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고뉴스 http://www.shinmoongo.net/sub_read.html?uid=104926

,

사회적통합대상자·원거리통학자 비율 미비


광주지역에서 기숙사를 운영중인 일반고등학교 10곳 중 9곳이 우선선발 대상인 사회적통합대상자와 원거리 통학자를 외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이 광주시교육청에 정보공개를 통해 받은 자료에 따르면 기숙사를 운영중인 광주 일반고 26곳 중 24곳(92.3%)이 조례 규정에 미달한 것으로 집계됐다. 


광주시 각급학교 기숙사 설치 및 운영 조례에는 기숙사 입사자 선발 시 사회적통합대상자는 기숙사 정원의 10%, 원거리 통학자는 5%를 우선적으로 선발하도록 돼 있다. 


하지만 광주지역 26개 일반고 기숙사 중 이 규정을 모두 지킨 학교는 조선대 부속고와 동명고 등 2곳에 불과했다. 


조선대 부속고는 58명 정원에 사회적통합대상자 8명(13.8%), 원리 통학자 3명(5.2%)이었다. 


동명고는 69명 정원에 사회적통합대상자 23명(33.3%), 원거리통학자 43명(62.3%)로 기준을 훨씬 웃돌았다. 이는 도서지역과 원거리지역 학생 중 희망자를 100% 입사토록 하는 기숙사 선발 기준에 따른 것으로 분석됐다. 


두 학교 외에 사회적 통합대상자 비율(10%) 규정을 지킨 곳은 한 곳도 없었으며 원거리 통학자 비율(5%)만 규정에 맞게 운영한 곳은 10곳이었다. 


전남대사범대학 부설고와 살레시오고, 석산고, 금호고, 문성고, 호남삼육고, 고려고, 수피아여고, 대성여고, 숭일고 등이다. 


특히 전남고는 기숙사 정원 70명 중 사회적 통합대상자와 원거리 통학자가 1명도 포함돼 있지 않았다. 광주여고도 원거리 통학자 비율이 0%였다. 


학벌없는 사회는 "사회적통합대상자와 원거리통학자 인원을 제외한 나머지는 각 학교의 기숙사 운영규정을 근거해 선발한다"며 "대다수 고등학교가 학업성적을 기준으로 기숙사 입사자를 선발하고 있어, 현재 일반고 기숙사는 심화반 또는 우반이라 불러도 과언은 아니다"라고 지적했다. 


이어 "상당수 학교가 소위 명문대에 진학할 수 있는 학생들을 관리하기 위해 기숙사를 운영하고 있다"며 "원거리통학자, 사회적통학대상자 등 실제로 기숙사가 필요한 학생들을 위해 공간을 운영하고 그 외 공간은 학생자치활동을 위해 사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광주에서 기숙사를 운영하는 고등학교는 34개로 이 중 19개교가 학업성적을 반영해 입사자를 선발하는 등 차별하고 있다. 이에 학벌없는사회는 지난 5월 국가인권위원회에 진정서를 제출해 현재 인권위에서 조사 중이다.


뉴스1 http://news1.kr/articles/?3049996

,

광주지역 일반고 기숙사 입사자 중 사회적 통합 대상자와 원거리 통학자의 비율이 낮은 것으로 드러났다. 


학벌 없는 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이하 학벌 없는 사회)은 광주 시내에서 기숙사를 운영하는 26개 고등학교 2,698명 중에서 사회적 통합 대상자는 5%, 원거리 통학자는 10% 남짓에 불과하다고 말했다. 


광주시 '각 급 학교 기숙사 설치 및 운영 조례'에는 기숙사 운영학교는 입사자 선발 시 사회적 기숙사 정원 중 사회적 통합 대상자 10%, 원거리 통학자 5%를 우선 선발하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지만 잘 지켜지지 않는 것이다.


현재 광주 시내에서 기숙사를 운영하는 고등학교는 모두 34개 중 19개 고등학교가 기숙 인원을 선발하는 데 학업 성적을 반영하고 있다.


학벌 없는 사회는 "사회적 통합 대상자와 원거리 통학자 인원을 제외한 나머지 기숙사 인원 상당수는 학업성적을 기준으로 선발하고 있어 발생한 일"이라고 지적했다. 


학벌 없는 사회 관계자는 "광주 지역 기숙사 운영 학교 상당수가 소위 명문대에 진학할 수 있는 학생들을 관리하기 위해 기숙사를 운영 중"이라며 "실제 기숙사 시설이 필요한 아이들이 기숙 시설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학벌 없는 사회는 지난 5월 국가인권위원회에 진정서를 제출해 인권위 조사가 진행 중이다.


