진도 붙이도록 했다. 지난 24일 채용공고를 낸 광주환경공단은 응시원서에 이름, 주소, 연락처, 주요이력, 자격증 등만 적도록 했다.
지방공기업은 행정안전부 지침에 따라 8월부터 의무적으로 블라인드 채용을 실시해야 한다. 블라인드 채용은 학력·출신학교·지역·신체조건·가족관계·사진 등 불필요한 신상정보를 서류전형이나 면접 과정에서 적거나 묻지 못하도록 하고 있다.
‘학벌없는 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은 “모든 지방공기업에서 차별 없는 채용이 추진될 수 있도록 광주시 등이 관리·감독을 강화해야 한다”고 밝혔다.
경향신문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708291309001&code=620100#csidx2cdf181ad62f952b8747de1d5960f35
학벌없는사회, "8월 이후 5건 채용 모두 무시" ...DJ센터 "보완 중"
문재인 정부의 '블라인드 채용' 정책과 달리 김대중컨벤션센터가 이를 이행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은 29일 보도자료를 내고 광주광역시 관내 지방공기업 5곳의 홈페이지 정보를 조사한 결과, 김대중컨벤션센터가 블라인드 채용을 준수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고 밝혔다.
조사 결과 김대중컨벤션센터는 5건의 채용공고 중 단 1건도 블라인드 채용을 준수하지 않았다는 것.
특히 김대중컨벤션센터의 입사지원서 양식을 살펴보면, 직무능력과 연관이 없는 채용 응시자의 신상정보(출신학교명, 학교소재지, 퇴직사유, 학점, 사진 등)를 입사지원서에 작성하도록 요구한 것.
이와 관련 김대중컨벤션센터는 29일 해명자료를 내고 "블라인드채용 관련 행정자치부 지침에 대상이 정확히 명시되어 있지 않아 공공기관들의 잦은 질의와 민원 발생했다"며 "지난 22일자로 보완지침이 접수되어 관련 규정을 개정 중"이라고 밝혔다.
또 "보완된 지침에 따라 관련 규정 개정중이며, 향후 단기근무인원을 포함한 모든 채용에 있어 블라인드 채용을 적용할 계획"이라고 해명했다.
광주광역시 산하 지방공기업인 광주환경공단도 이달 24일 ‘국가하천 계절업무 일용직근로자 채용공고’를 냈다가 이력서 양식을 블라인드 채용 가이드라인에 맞게 변경하여 지난 25일 재공고 하기도 했다.
학벌없는사회는 "일부 지방공기업에서 각종 차별과 인권침해 요소를 입사지원서에 기재하게 하는 것은 특정 요소에 의해 차별하거나, 특정 출신자를 우대 또는 배제, 더 나아가 사회적 편견으로 이어진다"며 "개인의 능력에 따른 인재채용을 저해하고, 채용 응시자들의 심리적 박탈감과 열등감을 초래하고 있다"고 우려했다.
한편 행정자치부는 지방공기업 블라인드 채용을 추진하기 위해 가이드라인 발표 및 지방공기업 인사담당자 교육을 진나달 12일 실시했다. 광주시청은 광주광역시 관내 출연·출자기관 및 기타 공공기관의 인사담당자를 대상으로 자체 교육을 실시한 바 있다.
지방공기업의 경우 8월부터 블라인드 채용을 의무적으로 실시해야 한다. (공공기관 7월 → 지방 공기업 8월 → 지방 출연‧출자기관 9월, 순차적으로 블라인드 채용 실시)
블라인드 채용의 핵심은 학력, 출신학교·지역, 신체조건, 가족관계, 사진 등 불필요한 신상정보를 서류전형이나 면접과정에서 적거나 묻는 것을 금지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고용현장에서는 각종 차별과 인권침해가 줄어들고, 교육현장에서는 불필요한 입시경쟁과 스펙 쌓기가 다소 해소될 것이라는 기대감을 주었다"고 학벌없는사회는 밝혔다.
학벌없는사회는 "모든 지방공기업에 차별 없는 채용이 추진될 수 있도록, 광주광역시청에 상시적인 관리·감독 및 경영평가 지표 반영(미준수 기관은 페널티 부여)을 촉구했다"며 "올해 9월부터 블라인드 채용이 시행되는 광주광역시 관내 17개 출연·출자기관에 대해서도 블라인드 채용 도입 여부 실태조사를 진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광주인 http://www.gwangjuin.com/news/articleView.html?idxno=96462
출신학교 등 개인 신상정보 기재
【광주=뉴시스】맹대환 기자 = 광주 김대중컨벤션센터가 정부의 블라인드 채용 방침을 이행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29일 학벌없는사회를위한광주시민모임(학벌없는사회)에 따르면 김대중컨벤션센터는 8월 이후 실시한 5건의 채용공고 중 단 1건도 블라인드 채용을 준수하지 않았다.
