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from 공지사항
2014. 2. 20. 17:45
2014년도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 전체회원 설문조사
안녕하세요?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입니다. 3월14일에 진행할 정기총회에 앞서, 회원분들이 단체활동을 어떻게 평가하는지. 그리고 어떻게 단체운영이 되었으면 하는 바램이 있는지 파악하고자 전체회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합니다. 다소 질문 항목이 많고 복잡하더라도, 답변 꼭 해주시고 소중한 의견을 부탁드립니다.
○ 일시 : 2012년2월19일 저녁7시 아름다운가게헌책방 광주용봉점
○ 발표자료 2월 사람책도서관.vol1.egg
2월 사람책도서관.vol2.egg
용봉사람책도서관이 돌아왔습니다. 올해 첫 사람책인 박홍준 님을 초대해 학교밖청소년으로서의 삶과 고뇌를 듣고 나누는 자리를 열었습니다. 굳이 관리자가 후기를 남기지 않을 정도로 참가하신 여러분들이 페이스북을 통해 후기를 남겨주셨네요. 공유하겠습니다. 참. 다음 사람책도서관은 3월19일 저녁7시(매달 세번째 수요일) 아름다운가게헌책방 광주용봉점에서 김형수 광주극장 이사님을 초대합니다. 그 때도 많이 찾아주세요.^^
광주광역시학교밖청소년지원센터 : 홍준이라는 사람책을 만나고 왔습니다. 래미학교의 학생이자 학교밖청소년으로 지난2년간 살아온 이야기를 즐겁게 들을 수 있는 자리였습니다. 홍준군을 응원하기위해 많은 친구들과 선생님들이 오셨네요. 2014년에는 다른 배움을 찾아떠나는 친구들이 특히 많은데, 홍준이는 자신만 변화가 없는건 아닌지 라는 고민도 한 것 같네요. 제가볼 땐 더욱 단단해진다는 느낌입니다. 어느새 지역에서 유명인이 되어가고 있는 홍준군ㅎ다양한 삶 속에서 각자의 배움을 이어가는 청소년,청년 모두 파이팅~~ 좋은 자리를 마련해준 학벌없는사회 광주모임, 아름다운가게헌책방광주용봉점에 감사인사 드립니다.
박홍준 : 오늘 사람책 도서관. 와주신 모든 분들 고맙습니다..! 최근 올해 계획도 세우지 않고. 어영부영 나를 방치하고 있었는데 좋은 기회가 와서 삶을 되돌아보았다. 좀 더 열심히 준비할 걸. 발등에 불떨어지고 시작해서 아쉬움이 가득. 횡설수설. 그래도 오랜만에 좋은 사람들과 모이고 좋은 사람들을 만나게 되고 ..좋다. 별그대를 포기하고 나를 보러 와주었다니.!! 아아 나는 성공한 사람이야~(?) 많은 분들이 내 삶을 엿보아서 부끄러운 밤. 내 게으른 실체를 알면 꿀밤을 먹이시겠지? 멋진 사람이 되고 싶어졌다. 올해는 꼭 열심히 사색하고. 움직여야지. 오늘부터 헛소리 페북 다시 시작..!
임창곤 : 람책 도서관~ 학교밖 청소년 이었다 이젠 성인이 된 박홍준님~!! 너무 유쾌하고 밝고 재밌고 의미있다. 학교를 안다녀도 된다는걸 알려주자!
Mina Choi : 오랜만에 모이게 된 래미 초창기 멤버들. 참 반갑다. 사람책 홍준이 덕분에 찰칵. 2년전 래미의 시작을 같이한 아이들. 참 많이 컸다. 생각도 마음도. 키도 쑥. 지역에서 유명해져 사람책이 된 녀석, 일년만에 의젓한 모습으로 나타나 '선생님 제가 떡볶이 살께요'라며 카드를 내미는 녀석, 래미가 아닌 또다른 배움터에서 공부를 하게 될 녀석들, 장난스레 물잔으로 건배제안을 하는 녀석까지. 참 즐겁다.
