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12.1.~4. 마륵역 인권테마역사에서 반(反)차별 광고 전시회를 진행했습니다. 입시조장 및 성차별적인 광고(상품)을 패러디한 전시작품을 게재하였으며, 출신학교 차별 금지법 제정 홍보도 겸하였습니다.


,

‘입시조장·차별적인 문구의 상품을 판매하고 있는 광주 소재 오프라인 매장들을 상대로, 상품판매 중단을 요구하는 활동을 전개했습니다. 구체적으로 해당 상품을 판매하는 영풍문고 광주점, 아트박스 전대점·충장점, 다이소 등 매장 앞에서 일인시위 및 현수막 게첩을 진행하였으며, 매장을 관리하는 본사에게 공문을 발송하여 요구사항을 전달하였습니다. 


이 과정에서 2017.11.22. 영풍문고 광주점 측은 ‘학벌없는사회 문제제기에 공감하며, 논란이 되는 해당 상품에 대한 판매를 즉각 중단·반품 조치하겠다.’는 입장을 밝혔으며, 학벌없는사회는 영풍문고 담당자 면담 및 조치사항 확인 후 매장 부근에 게첩한 현수막을 자진 철거하였습니다.



,

2017년 한 해동안 제대로 된 회원모임을 가져본 적이 없어, 연말을 맞아 2017.11.29 오월의 숲에서 '회원의 날'을 마련하였습니다. 이번 회원의 날에는 공모사업 성과 발표회, 상임활동가 송별회, 다과나눔의 순으로 진행하였습니다. 남은 연말도 힘차게 활동하고 회원들과의 만남도 잦아졌으면 좋겠습니다.^^



,

2017년 11월 살림살이

from 살림살이 2017. 12. 5. 10:36

항목

11월

회비

CMS 후원금

1,889,140

자동이체 후원금

60,000

연 후원금

 

일시 후원금

 

사업비

연대사업 기금

 

사업 후원금

120,000

기타 수입

입금오류 및 반환

23,000

판매기금

 

결산이자

 

부채

 

합계

2,092,140



항목

11월

인건비

활동비

1,352,230

4대 보험비

187,360

퇴직연금비

112,686

역량강화비

50,000

상여금

 

운영비

정수기대여비

19,900

물품구입비

4,900

문자발송비

34,316

통신비

23,830

홈페이지 관리비

10,000

사업비

내부사업비

16,000

연대사업비

 

기타 지출

세금 및 수수료

 

수리비

 

합계

1,811,222



월별

이월금

수입

지출

입금 - 지출

총 잔액

11월

2,557,985

2,092,140

1,811,222

280,918

2,838,903


'살림살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7년 12월 살림살이  (0) 2018.04.05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 2017년도 감사 의견  (0) 2018.03.07
2017년 10월 살림살이  (0) 2017.11.02
2017년 9월 살림살이  (0) 2017.10.20
2017년 8월 살림살이  (0) 2017.09.06
,

학벌없는사회, "아트박스, 다이소 등에 해당상품 판매 중단 요구해나갈 것"


영풍문고 광주점이 ‘입시조장·차별적인 문구’로 논란됐었던 상품들을 반품하기로 결정했다.


앞서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은 ‘입시조장·차별적인 문구의 상품(이하, 해당 상품)’을 판매하고 있는 광주 소재 오프라인 매장들을 상대로, 상품판매 중단을 요구하는 활동을 전개했었다.


이에 대해 22일 영풍문고 광주점 측은 ‘학벌없는사회 문제제기에 공감하며, 논란이 되는 해당 상품에 대한 판매를 즉각 중단·반품 조치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후 학벌없는사회는 영풍문고 담당자 면담 및 조치사항 확인 후 매장 부근에 게첩한 현수막을 자진 철거했다.


학벌없는사회는 해당 상품을 판매하는 영풍문고 광주점, 아트박스 전대점·충장점, 다이소 등 매장 앞에서 일인시위 및 현수막 게첩을 진행했으며, 이제부터는 영풍문고 광주점 외 매장을 관리하는 본사에 공문을 발송하여 요구사항을 전달할 예정이다.


단체 관계자는 “영풍문고 광주점의 용기 있는 결단에 환영하는 바이며, 이번 기회를 통하여 앞으로 신중하게 제품을 판매하고, 지역서점으로서 좋은 문화공간의 역할이 되어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어 이들은 “앞으로 학벌없는사회는 아트박스, 다이소 등 매장 앞에서 해당 상품 판매 중단을 요구하는 행동을 이어갈 것이며, 학교·사회에서 무심코 벌어지는 입시조장·차별적인 급훈이나 광고, 발언 등에 대해서도 적극 대응해 나갈 것이다”고 밝혔다.


한편, 지난 9월 학벌없는사회는 문구업체 4곳의 해당 상품 판매·유통 중단을 요구하는 진정서를 국가인권위원회에 제출하였으며, 공정거래위원회에도 부당한 표시·광고 신고서를 제출하여 현재 조사가 진행 중이다.