지방 공기업은 8월부터 정부의 블라인드 채용 방침을 시행해야 한다.
하지만 김대중컨벤션센터는 입사지원서에 직무능력과 연관이 없는 출신학교명과 학교 소재지 등 응시자의 신상정보를 작성케 한 것으로 나타났다.
입사지원서에 출신학교와 신체조건, 가족관계 등을 기재하는 것은 사회적 편견을 초래하는 인권침해라는 지적이 많아 정부가 블라인드 채용방식을 도입했다.
학벌없는사회는 "지방공기업이 차별없는 채용을 추진하도록 광주시에 상시적인 관리·감독을 요구했다"며 "향후에도 광주시 17개 출연·출자기관의 블라인드 채용 여부를 조사하겠다"고 밝혔다.
김대중컨벤션센터 관계자는 "전시회 통역요원 등 4일부터 4개월까지 근무하는 단기근무인원을 채용하면서 블라인드 채용 방침을 적용하지 않았으나 이는 행정자치부 지침에 대상이 정확하게 명시되지 않았기 때문이다"며 "향후에는 단기근무인원을 포함한 모든 채용에 블라인드 채용을 적용할 계획이다"고 밝혔다.
mdhnews@newsis.com
뉴시스 http://www.newsis.com/view/?id=NISX20170829_0000080303&cID=10809&pID=10800
이달부터 전면 시행에도 불구 5차례 채용공고 모두 안 지켜 4일~4개월 근무할 단기계약직 입사지원서에 “성격 장단점 써라” 일각선 “차별과 인권침해” 비판도 센터 “향후 모든 채용 적용” 해명
지난달 12일 행정자치부는 고용노동부와 공동으로 정부서울청사에서 지방공기업 인사담당자 교육을 갖고 ‘지방공기업 블라인드 채용 지침’을 안내했다.
앞서 6월 문재인 대통령이 공공부문 블라인드 채용 의무화를 지시한 데 따른 후속 조치였다. 당시 행자부 관계자는 “‘블라인드 채용’은 재능이 있는 사람들이 출신학교나 출신지에 대한 편견으로 탈락돼서는 안 되도록 하는 것”이라며 “당장 8월부터 149개 지방공기업과 663개 지방 출자ㆍ출연기관에서 적극 실천해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그러나 정부의 이 같은 당부는 광주시 지방공기업인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선 전혀 먹혀 들지 않았다. 김대중컨벤션센터 측이 이달 들어 다섯 차례나 단기계약직(4일~4개월) 직원 채용 공고를 냈지만 단 한 번도 블라인드 채용 가이드라인을 지키지 않은 것이다.
실제 김대중컨벤션센터는 내달 21~24일 열리는 문화콘텐츠 전문 전시회인 광주 에이스 페어(ACE fair) 행사기간 근무할 단기계약직을 채용한다는 공고를 내면서 지원자들이 입사지원서에 출신학교와 학교 소재지, 전 직장 및 퇴직사유 등을 기재하고 사진을 첨부하도록 했다. 또 지원동기와 포부, 성격의 장ㆍ단점, 학창시절, 경력사항 등을 담은 자기소개서를 A4 용지 2장 이내로 써내도록 했다.
또 9월 14일부터 열리는 제11회 광주국제차(茶)문화전시회의 진행ㆍ촬영ㆍ통역 요원 채용 공고를 내면서도 출신 학교와 경력, 자격증 소지 여부, 자원봉사활동 경력 등을 적도록 했다. 이 밖에도 국제뿌리산업전시회와 2017 시니어ㆍ의료산업박람회, 신재생에너지 전시회 때 근무할 단기계약직 채용 공고도 별반 다르지 않았다. 이는 지방공기업의 경우 채용 시 입사지원서에 직무 능력과 상관이 없는 출신 지역, 가족관계, 신체적 조건(키ㆍ체중ㆍ용모ㆍ사진 부착 포함), 학력 등의 항목을 삭제하라는 정부 지침을 어긴 것이다.
김대중컨벤션센터의 이런 채용 행태는 광주시의 다른 지방공기업인 광주환경공단이 24일 기존 이력서 양식으로 일용직 근로자 채용공고를 냈다가 이튿날 이력서 양식을 블라인드 채용 기준에 맞게 변경해 재공고한 것과도 확연히 대비된다.
