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가톨릭평화방송) 김선균기자 = 시민단체인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은 광주은행이 신입 행원을 선발하는 과정에서 대학별 추천제를 시행하고 있는 것과 관련해 “이는 공정한 채용 기회를 박탈한 것이라며 오늘(8일) 국가인권위원회에 진정서를 제출했다”고 밝혔습니다.
‘학벌없는사회’는 오늘 보도자료를 내고 “광주은행 행원 채용 과정에서 시행하고 있는 ‘대학별 추천제’가 고졸자와 취업준비생, 미 추천 대학 구성원의 채용 기회를 박탈한 것이자, 학력차별과 대학 서열화, 채용 불공정성 등 문제가 있다”고 비판했습니다.
단체에 따르면 “광주은행이 내부 규정을 이유로 대학별 추천인원을 공개하지 않고 있지만, 단체가 ‘2017학년도 광주권 일부 대학의 광주은행 행원 추천공고’를 입수한 결과 전남대 52명, 조선대는 45명을 할당 받은 반면, 호남대 5명, 광주대 3명 등 여러 대학은 이에 훨씬 미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특히, “광주은행은 지난 2010년 은행권 최초로 고졸자 행원을 채용해 지난 2013년까지 고졸자에게 취업문을 열어줬지만, JB금융이 광주은행을 인수한 지난 2014년부터 최근까지 고졸자를 단 한명도 채용하지 않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단체는 “비록 기업의 직원채용이 사적 영역이라고는 하지만 광주지역을 대표하는 오랜 향토기업으로서 사회적 책임과 사회 전반에 미치는 상징성과 영향을 감안한다면 결코 묵과할 수 없는 심각한 문제”라고 꼬집었습니다.
이에 대해 광주은행 관계자는 “대학교추천제는 외부청탁 방지 등 공정성을 기하기 위해 시행하고 있는 제도”라고 밝혔습니다.
이 관계자는 이어, “대학별 추천서 교부 매수는 과거 인터넷공채 시행 당시 학교별 지원자 통계 및 학생수 등을 감안해 매우 합리적으로 산정한 것으로 단순히 추천서 매수의 차이만을 가지고 학교별 차별이 있다고 볼수 없다”고 덧붙였습니다.
학벌없는사회를위한광주시민모임은 8일 광주은행이 신입사원 채용 과정에서 대학별 추천제를 이용하는 것은 학력 차별이고 대학 서열화를 부추긴다며 철회를 촉구했다.
학벌없는사회는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광주은행 행원 채용의 불공정성을 개선해야 한다며 국가인권위원회에 진정서를 제출했다”고 밝혔다. 학벌없는사회는 “광주은행은 정규직원은 4년제 대학 이상 졸업자로, 계약직원은 2년제 대학 이상 졸업자로 학력을 제한하고 있다”면서 “공통 제출서류로 학교추천서를 요구하고 있으며, 광주은행은 대학별 추천 인원을 별도로 할당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광주은행이 대학별 추천 인원을 비공개하고 있으나, 학벌없는사회가 입수한 2017학년도 광주 소재 일부 대학의 광주은행 행원 추천공고에 따르면 전남대 52명, 조선대 45명이 추천서를 할당받은 반면 호남대는 5명, 광주대는 3명에 못 미치고 있다”면서 “대학 추천서는 광주·전남 소재 대학에 주로 배정하고 나머지는 수도권 주요 대학에 할당하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광주·전남 소재 일부 대학교는 광주은행으로부터 추천 협조를 받지 못한 실정”이라고 지적했다.
광주은행은 은행권 최초로 2010년 고졸자 행원을 채용한 것을 시작으로 2013년까지 고졸자(특성화고 학생)에게 취업문을 열어준 바 있으며, 현재 국민·신한·하나은행 등 대다수 시중은행은 응시자격의 학력제한을 없애고 있다.
학벌없는사회는 또 “광주은행의 대학별 추천제는 지역인재 선발을 위한 것이라고 인정할지언정 대학 간 추천 인원 격차와 학력제한은 납득할 수 없고 객관성을 인정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이에 광주은행은 대학교추천제는 외부청탁 방지 등 공정성을 기하기 위해 시행하고 있는 제도라며 반박하고 나섰다.
광주은행 관계자는 “대학별 추천서 교부 매수는 과거 인터넷공채 시행시의 학교별 지원자 통계 및 학생수 등을 감안했다”면서 “매우 합리적으로 산정한 것으로, 단순히 추천서 매수의 차이만을 가지고 학교별 차별이 있다고 볼 수 없다”고 밝혔다.
(뉴스투데이=정진용기자) 정부가 지난 8월말부터 공무원 경력채용시험에서 학력과 가족관계, 외모 등 직무능력과 무관한 내용을 철저히 배제키로 한 이후 공공기관들의 블라인드 채용이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신용보증재단이 광주 출연기관 중 처음으로 인사기록카드에 학력 등 불필요한 정보란을 삭제해 관심을 모으고 있다.
‘학벌 없는 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이 최근 광주광역시 관내 출연·출자기관의 인사기록카드 서식을 확인한 결과, 광주신용보증재단이 인사기록카드에서 학력, 신체, 가족관계 등 불필요한 정보를 삭제했다고 17일 밝혔다.
학벌없는사회는 이 같은 사례가 관내 공기업과 출연, 출자기관 중 처음으로, 전국 단위로 확대 적용돼야 하는 모범사례라고 밝혔다.
실제 이날 공개된 광주신용보증재단 인사기록카드에 따르면 학력, 신체, 가족관계 등 불필요한 사항은 없고, 포상, 교육연수, 경력사항 등 직무와 연계하는 사항만 기재하도록 양식을 바꿨다.
하지만 다른 출연, 출자기관들은 여전히 인사기록카드에 학력, 신체, 가족관계 등은 물론 재산, 병역, 정당·사회단체, 종교 등 개인과 그 부모의 신상과 관련된 내용을 기재하도록 요구, 정부의 블라인드채용 지침을 무색하게 했다.
학벌없는사회는 광주신용보증재단의 인사기록카드는 평판인사를 불식시키고, 합리성과 객관성이 강화된 인사관리를 위한 진일보한 변화이며 나아가 합리적인 기준에 따라 인사하는 원칙이 공직사회에 뿌리내릴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학벌없는사회는 이에 앞서 지도감독청인 광주광역시에 출연·출자기관의 인권친화적인 인사기록카드 개정을 촉구한 바 있다. 이를 위해 지난 8월 광주 관내 지방공기업 인사기록카드의 불필요한 정보 삭제를 촉구하는 진정서를 광주광역시 인권옴부즈맨에 제출했으며 현재 진정 조사가 계류 중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