박고형준 : 작년에 이어, 올해 첫 용봉사람책도서관을 개방 했습니다. 첫 사람책으로 학교밖청소년 박홍준 님을 초대해 이야기를 나눴지요. 홍준님의 어머니, 친척, 학교선생님, 친구들, 그리고 홍준님을 처음보지만 알고 싶어하는 시민들이 모였답니다. 학교밖 대안학교생활, 사회생활(농사, 요리협동조합), 가족들과의 관계 이야기를 들으며 당당한 삶의 내공을 확인할 수 있었지만- 그 내면에 가려진 주변인에 대한 미안함, 삶에 대한 두려움도 약간씩 존재했다 걸 느낄 수 있었습니다. 사실 누구나 삶이 완벽할 순 없으니까요.돈의 척도에서 바라보는 성공으로 사람책을 따지면, 모두가 실패했다고 단정지을 수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람책에게 박수쳐줄 수밖에 없는 이유는 우리가 그런 삶을 동경하는 이유이기도 하지만, 꿈이 현실로 직시되지 않을수도 있다는 불안감을 잘 알고 있기때문에 응원의 박수를 던진건 아닐까 생각이 듭니다. 하지만 우리도 마냥 응원만 하지 말고, 사람책과 같이 꿈을 갖고 삶을 살아가보게요! 굳이 사람책처럼 현실 앞뒤 안보고 부딪히며 살진 못하더라도, 이런 대화를 자주 나누다보면 우리도 사람책처럼 서로 닮아있다는 걸 느끼게 될겁니다. 꿈이 뭐 별건가요. 생각 그 자체지요.
이정민 : 안녕하세요~'어느학교 몇학년'이라는 말로 제 정체성을 설명하기엔 턱없이 부족하기에 뭐라고 소개를 해야 할지 모르겠네요ㅠㅠ 올해 18살되는 이정민입니다! 사람책 도서관에서 학교밖 청소년 박홍준님의 이야기를 인상깊게 듣고 이렇게 페이스북 친구추가까지 하게 되었네요. 반응없고 피곤한 눈이었던 이유는 그런 자리가 어색해서지 절대 이야기가 재미가 없어서 그런게 아녜요 ㅋㅋ 아무튼 오늘 이야기 진짜 좋았습니다 ㅎㅎ






용봉 사람책 강연회, 학교 밖 청소년 박홍준의 이야기 19일 저녁7시, 아름다운가게헌책방 광주용봉점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 아름다운가게헌책방 광주용봉점이 운영하는 '용봉 사람 책> 강연회가 19일 오후 7시에 아름다운 가게 용봉점'에서 열린다.
이 달의 사람책 주인동은 '학교 밖 청소년'의 주인공인 박홍준씨가 참석하며 학교라는 틀 안에 갇힌 수많은 청소년들을 보면서 ‘우리는 자신이 원하는 교육을 받을 기회가 있었나?’라는 질문을 던진다.
박씨는 2011년까지 고등학교를 다니다 자퇴하고 광주시 청소년문화의집에 있는 대안학교인 래미학교에 입학하여 정해진 룰에 얽매이지 않고 학교 친구들과 함께 공연, 요리 등 활동들에 대해 들여준다,
박씨는 최근엔 ‘학교밖청소년지원센터’의 인턴으로 참여해 일을 도우며 자신과 사정이 비슷한 ‘학교밖청소년’들을 만나 고민을 공유하고 있다.
'사람책 도서관'은 단순한 텍스트가 아니라 생생한 삶의 이야기를 들려주는 일종의 강연회로써 휴먼라이브러리란 이름으로 덴마크의 비폭력주의 NGO단체에서 기획된 소통의 한 방법이다.
사람이 만나서 대화와 소통을 통해 타인에 대한 편견과 선입견을 줄이고, 타인의 진정한 삶을 이해하고 학습하는것을 말한다.
'사람책 도서관'은 편견의 대상이 된, 혹은 ‘우리와는 다르다’고 분류된 소수자, 자신의 분야와 위치에서 즐겁게 일하고 있는 사람들, 자신의 굴곡진 인생이야기를 들려주고픈 사람 등을 초청하고 있다.