학벌없는사회를위한광주시민모임 관계자는 29일 “각종 차별과 인권침해 요소를 지원서에 기재하게 하는 것은 차별이나 특정인 우대 또는 배제, 나아가 사회적 편견으로 이어질 수 있다”며 “지방공기업에서 차별 없는 채용이 이뤄질 수 있도록 광주시에 상시적인 관리ㆍ감독과 경영평가 반영을 촉구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김대중컨벤션센터 측은 “블라인드 채용과 관련해 정부의 보완 지침이 접수되는 등 과도기이다 보니 채용 규정 정비를 못했다”며 “향후 단기근무 인원을 포함한 모든 채용에 있어 블라인드 채용을 적용할 계획”이라고 해명했다.
안경호 기자 khan@hankookilbo.com
한국일보 http://www.hankookilbo.com/v/47742ca8b84644949fe0ee14daaa80d7
(창업일보) 김성규 기자 = 광주 김대중컨벤션센터가 정부의 블라인드 채용 방침을 이행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29일 학벌없는사회를위한광주시민모임(학벌없는사회)에 따르면 김대중컨벤션센터는 8월 이후 실시한 5건의 채용공고 중 단 1건도 블라인드 채용을 준수하지 않았다.
지방 공기업은 8월부터 정부의 블라인드 채용 방침을 시행해야 한다.
하지만 김대중컨벤션센터는 입사지원서에 직무능력과 연관이 없는 출신학교명과 학교 소재지 등 응시자의 신상정보를 작성케 한 것으로 나타났다.
입사지원서에 출신학교와 신체조건, 가족관계 등을 기재하는 것은 사회적 편견을 초래하는 인권침해라는 지적이 많아 정부가 블라인드 채용방식을 도입했다.
학벌없는사회는 "지방공기업이 차별없는 채용을 추진하도록 광주시에 상시적인 관리·감독을 요구했다"며 "향후에도 광주시 17개 출연·출자기관의 블라인드 채용 여부를 조사하겠다"고 밝혔다.
김성규 기자tjchehd538@nate.com
창업신문 http://www.news33.net/news/articleView.html?idxno=12884
지방 공기업인 광주시 김대중컨벤션센터가 행정안전부의 블라인드 채용 기준을 지키지 않는 것으로 드러났다.
학벌 없는 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이하 학벌 없는 사회)은 29일 발표한 자료에서 "행정안전부의 가이드라인에 따라 지방공기업인 김대중컨벤션센터는 블라인드 채용을 의무적으로 실시해야 하지만 이를 따르지 않고 있다"고 주장했다.
블라인드 채용은 학력이나 출신학교, 출신지역 등 전형 과정에서 불필요한 신상정보를 서류전형이나 면접 과정에서 적거나 묻는 것을 금지한다.
학벌 없는 사회는 "김대중컨벤션센터는 8월 이후 실시한 5건의 채용공고 중 단 1건도 블라인드 채용 기준을 지키지 않았다"며 "컨벤션센터 입사지원서 양식에는 직무 능력과 무관한 출신학교나 학교 소재지, 사진 등 응시자의 신상정보를 요구하고 있다"고 말했다.
학벌 없는 사회 관계자는 "지방공기업에서 차별 없는 채용이 이뤄질 수 있도록 광주시에 상시적인 관리·감독과 경영평가 등을 요구하겠다"고 말했다.
노컷뉴스 http://www.nocutnews.co.kr/news/4838238#csidx66ec93baabba907a03a55677bdf8195
정부의 블라인드 채용 방침에도 불구하고, 김대중컨벤션센터가 해당 방침을 지키지 않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은 “광주광역시 관내 지방공기업 5곳을 확인한 결과 김대중컨벤션센터가 블라인드 채용을 준수하지 않았다”고 28일 발표했다.
학벌없는사회에 따르면 김대중컨벤션센터는 8월 이후 실시된 5건의 채용공고 중 단 한 건도 블라인드 채용을 준수하지 않았다.
또한 해당 입사지원서 양식에는 “직무능력과 연관이 없는 채용 응시자의 신상정보(출신학교명, 학교소재지, 퇴직사유, 학점, 사진 등)를 입사지원서에 작성”하도록 요구했다.
