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벌없는사회 "다양한 교육제공 취지 못살려··· 개선책 필요"

광주지역 학교들의 방과후학교 대부분이 영어교과나 입시위주로 운영되면서 ‘다양한 교육제공’이라는 본래 취지를 살리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일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이 광주시교육청으로부터 받은 ‘2017년 광주광역시 관내 초·중·고등학교의 방과후학교 현황(2017.4.30. 교육통계 기준)’자료를 분석한 결과 고등학교의 경우 총 5678개의 강좌중 국·영·수 등 교과관련 과목이 전체의 94.3%인 5355개로 나타났다. 본래취지인 특기적성 관련 강좌는 5.7%인 323개에 불과했다.

강좌 참여학생 수도 총 15만 1000명 중 교과관련 과목에 95.7%인 14만 4530명이 참여했고, 특기적성 강좌에는 4.3%인 6470명이었다.

이런 현상에 대해 학벌없는사회는 시교육청 방과후학교 운영길라잡이에 ‘고교의 경우 학생 희망에 의해 반편성이 되는 수준별 심화·보충 학습이 가능하다’는 지침을 마련하다 보니 교과위주의 입시교육을 부추기는 면죄부를 마련해줬다고 지적했다.

특기적성을 위한 외부강사가 아닌 대다수 현직 교원이 방과후 학교 강사로 활동하면서 과후학교가 정규수업의 연장선이라 해도 과언이 아닌 셈이다.

초등학교의 경우에는 사립초교를 중심으로 영어교과 쏠림 현상이 두드러졌다.

사립초 강좌 426개 중 교과관련강좌는 총 231개였는데 이 중 81%가량인 189개가 영어교과인 것으로 조사됐다. 전체교과로 따지면 44.4%로 전체 방과후교육의 절반가량이 영어교과로 편중돼 있었다.

국공립초교의 경우엔 전체 6246강좌 중 특기적성 4806개(76.9%), 교과관련 1440개(23.1%)로 이 중 영어교과는 512개(8.2%)로 집계됐다.

단체는 지난 2014년 정부가 공교육정상화촉진법 시행령을 통해 초등 1·2학년 영어교육을 방과후학교에서 할 수 있도록 허용하면서 비중이 폭발적으로 증가했다고 분석했다. 실제 제도 시행 전인 2013년 사립초교의 영어교과는 10% 내외에 불과했었다.

이에 대해 학벌없는사회는 광주시교육청에 현재 방과후학교 운영이 지나친 교과위주로 굴러가는 문제를 제기하며 교과과목 강좌 지양, 특기·적성 등 다양한 강좌 마련, 학습 선택권 보장 등의 개석책 마련을 요구했다.

학벌없는사회 관계자는 “방과후학교는 단순히 사교육비 경감이란 정책으로 단순히 접근해서는 안 된다”며 “학생들에게 창의적이고 다양한 교육의 경험을 제공하는 것이 기본전제가 되야 한다”고 말했다.


광남일보 http://www.gwangnam.co.kr/read.php3?aid=1501667937264271023

,

학벌없는 사회, 특기적성 활성화 취지 못 살려

광주지역 고등학교와 사립 초등학교에서 운영하는 방과후학교가 국ㆍ영ㆍ수 교과위주로 운영되고 있어 특기적성 활성화라는 당초 취지를 살리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일 학벌없는 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학벌없는사회)에 따르면 2017년 광주지역 초ㆍ중ㆍ고의 방과후학교 현황을 분석한 결과 고등학교는 국ㆍ영ㆍ수 위주의 강좌를 운영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고등학교 67개교에서 5678개의 강좌를 운영하고 있으며 94.3%(5355개)가 국ㆍ영ㆍ수 등 교과 관련 강좌로 나타났다.

특기적성 관련 강좌는 5.7%(323개)에 불과했다.

현직 교원이 고등학교 방과후학교 강사로 활동하는 경우가 많아 입시교육의 폐해가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광주시교육청 내부 지침에는 고등학교의 경우 '학생 희망에 의해 반편성이 되는 수준별 심화ㆍ보충학습이 가능하다'고 규정해 입시교육을 부추기고 있다는 지적이다.

초등학교의 경우 국ㆍ공립초는 총 강좌수 6246개 중 특기적성 관련 강좌가 76.9%(4806개)를 차지했으나, 사립초교는 교과 관련 강좌가 54.2%로 더 큰 비중을 나타냈다.