문의: 070.8234.1319, (062)514.8975
from 살림살이
2014. 2. 19. 15:22
수입 | 거래금액 | 지출 | 거래금액 | 자동이체 | 30,000 | 인터넷호스팅 | 10,000 | 연회비 | 108,000 | 수도세1월 | 2,000 | 사업비 | 386,718 | 수도세2월 | 2,000 | CMS | 1,549,168 | 인터넷·전화 | 26,220 | | | 4대보험료 | 82,970 | | | 문자메세지 | 50,000 | | | 사업비 | 평등명절홍보 주유비 | 28,000 | | | 평등명절홍보 현수막 | 80,000 | | | 대학도서관 시민운동 기자회견 | 66,000 | | | 회의비 | 총회준비모임 | 39,000 | | | 회계감사 | 7,000 | | | 현수막 | 17,000 | 총계 | 2,073,886 | 총계 | 410,190 |
from 살림살이
2014. 2. 19. 15:21
수입 | 10 | 11 | 12 | CMS | 1,302,470 | | 2,668,010 | 자동이체 | 30,000 | 150,000 | 150,000 | 연회비 | | 60,000 | | 특별후원 | | 235,000 | | 부채 | | | | 내부사업 | 21,360 | | 34,160 | 임대수입 | 60,000 | 60,000 | 30,000 | 결산이자 | | | 655 | 기타 | | 5,000,000 | | 합계 | 1,413,830 | 5,505,000 | 2,882,825 |
지출 | 10 | 11 | 12 | 급여 | 900,000 | | 2,700,000 | 임대료 | 230,000 | | 50,000 | 부채상환 | | | | 물품구입 | | | | 연대사업 | | 54,000 | | 홍보, 인쇄 | 116,950 | 20,000 | 8,000 | 전화,인터넷 | 22,610 | 6,282 | 40,858 | 강연사업 | 250,500 | 250,500 | 250,000 | 내부사업 | | | | 주유 | | | | 우편료 | 3,700 | | | 소식지 | | | | 전기료 | 6,390 | 15,140 | | 문자, 팩스 | 30,000 | 50,450 | | 수리비 | 28,500 | | | 홈페이지 관리 | | 10,000 | 20,000 | 수도세 | | | | 연수비 | | | | 정보공개청구 | | 550 | | 4대보험 | 112,970 | 112,970 | 112,970 | 기타 | | 294,000 | | 합계 | 1,701,620 | 813,892 | 3,181,828 |
오늘 발송한 <광주광역시교육청 국외연수, 출자내역에 관한 정보공개 결정>에 대한 민원서 내용입니다! 행정심판청구에서 진 것도 모자라, 60여 페이지가 넘는 자료를 복사형태의 PDF로 전환해 보내줬습니다. 이는 우리단체가 관련 통계를 못내게 만드려는 속셈입니다.
1. 안녕하세요.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입니다.
2. 2014년1월24일 우리단체는 광주광역시교육청으로부터 <국외연수, 출자내역에 관한 정보공개 결정(문서번호 총무과-1161)>내역을 받았습니다.
3. 그러나 시교육청에서는 복사형태의 PDF파일을 보내주었고, 우리단체는 이와 관련한 통계작업을 하는데 애로를 겪고 있습니다.
4. 이에 우리단체 실무자가 유선전화로 항의하자, 담당 주무관은 그럴 의무가 없다며 복사형태의 PDF파일로 보내준 것은 합법적이다고 주장하였고 고의성도 인정하였습니다.
5. 허나, 대법원2004년8월209일선고2003두8302판결에 따르면 "정보공개를 청구하는 자가 공공기관에 대해 정보의 사본 또는 출력물의 교부의 방법으로 공개 방법을 선택하여 정보공개청구를 한 경우에 공개청구를 받은 공공기관으로서는 법 제8조 제2항에서 규정한 정보의 사본 또는 복제물의 교부를 제한할 수 있는 사유에 해당하지 않는 한 정보개 청구자가 선택한 공개 방법에 따라 정보를 공개하여야 하므로 그 공개 방법을 선택할재량권이 없다고해석함이상당하다."라고 명시되어 있습니다.
6. 또한, 정부가 올해3월부터 정보의 원문파일을 공개하기로 방침을 정하였고, 담당 주무관이 파일형식에 대한 선택권은 합법적이다는 주장은 고질적인 유권해석이라고 보여지는 바입니다.
7. 이에 우리단체는 <국외연수, 출자내역에 관한 정보공개 결정>내역을 HWP, EXCEL과 같은 원본파일로 보내줄 것을 다시 한 번 요청하는 바입니다. 끝.