이에 학벌없는사회는 “각종 차별과 인권침해 요소를 입사지원서에 기재하게 하는 것은 특정 요소에 의해 차별하거나, 특정 출신자를 우대 또는 배제할 소지가 있다”며 “개인의 능력에 따른 인재채용을 저해하고, 채용 응시자들의 심리적 박탈감과 열등감을 초래하는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다”
학벌없는사회는 ‘이러한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고 모든 지방공기업에 차별 없는 채용이 추진될 수 있도록, 광주광역시청에 상시적인 관리·감독 및 경영평가 지표 반영(미준수 기관은 페널티 부여)을 촉구’했다.
올해 9월부터 블라인드 채용이 시행되는 광주광역시 관내 17개 출연·출자기관에 대해서도 블라인드 채용 도입 여부 실태조사를 진행할 예정이다.
한편 행정자치부는 지난 7월 지방공기업 블라인드 채용을 추진하기 위해 가이드라인 발표 및 지방공기업 인사담당자 교육을 실시했고, 그 이후 광주광역시청은 광주광역시 관내 출연·출자기관 및 기타 공공기관의 인사담당자를 대상으로 자체 교육을 실시한 바 있다.
이는 평등한 기회와 공정한 과정을 위한 채용방안으로, 지방공기업의 경우 8월부터 블라인드 채용을 의무적으로 실시해야 한다. (공공기관 7월 → 지방 공기업 8월 → 지방 출연‧출자기관 9월, 순차적으로 블라인드 채용 실시)
블라인드 채용의 핵심은 학력, 출신학교·지역, 신체조건, 가족관계, 사진 등 불필요한 신상정보를 서류전형이나 면접과정에서 적거나 묻는 것을 금지하는 것이다.
김우리 기자 uri@gjdream.com
광주드림 http://www.gjdream.com/v2/news/view.html?uid=482056
센터 측 “향후 채용 땐 적용할 것”
광주광역시 산하 공기업인 김대중컨벤션센터가 정부의 ‘블라인드 채용’ 권고를 지키지 않아 말썽을 빚고 있다. 이 같은 사실은 ‘학벌 없는 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이 30일 공개한 ‘광주 5개 공기업 채용 정보 조사·분석’ 결과 드러났다.
분석 내용을 보면 김대중컨벤션센터는 8월 이후 진행한 5건의 단기 계약직 채용공고 중 단 1건도 블라인드 채용 가이드라인을 지키지 않았다.
센터는 직무능력과 연관이 없는 채용 응시자의 신상정보(출신학교명, 학교소재지, 퇴직사유, 학점, 사진 등)를 입사지원서에 작성하도록 요구했다. ‘에이스 페어’ 단기계약직 채용공고에서는 출신학교 명기 이외에도 학창 시절 경력사항 등을 담은 자기소개서를 내도록 했다.
광주국제차(茶)문화 전시회, 국제뿌리사업 전시회, 시니어 의료사업박람회 등 각종 전시회 운영요원 채용 공고 때도 이와 비슷한 내용을 지원서에 기재토록 했다.
센터 관계자는 “채용 공고 당시 적용 대상이 명시되지 않아 혼란이 빚어졌다”며 “최근 보완 지침을 접수한 만큼 이를 토대로 관련 규정을 정비한 뒤 향후 모든 채용에서 블라인드 방식을 적용할 것”이라고 해명했다.
앞서 행정안전부는 이달부터 지방공기업에 블라인드 채용을 의무적으로 시행토록 한 바 있다.
광주 최치봉 기자 cbchoi@seoul.co.kr
서울신문 http://go.seoul.co.kr/news/newsView.php?id=20170831013011&wlog_tag3=daum
이달 지방공기업 의무 실시··· 채용공고 5건 신상정보 요구
지방 공기업에 대한 블라인드 채용 의무화가 시행됐지만 광주 지방공기업인 김대중컨벤션센터는 이를 준수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29일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이 광주시 지방공기업 5곳의 채용정보를 조사한 결과 김대중컨벤션센터가 8월 이후 실시한 채용공고 5건 중 블라인드 채용으로 진행된 건은 한 건도 없었다.
현재 행정안전부의 가이드라인에 따라 7월 공공기관을 시작으로 지방공기업은 8월부터, 지방 출연·출자기관은 9월부터 각각 블라인드 채용을 의무적으로 실시해야 한다.
블라인드 채용의 핵심은 학력과 출신학교·지역·신체조건·가족관계·사진 등 불필요한 신상정보를 서류전형이나 면접 과정에서 적거나 묻는 것을 금지하는 것이다.
그러나 김대중컨벤션센터는 입사지원서 양식에 직무 능력과 연관이 없는 출신학교·학교 소재지·퇴직사유·학점·사진 등 채용 응시자의 신상정보를 작성하도록 요구한 것으로 나타났다.