전체 강좌 중 영어교과 비율은 국ㆍ공립초가 8.2%에 불과한 반면, 사립초는 44.4%로 영어몰입교육이 심각한 것으로 조사됐다.

학벌없는사회는 "방과후학교는 단순히 사교육비 경감이라는 정책으로 접근해서는 안된다"며 "학생들에게 창의적이고 다양한 교육의 경험을 제공하는 것이 전제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전남일보 http://www.jnilbo.com/read.php3?aid=1501686000529250004

,

학벌없는 사회, 교과과목 지양 개선 요구

광주지역 방과후 학교가 고교는 입시 위주, 사립 초등학교는 영어 위주 강좌로 운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2일 학벌없는 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이하 학벌없는사회)이 광주시교육청에 ‘2017년 광주광역시 관내 초·중·고교의 방과후 학교 현황’(2017년 4월 30일 기준)을 분석한 결과 고등학교는 국·영·수 등 교과 관련 위주, 사립초교는 영어 강좌 위주로 방과후 학교를 운영했다고 밝혔다.

조사에 따르면 67개 고등학교에서 개설한 5천678개 강좌 가운데 전체의 94.3%에 달하는 5천355개 강좌가 교과 관련 강좌였고 특기·적성 관련 강좌는 5.7%인 323개에 그쳤다.

학벌없는 사회는 ‘다양한 교육 제공’이라는 방과후 학교의 본래 취지를 살리지 못하고 대다수 현직 교원이 방과후 학교 강사로 활동해 정규수업의 연장선이나 다름없다고 지적했다. 

또 국·공립 초교가 특기·적성 관련 위주의 강좌로 방과후 학교를 운영하고 있는 것에 반해, 사립초교는 교과 관련 위주의 강좌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사립초교의 전체 강좌 중 영어 교과가 44.4%인 189개에 달해 영어 몰입교육을 시행하고 있었다. 학벌없는사회는 시교육청에 교과과목 강좌 지양, 특기·적성 등 다양한 강좌 마련, 학습 선택권 보장 등 방과후 학교 개선책 마련을 요구할 방침이다. /박은성 기자 pes@kjdaily.com

박은성 기자 pes@kjdaily.com


광주매일신문 http://www.kjdaily.com/read.php3?aid=1501671638414914005

,

전남인터넷신문 http://jnnews.co.kr/news/view.php?idx=206023

,

광주지역 방과후학교가 '다양한 교육 제공'이라는 본래 취지에 맞지 않게 운영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2일 '학벌없는사회를위한광주시민모임'이 광주시교육청으로부터 받아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광주지역 고등학교는 국·영·수 등 교과 관련 위주로, 사립초등학교는 영어 교육 위주로 운영되고 있는 것.

광주는 313개 초·중·고 가운데 2곳을 제외한 311곳에서 방과후학교를 운영하고 있다. 고등학교는 67곳에서 총 5678강좌, 국·공립 초교는 152곳에서 총 6246강좌, 사립 초교는 3곳에서 426강좌를 개설했다. 

고등학교는 전체의 94.3%가 교과 관련 강좌이고 특기적성 관련 강좌는 5.7%에 불과했다. 참여자 숫자도 고교생 15만1000명 중 교과 관련 강좌는 14만4530명이 참여해 95.7%, 특기적성 참여자는 6470명으로 4.3% 수준이었다. 

학벌없는사회는 "고등학교의 방과후학교는 정규수업의 연장선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라며 "광주시교육청은 고등학교의 경우 '학생 희망에 의해 반편성이 되는 수준별 심화·보충 학습'이 가능하다는 지침을 마련해 방과후학교가 입시교육을 부추기는 면죄부를 마련해줬다"고 지적했다.

초등학교의 경우 국·공립은 특기적성 관련 위주의 강좌 비중이 높았으나 사립은 교과 관련 강좌가 더 많고 특히 영어 교과 비율이 절반에 가까웠다. 

국·공립은 특기적성이 4806개로 76.9%, 교과 관련 강좌는 1440개로 23.1%였고 사립은 특기적성 195개 45.8%, 교과 관련 강좌 231개 54.2%였다. 

사립 초교의 전체 강좌 중 영어교과 비율은 44.4%로 국·공립의 8.2%보다 높았다.