노컷뉴스 http://www.nocutnews.co.kr/news/4816363#csidx3f0ca49b696ed45a769e11aec5b2801 

,

학벌없는사회 “원거리·사회적통합대상자 선발 조례 미준수”


광주지역 일반고 기숙사 입사자 중 우선선발 해야 할 사회적통합대상자·원거리통학자의 비율이 미비한 것으로 드러났다. 


기숙사를 성적우수자들을 관리하기 위한 수단으로 전락시킨 상황에서 관련 조례마저 유명무실해진 상황이란 지적이다.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이하 학벌없는사회)이 10일 광주시교육청에 정보공개청구해 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광주 관내 26개 일반고 기숙사 정원 대비 사회적통합대상자 인원은 5.0%, 원거리통학자는 10.3%였다. 


이는 광주광역시 각급학교 기숙사 설치 및 운영 조례에 따라 기숙사 운영학교는 입사자 선발 시 ‘사회적통합대상자는 기숙사 정원의 10%, 원거리 통학자는 5%를 우선적으로 선발하도록 노력해야 한다’는 사항이 준수되지 못한 것이다. 


학벌없는사회에 따르면, 위 두 가지 사항을 준수한 일반고 기숙사 운영학교(26개교)는 조선대학교부속고등학교, 동명고등학교(2개교) 뿐이다. 


또한 사회적통합대상자를 정원의 10%이상 선발한 곳은 2개교이며, 원거리 통학자를 5%이상 선발한 곳은 12개교다. 


특히 동명고는 기숙사 정원의 사회적통합대상자 33.3%, 원거리대상자 62.3%로 우선선발 비율이 가장 높았다. 


이와 관련해 학벌없는사회는 “동명고가 합리적인 기숙사 선발기준(도서지역 및 원거리지역 학생 중 희망자는 100% 입사가능)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학벌없는사회는 “상당수 기숙사 운영학교가 소위 명문대에 진학할 수 있는 학생들을 관리하기 위해 기숙사를 운영하는 것이 현실”이라며, “원거리통학자, 사회적통학대상자 등 실제로 기숙사가 필요한 학생들을 위해 공간이 운영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광주광역시 관내 기숙사를 운영하는 고등학교는 34개교로 이 중 19개교가 학업성적을 반영하여 입사자를 선발하는 등 차별하여, 지난 5월 학벌없는사회는 국가인권위원회에 진정서를 제출한 바 있다. 


김우리 기자 uri@gjdream.com


광주드림 http://www.gjdream.com/v2/news/view.html?news_type=202&uid=481322

,

광주광역시 일반 고교 기숙사 입사 우선 선발 "지켜지지 않아"

시민모임 "사회적통합대상자·원거리통학자 비율 미비…시정 촉구" 


[아시아경제 문승용 기자] 광주광역시 지역 일반 고등학교 기숙사 입사자 중 우선선발 대상인 사회적통합대상자·원거리통학자의 비율이 미비한 것으로 드러났다.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학벌없는사회)이 광주광역시교육청이 공개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17년 7월 10일 현재 광주 지역 내 26개 일반고교 기숙사 총 정원 대비 사회적통합대상자 인원은 5.0%, 원거리통학자는 10.3%, 총 현원 대비 사회적통합대상자 인원은 5.9%, 원거리통학자는 12.2%으로 나타났다. 


광주광역시 각급학교 기숙사 설치 및 운영 조례에 따르면, 기숙사 운영학교는 입사자 선발 시 ‘사회적통합대상자는 기숙사 정원의 10%, 원거리 통학자는 5%를 우선적으로 선발하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명시돼 있다. 


그러나 이 조례를 준수한 일반고 기숙사 운영학교 26개교 중 조선대학교부속고등학교, 동명고등학교 2개교로 집계됐다.


구체적으로 사회적통합대상자를 정원의 10%이상 선발한 곳은 2개교이며, 원거리 통학자를 5%이상 선발한 곳은 12개교이다.  


특히 동명고는 기숙사 정원의 사회적통합대상자 33.3%, 원거리대상자 62.3%로 우선선발 비율이 가장 높았는데, 그 원인은 합리적인 기숙사 선발기준(도서지역 및 원거리지역 학생 중 희망자는 100% 입사가능) 때문이라고 보여 진다. 


사회적통합대상자와 원거리통학자 인원을 제외한 나머지 기숙사 인원은 각 학교의 기숙사 운영규정을 근거해 선발하는데, 대다수 고등학교가 학업성적을 기준으로 기숙사 입사자를 선발하고 있어, 현재 일반고 기숙사는 심화반 또는 우반이라 불려도 과언은 아니라는 것이다.