광주환경공단은 지난 24일 게시한 일용직근로자 채용공고를 가이드라인에 맞춰 변경, 25일에 재공고했고 나머지 지방공기업인 광주도시철도공사와 광주도시공사, 광산구시설관리공단은 채용을 실시하지 않았다.
학벌없는사회 관계자는 “각종 차별과 인권침해 요소를 입사지원서에 기재하게 하는 것은 특정 요소에 의해 차별하거나 특정 출신자를 우대 또는 배제, 더 나아가 사회적 편견으로 이어진다”며 “모든 지방공기업에 차별 없는 채용이 추진될 수 있도록 광주시에 상시적인 관리·감독 및 경영평가 지표 반영을 촉구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김대중컨벤션센터 관계자는 “행정자치부 지침에 대상이 정확하게 명시돼 있지 않다 보니 이번 단기근무인원 채용에 블라인드 채용 방침이 적용되지 않았다”며 “앞으로는 단기근무인원을 포함해 모든 채용에 블라인드 채용을 적용할 것”이라고 해명했다.
광남일보 http://www.gwangnam.co.kr/read.php3?aid=1504003731266034023
광주 공기업 5곳 분석 결과 이달부터 의무시행 불구 신상정보 지원서에 요구
광주시 산하 공기업인 김대중컨벤션센터가 '블라인드 채용' 의무를 지키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벌없는 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에 따르면 광주시 산하 5곳의 공기업 채용 정보를 조사ㆍ분석한 결과다.
분석 조사 대상은 김대중컨벤션센터를 비롯해 광주도시공사, 광주도시철도공사, 광주환경공단, 광산구시설관리공단 8월 중 채용 공고 내용이다.
분석 결과 김대중컨벤션센터는 8월 이후 진행한 5건의 채용공고 중 단 1건도 블라인드 채용을 준수하지 않았다.
김대중컨벤션센터는 직무능력과 연관이 없는 채용 응시자의 신상정보(출신학교명, 학교소재지, 퇴직사유, 학점, 사진 등)를 입사지원서에 작성하도록 요구했다.
정부의 블라인드 채용 의무 방침을 지키지 않은 것이다.
행안부는 지난 7월 지방공기업의 블라인드 채용을 추진하기 위해 가이드라인을 발표 했고, 8월부터 블라인드 채용을 의무적으로 시행하도록 했다.
지방 출연ㆍ출자기관은 9월부터 블라인드 채용이 의무화된다.
블라인드 채용의 핵심은 학력, 출신학교ㆍ지역, 신체조건, 가족관계, 사진 등 불필요한 신상정보를 서류전형이나 면접과정에서 적거나 묻는 것을 금지하는 것이다.
앞으로 고용현장에서는 각종 차별과 인권침해가 줄어들고, 교육현장에서는 불필요한 입시경쟁과 스펙 쌓기가 다소 해소될 것이라는 기대감을 준 블라인드 채용이다.
같은 기간 광주환경공단은 '국가하천 계절업무 일용직 근로자 채용공고'를 내면서 이력서 양식을 블라인드 채용 가이드라인에 맞게 공고했다.
나머지 지방공기업인 광주도시철도공사와 광주도시공사, 광산구시설관리공단은 8월 중 채용 일정이 없었다.
학벌없는 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은 "지방공기업에서 각종 차별과 인권침해 요소를 입사지원서에 기재하게 하는 것은 특정 요소에 의해 차별하거나, 특정 출신자를 우대 또는 배제, 더 나아가 사회적 편견으로 이어진다"며 "개인의 능력에 따른 인재채용을 저해하고, 채용 응시자들의 심리적 박탈감과 열등감을 초래하는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다"고 지적했다.
학벌없는 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은 지방공기업에 차별 없는 채용이 추진될 수 있도록, 광주광역시청에 상시적인 관리ㆍ감독 및 경영평가 지표 반영 등을 촉구했다. 또 올해 9월부터 블라인드 채용이 시행되는 광주시 관내 17개 출연ㆍ출자기관에 대해서도 블라인드 채용 도입 여부 실태조사를 진행할 예정이다.
김대중컨벤션센터는 "블라인드채용 관련 행안부 지침에 대상이 정확히 명시되어 있지 않아 공공기관들의 잦은 질의와 민원 발생하고 있다"며 "이와 관련 8월22일자로 보완지침이 접수돼 관련 규정을 개정 중에 있다"고 해명했다.
홍성장 기자 sjhong@jnilbo.com
전남일보 http://www.jnilbo.com/read.php3?aid=1504018800531070002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