학벌없는사회는 "방과후학교는 단순히 사교육비 경감이란 정책으로 접근해서는 안 되고 학생들에게 창의적이고 다양한 교육의 경험을 제공하는 것이 기본전제가 돼야 한다"며 "참여율, 강좌수 등 양적 성과를 내기보다 우수사례 발굴, 특색사업 운영 등 내실을 기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머니S http://moneys.mt.co.kr/news/mwView.php?no=2017080213218070455&outlink=1

,

학벌없는사회, 광주 관내 초중고 방과후학교 현황 분석결과 공개

광주 관내 초·중·고등학교의 방과후학교 수업이 고교는 입시 위주로, 사립초등학교는 영어 위주로 실시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내용은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이 광주시교육청으로 받은 '2017년 광주시 관내 초·중·고등학교의 방과후학교 현황(2017.4.30. 교육통계 기준)'을 분석한 결과에서 밝혀졌다.

광주관내 고교의 방과후학교는 국·영·수 등 교과관련 위주의 강좌로 운영되면서 '다양한 교육 제공'이란 방과후학교의 본래 취지를 살리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대다수 현직교원이 방과후학교 강사로 활동하는 등 입시교육의 팽배함을 동시에 드러냈다.

실제로 관내 고교 67개교는 총 5678 강좌의 방과후 수업에서, 교과 관련 강좌는 5355 강좌로 94.3% 차지했고, 반면 특기적성 강좌수는 323개로 5.7%에 불과했다.

학벌없는사회에 따르면 광주시교육청은 방과후학교를 고교의 경우 '학생 희망에 의해 반편성이 되는 수준별 심화·보충 학습'이 가능하다는 지침을 마련, 방과후학교가 입시교육을 부추기며 면죄부를 주고 정규수업 연장인 것으로 판단했다.

초등학교의 경우 국·공립초교는 특기적성 관련 위주의 강좌로 방과후학교를 운영했다. 관내 초교의 경우는 152개교가 총 6246 강좌수에서 교과관련 강좌는 23.1%인 1440개인 반면, 특기적성 강좌수는 4806개로 76.9%를 차지했다.

하지만 사립초교의 경우 교과관련 위주의 강좌 비중이 높았고, 사립초교의 전체강좌 중 영어교과가 절반에 가까운 것으로 드러나는 등 영어몰입교육이 날로 심각해지는 것으로 밝혀졌다.

학벌없는사회는 "방과후학교는 학생들에게 창의적이고 다양한 교육의 경험을 제공하는 것이 기본전제가 돼야 한다"면서 "참여율, 강좌수 등 양적 성과를 내기보다 우수사례 발굴, 특색사업 운영 등 내실을 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들은 아울러 시교육청을 향해 현재 방과후학교 운영이 지나친 교과위주로 운영되는 문제점을 제시하면서 △교과과목 강좌 지양 △특기적성 등 다양한 강좌 마련 △학습 선택권 보장 등 방과후학교 개선책 마련을 요구했다.

신홍관 기자  hksnews@ifocus.kr


포커스데일리 http://www.ulsanfocus.com/news/articleView.html?idxno=76354

,

플러스코리아 타임즈 http://www.pluskorea.net/sub_read.html?uid=94006

,

[투데이광주=문상준 기자] 광주 관내 초·고교에서 운영하는 방과후학교가 교과위주로 운영되고 있어 ‘다양한 교육 제공‘이란 당초 취지를 살리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일 학벌없는 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이하 학벌없는사회)에 따르면, 2017년 광주지역 초·중·고의 방과후학교 현황을 분석한 결과 고등학교는 국·영·수 위주의 강좌를 운영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고등학교 67개에서 5,678개의 강좌를 운영하고 있으며 94.3%(5355개)가 국·영·수 등 교과 관련 강좌로 나타났으며, 특기적성 관련 강좌는 5.7%(323개)에 불과했다.

고등학교 방과후학교 강사는 현직 교원이 대다수 활동하고 있어 입시교육의 폐해가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광주시교육청 내부 지침에는 고등학교의 경우 '학생 희망에 의해 반편성이 되는 수준별 심화·보충학습이 가능하다'고 규정해 입시교육을 부추기고 있다는 지적이다.

또한 초등학교의 경우 국·공립초는 총 강좌수 6,246개 중 특기적성 관련 강좌가 76.9%(4806개)를 차지했으나, 사립초교는 교과 관련 강좌가 54.2%로 더 큰 비중을 나타냈다.

한편 전체 강좌 중 영어교과 비율은 국·공립초가 8.2%에 불과한 반면, 사립초는 44.4%로 영어몰입교육이 심각한 것으로 조사됐다.