학벌없는사회는 “상당수 기숙사 운영학교가 소위 명문대에 진학할 수 있는 학생들을 관리하기 위해 기숙사를 운영하는 것이 현실"이라며, "원거리통학자, 사회적통학대상자 등 실제로 기숙사가 필요한 학생들을 위해 공간이 운영되고, 그 외 공간은 학생자치활동을 위해 사용돼야 한다”고 광주시교육청에 요구했다. 


한편, 광주광역시 지역내 기숙사를 운영하는 고등학교는 34개교로 이 중 19개교가 학업성적을 반영해 입사자를 선발하는 등 차별해 지난 5월4일 학벌없는사회는 국가인권위원회에 진정서를 제출한 바 있으며, 현재 인권위에서 조사 중에 있다.


문승용 기자


아시아경제 http://www.asiae.co.kr/news/view.htm?idxno=2017071709491250351

,

사회적통합대상자 5.0%·원거리통학자 10.3%


【광주=뉴시스】맹대환 기자 = 기숙사를 운영중인 광주지역 일반고등학교 중 우선선발 대상인 사회적통합대상자와 원거리통학자의 비율이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학벌없는 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이하 학벌없는사회)이 광주시교육청으로부터 정보공개 청구로 제공받은 자료에 따르면 광주지역 26개 일반고 기숙사의 총 정원대비 사회적통합대상자 비율은 5.0%, 원거리통학자는 10.3%로 집계됐다.


광주시 각급학교 기숙사 설치 및 운영 조례에 따르면 기숙사 운영학교는 입사자 선발 시 사회적통합대상자는 기숙사 정원의 10%, 원거리 통학자는 5%를 우선적으로 선발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두 가지 사항을 준수한 일반고 기숙사 운영학교는 조선대부속고등학교와 동명고 등 2개교 뿐이다.

 

사회적통합대상자를 정원의 10% 이상 선발한 곳은 조선대부속고와 동명고 2개교이며, 원거리 통학자를 5% 이상 선발한 곳은 12개교이다.


동명고는 기숙사 정원의 사회적통합대상자 33.3%, 원거리대상자 62.3%로 우선선발 비율이 가장 높았다. 이유는 도서지역과 원거리지역 학생 중 희망자는 100% 입사가 가능하다는 합리적 선발기준이었다.


사회적통합대상자와 원거리통학자 인원을 제외한 나머지 기숙사 인원은 각 학교의 기숙사 운영규정을 근거해 선발하는데, 대다수 고등학교가 학업성적을 기준으로 입사자를 선발하고 있어 '심화반'이라는 지적을 받고 있다.


학벌없는사회는 "상당수 학교가 소위 명문대에 진학할 수 있는 학생들을 관리하기 위해 기숙사를 운영하는 것이 현실"이라며 "원거리통학자와 사회적통합대상자 등 실제로 기숙사가 필요한 학생들을 위해 공간을 운영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mdhnews@newsis.com


뉴시스 http://www.newsis.com/view/?id=NISX20170717_0000042511&cID=10809&pID=10800

,

광주 교육단체 "현재 기숙사는 심화반이나 마찬가지"


(광주=연합뉴스) 김재선 기자 = 광주지역 일반고 기숙사 입사자 가운데 사회적 통합 대상자와 원거리 통학자의 비율이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학벌없는 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이하 학벌없는 사회)에 따르면 광주시교육청에 정보공개를 청구해 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광주 시내 26개 일반고 기숙사 총 정원 2천698명 가운데 사회적 통합 대상자 인원은 135명으로 전체의 5.0%, 원거리 통학자 인원은 277명으로 전체의 10.3%에 그쳤다.


현재 인원 2천275명과 비교하면 사회적 통합 대상자는 5.9%, 원거리 통학자는 12.2%였다.


광주시 '각급 학교 기숙사 설치 및 운영 조례'에는 '기숙사 운영학교는 입사자 선발 시 사회적 기숙사 정원 가운데 사회적 통합 대상자 10%, 원거리 통학자 5%를 우선 선발하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다.


그러나 광주지역에서 기숙사를 운영하는 26개 일반고 가운데 이 같은 2가지 사항을 준수한 학교는 조선대 부속고등학교와 동명고등학교 2곳뿐이었다.



사회적 통합 대상자와 원거리 통학자 인원을 제외한 나머지 기숙사 인원은 대다수 고등학교가 학업성적을 기준으로 선발하고 있어 현재의 일반고 기숙사는 심화반 또는 우수반이라 불려도 과언이 아니라고 학벌없는 사회는 지적했다.