학벌차별 사진을 발견-제보받았습니다. 이 사진은 금호고등학교 교장이 졸업식에 돌린 서신 일부입니다. 학벌지상주의의 결과를 졸업식을 통해 보여주고 있네요. 이런!!!
"서울대4명, 연세대7명, 고려대9명, 의치대10명, 성균관대4명, 한양대4명, 중앙대3명, 서울과기대4명을 비롯 기타 서울소재대학19명, 전남대58명, 조선대52명 등입니다."
사진출처 : 청소년인권행동 아수나로 광주지부

대학 정기전형 발표이후, 학원이나 학교에서 특정학교 합격 게시물을 붙히기 시작했습니다. 이 사진은 경기도 분당에 소재한 아키온 미술학원, 바우하우스 미술학원에서 걸은 홍보물사진인데요. 어느 분이 제보해주셨습니다. 보이시죠? '서울대학교 합격'이란 글귀가 가장 눈에 띕니다. 그 놈의 서울대학교가 뭐길래...^^ 그에 반면 광주에 소재한 숭일고등학교에서는 전교생 이름을 걸어놓은 응원현수막을 걸어놨습니다. 대학입시만을 강조하는 교육풍토와 달리, 닭살 돋을 정도로 정이 넘치는 진정한 학교문화 풍토 아닐까요? 숭일고와 같이 이런 현수막이 나부끼는 그 날을 위해 '특정학교 합격 게시물 반대활동'을 열심히 대응해 나가게습니다.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이란 단체의 장점은 한 번 물면 끝까지 포기 안한다는 것입니다! 대학도서관 시민개방, 끝까지 노력해 이뤄낼 것입니다. 2014.2.19 조선대학교 중앙도서관 앞 일인시위, 임하성 회원 참여

기본소득 강연회 제2탄. 생태적 기본소득에 대하여
전 세계적으로 금융 자본주의화가 심화되어 낙수효과는 사라지고 있고, 피크 오일이나 기후변화, 사회적 양극화 심화 등으로 그동안의 고도 경제성장 모델은 더 이상 불가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결국 저성장 시대의 복지정책으로 주목해야 할 정책은 바로 기본소득입니다.
기본소득은 ‘자산 심사나 노동 요구 없이 모든 개인에게 조건 없이 지급하는 소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기본소득은 다수 국민들이 자본의 관점으로부터 해방되어 기후변화를 비롯한 생태위기의 해결책을 모색할 수 있는 주요 조건 중의 하나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취지에서 기본소득에 대한 집중적인 논의를 통해 향후 한국사회에 적용할 수 있는 기본소득 정책을 제시하고자 ‘생태적 기본소득에 대하여’라는 주제로 강연회를 진행합니다. 많은 분들께서 관심을 가져다주시고, 다중지성의 힘을 모아 바람직한 기본소득 논의가 이뤄지는 장이 만들어지기를 기대합니다.
1. 행사개요
강의일정 : 2014년 2월28일(금) 저녁6시30분, 광주중앙도서관
강 사 : 김종철
참 가 자 : 시민 누구나
주관_ 노동당광주시당, 녹색당광주시당, 교육공간오름, 학벌없는사회를위한광주시민모임, 광주중앙도서관
후원_ 전국금속노조광주전남지부, 기아차광주지회, 기아차광주지회사내하청분회, 금호타이어지회, 캐리어에어컨지회, 전국사회보험지부광주전남지회
2. 강사소개
녹색평론 발행인, 녹색전환연구소 이사장, 경향신문 오피니언 필자
‘간디의 물레, 비판적 상상력을 위하여, 땅의 옹호’ 저자
3. 참가방법
온라인신청_ 접속 http://goo.gl/pB5kF7 → 작성하기
전화신청_ Tel 070.8234.1319 이메일신청_ antihakbul@gmail.com
* 선착순 50명. 누구나 참석이 가능하며 별도의 참가비는 없습니다.
4. 오시는 길
버스_ 동구청(남) 전남여고, 살레시오여고, 동구노인복지회관 하차 → 도보 5~10분
주소_ 광주광역시 동구 동명동 143-14번지 (서석초등학교 부근)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