학벌없는사회는 "방과후학교는 단순히 사교육비 경감이라는 정책으로 접근해서는 안된다"며 "학생들에게 창의적이고 다양한 교육의 경험을 제공하는 것이 전제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현재 방과후학교 운영이 지나친 교과위주의 운영을 문제 제기하였으며, ▲ 교과과목 강좌 지양 ▲ 특기적성 등 다양한 강좌 마련 ▲ 학습 선택권 보장 등 방과후학교 개선책 마련을 요구하였다.고 밝혔다.

문상준 기자  oksan062@naver.com


투데이광주 http://www.todaygwangju.com/news/articleView.html?idxno=470503

,

광주광역시 관내 방과후 학교가 고등학교의 경우 국·영·수 등 교과관련 위주로 운영돼 ‘다양한 교육 제공’이란 방과후학교의 본래 취지를 살리지 못하고 또 대다수 현직교원이 방과후학교 강사로 활동하는 등 입시교육 위주로 진행되는 것으로 드러났다.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이 분석한 ‘2017년 광주광역시 관내 초·중·고등학교의 방과후학교 현황(2017.4.30. 교육통계 기준)’에 따르면, 국공립 초등학교는 특기적성 관련 위주로 방과후 학교가 운영됐다. 하지만 사립초등학교의 경우 교과관련 위주의 강좌 비중이 높았으며 사립초교의 전체강좌 중 영어교과가 44.4%로 절반에 가까운 것으로 드러나는 등 영어몰입교육이 심각한 것으로 드러났다. 국공립 초등학교의 영어교과 비율은 8.2%에 그쳤다.

특히 고등학교의 경우 ‘학생 희망에 의해 반편성이 되는 수준별 심화·보충 학습’이 가능하다는 지침을 마련해 방과후학교가 입시교육을 부추기는 것으로 조사됐다. 교과 관련 강좌수 94.3%에 달했고 현직교원들의 강사 참여율도 89.5%에 달했다.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은 "지나친 교과위주의 방과후학교 운영을 지양해야 한다"면서 ▲ 교과과목 강좌 지양 ▲ 특기적성 등 다양한 강좌 마련 ▲ 학습 선택권 보장 등 방과후학교 개선책 마련을 요구했다.


뉴스포털1 http://www.civilreporter.co.kr/news/articleView.html?idxno=50988

,

고교는 입시 위주…사립초교, 영어 위주 강좌 운영

[데일리모닝] 홍갑의 기자 = 광주지역 고등학교에서 운영되고 있는 방과후학교가 국어·영어·수학 등 교과위주로 운영, 본래 취지를 살리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2일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학벌없는사회)에 따르면 2017년 광주지역 초·중·고의 방과후학교 현황을 분석한 결과 고등학교는 국·영·수 위주의 강좌를 운영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광주지역 67개 고등학교에서 5678개의 방과후학교 강좌를 운영하고 있으며, 이중 94.3%(5355개)가 국·영·수 등 교과 관련 강좌로 나타났다. 특기적성 관련 강좌는 5.7%(323개)에 불과했다.

게다가 강좌 참여 학생 15만1000명 중 14만4530명(95.7%)이 국·영·수 등 교과 관련 강좌에 참여하고 특기적성 관련 강좌는 4.3%(6470명)에 불과했다.

방과후학교 활동 강사 2466명 중 22383명(96.7%)이 현직 교원으로 외부강사 참여율은 3.3%(83명)로 저조했다.

광주시교육청 내부 지침에는 고등학교의 경우 ‘학생 희망에 의해 반편성이 되는 수준별 심화·보충 학습’이 가능하다고 규정해 방과후학교가 입시교육을 부추기고 면죄부를 마련해 주었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초등학교의 경우 국·공립초는 총 강좌수 6246개 중 특기적성 관련 강좌가 76.9%(4806개)를 차지했으나, 사립초교는 교과 관련 강좌가 54.2%로 더 큰 비중을 나타냈다.

전체 강좌 중 영어교과 비율은 국·공립초가 8.2%에 불과한 반면, 사립초는 44.4%로 영어몰입교육이 심각한 것으로 조사됐다.

광주지역 초·중·고교생 19민5356명 중 10만8910명(55.75%)이 방과후학교 강좌를 수강하고 있다.

학벌없는사회는 "방과후학교는 단순히 사교육비 경감이라는 정책으로 접근해서는 안된다"며 "학생들에게 창의적이고 다양한 교육의 경험을 제공하는 것이 전제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데일리모닝 http://www.dmorning.kr/news/articleView.html?idxno=2846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