현재 광주 시내에서 기숙사를 운영하는 고등학교는 모두 34개로 이 중 19개 학교가 학업성적을 반영해 입사자를 선발하는 등 차별하고 있다.


이에 학벌없는 사회는 지난 5월 국가인권위원회에 진정서를 제출해 현재 인권위가 조사를 벌이고 있다.


학벌없는 사회 관계자는 "상당수 기숙사 운영학교가 소위 명문대에 진학할 수 있는 학생들을 관리하고자 기숙사를 운영하는 것이 현실"이라며 "원거리 통학자 등 실제로 기숙사가 필요한 학생들을 위해 공간을 운영해야 하고 그 밖에 공간은 학생 자치활동을 위해 사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kjsun@yna.co.kr


연합뉴스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7/07/17/0200000000AKR20170717038500054.HTML?input=1179m

,

전남인터넷신문 http://jnnews.co.kr/news/view.php?idx=204461

,

광주지역 일부 학교에서 기숙사 입사자들을 대상으로 전용공간에서 야간 자율학습을 해온 사실이 드러났다.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이하 학벌없는 사회)은 보도자료를 내고 광주광역시교육청을 통해 시민모임에 제보된 내용을 확인한 결과 광주 고려고등학교 기숙사 입사자들이 학교 내 전용공간에서 야간 자율학습을 하고 해당 학생 학부모들은 자체적으로 비용을 갹출해 학생들의 간식비로 사용한 것으로 파악됐다고 밝혔다.


이 단체는 "성적 우수자로 구성된 기숙사 입사자가 야간 자율학습 시 전용공간을 사용하는 것은 심화반 형태의 교육활동으로, 정규교육과정 외 교육활동 기본계획을 위반한 것"이라며 "자율학습 전용공간이 합리적인 이유 없이 특정 학생들에게만 차별적으로 제공되거나, 특정학생들과 그 범위에 들어가지 않는 학생들 사이에서 차별적 인식을 조장하는 결과를 초래해서는 안된다"고 주장했다.


학벌없는 사회는 "학생들의 자율적 선택에 의한 정규교육과정 외 교육활동 운영으로 학교교육활동의 정상화가 되길 바란다"며 성적우수자 중심의 교육활동이 이뤄지지 않도록 광주시교육청의 지도감독을 촉구했다.


광주광역시교육청도 일부 성적우수자들에 대한 특혜로 인정될 수 있는 부분이 있다고 판단해 해당 학교 측에 시정을 요구했다.


김종범 기자  kgb29@hanmail.net


BBS뉴스 http://news.bbsi.co.kr/news/articleView.html?idxno=832733

,

학벌없는사회, 광주 K고 시정 요구

시교육청에도 지도ㆍ감독 촉구


학벌없는사회를위한광주시민모임(이하 학벌없는사회)은 13일 광주 K고교가 특정 학생들에게만 야간자율학습 전용공간을 제공하는 것은 차별행위라며 시정을 촉구했다. 학벌없는사회에 따르면 K고는 2~3학년의 경우 야간자율학습 때 기숙사 입사자들이 학교 내 전용공간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 해당 학생의 부모들은 자체적으로 비용을 걷어 간식비로 사용한 것으로 드러났다.


학벌없는사회는 “자율학습 전용공간을 제공하면서 합리적인 이유 없이 특정 학생들에게만 차별적으로 시행하거나 특정 학생들과 그 범위에 들어가지 않는 학생들 사이에 차별적 인식을 조장해서는 안 된다”며 “이 같은 사례가 일부 성적 우수자에 대한 특혜로 인정될 수 있다고 판단해 학교 측에 시정을 요구했다”고 밝혔다. 


이어 “성적 우수자로 구성된 기숙사 입사자가 야간 자율학습 시 전용공간을 사용하는 것은 심화반 형태의 교육활동으로, 2017학년도 정규교육과정 외 교육활동 기본계획을 위반한 것”이라며 광주시교육청의 지도감독을 촉구했다.


학벌없는사회는 “이번 사례는 관행적인 문제로 현재 기숙사를 갖춘 많은 학교가 이러한 형태로 교육활동을 운영하고 있다”며 “학교시설 수용한계를 인정하더라도 입실 인원 제한 기준으로 기숙사 입사생이 아니라 전용공간 운영규정 준수 의지, 교우관계, 가정형편 등 다양한 사항을 고려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안경호 기자 khan@hankookilbo.com


한국일보 http://www.hankookilbo.com/v/b6435634f6a84a7c87dbd3052192849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