시민의 신문 http://www.siminsori.com/news/articleView.html?idxno=86270

,

학벌없는사회, “용기 있는 결단 환영”

“여전히 차별 만연, 관련 활동 이어갈 것”


‘입시조장·차별’ 상품과 관련해 논란이 일고 있는 가운데, 영풍문고 광주점이 해당 상품을 반품키로 했다.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은 ‘입시조장·차별적인 문구의 상품(이하, 해당 상품)’ 판매 중단을 요구하는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22일 학벌없는사회에 따르면, 해당 상품을 판매하고 있던 영풍문고 광주점이 이날 “논란이 된 해당 상품 판매를 중단하고 반품 조치 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에 학벌없는사회는 “영풍문고 광주점의 용기 있는 결단을 환영한다”면서 “앞으로 신중하게 제품을 판매하고, 지역서점으로서 좋은 문화공간의 역할이 되어주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이어 학벌없는사회는 “많은 사람들은 입시경쟁을 의무감처럼 받아드리고 있으며, 학교나 사회에서는 버젓이 입시조장과 차별을 행하고 있다”고 우려를 표하며 관련 활동을 이어갈 것이라 밝혔다. 


한편, 지난 9월 학벌없는사회는 문구업체 4곳의 해당 상품 판매·유통 중단을 요구하는 진정서를 국가인권위원회에 제출하였으며, 공정거래위원회에도 부당한 표시·광고 신고서를 제출하여 현재 조사가 진행 중이다. 


김우리 기자 uri@gjdream.com


광주드림 http://www.gjdream.com/v2/news/view.html?uid=484026

,

영풍문고 광주점이 입시 조장과 차별 문구로 논란을 빚은 상품 판매를 중단하고 반품하기로 했다. 


22일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에 따르면 광주 유스퀘어에 입점한 영풍문고 광주점은 이날 "학벌없는사회의 문제제기에 공감한다"며 이같이 결정했다. 


학벌없는사회는 '입시조장·차별적인 문구의 상품'을 판매해 온 광주지역 오프라인 매장을 상대로 상품판매 중단을 요구해왔다. 


영풍문고 광주점과 아트박스 전대점·충장점, 다이소 등 매장 앞에서 현수막을 걸고 1인시위를 벌여왔다. 


영풍문고 광주점이 상품 판매를 중단 입장을 밝히자 학벌없는사회는 담당자 면담과 조치사항 확인 후 매장 부근에 게첩한 현수막을 자진 철거했다. 


앞서 학벌없는사회 등 5개 광주 인권단체는 지난 9월 '차별·입시조장 상품 및 광고' 조사 결과를 공개하고 국가인권위에 진정서를 제출했다. 


이들은 조사를 통해 온·오프라인 문구류 전문 회사에서 판매하는 상품 중 차별과 입시를 조장하는 문구류 50여점을 적발했다. 


S업체는 '저장 공간으로 따지면 이 수첩은 원룸, 네 뇌는 한 닭장 정도?' '열공 만이 살길이다' '완전 웃긴다. 너. 그 점수에 잠이 와?' 등 32건의 상품이 문제로 지적됐다.


B업체는 '1등하면 돼지' '10분만 더 공부하면 남편의 직업이 바뀐다' '열공에서 성공하면 어자들이 매달린다' 등 13건이 적발됐다. 


T업체는 '기계와 머리는 굴러야 산다' '개같이 공부해서 정승같이 살아보자' 등의 문구를 담았고 D업체는 '오! 가자! 명문대' 등의 상품을 판매한 것으로 드러났다. 


학벌없는사회는 "영풍문고 광주점의 용기 있는 결단을 환영한다"며 "이번 기회를 통해 앞으로 신중하게 제품을 판매하고 지역서점으로서 좋은 문화공간의 역할을 해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뉴스1 http://news1.kr/articles/?3160442


,

영풍문고 광주점, 아트박스 전대점·충장점, 다이소... 차별문구 상품 판매

공정거래위, 부당 표시 광고 조사 중... "입시조장 차별행위 적극 대응"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은 영풍문고 아트박스 전대점. 충장점, 다이소 등이 ‘입시조장·차별적인 문구의 상품’을 판매하다가 일부 중단했다고 밝혔다.


22일 학벌없는사회는 광주 소재 오프라인 매장들을 상대로 이들 입시조장과 차별적 문구 상품판매 중단을 촉구하는 1인시위와 펼침막 항의활동을 전개한 결과 우선 영풍문고 광주점이 판매중단을 결정했다고 밝혔다. 


지난 21일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 박고형준 활동가가 광주시 북구 용봉동 아트박스 전남대점 앞에서 '입시조장. 차별행위' 문구상품 판매중단을 촉구하는 1인시위을 펼치고 있다. ⓒ 학벌없는사회 광주시민모임 제공

영풍문고 광주점 측은 이날 ‘학벌없는사회'의 항의시위에 대해 공감하고 문제가 된 해당 문구상품을 즉각 중단·반품 조치하겠다는 입장을 전달했다.


이에 따라 학벌없는사회는 영풍문고 담당자 면담 및 조치사항 등을 확인한 후 매장 부근에 게첩한 펼침막을 철거했다고 밝혔다.


학벌없는사회는 "영풍문고 광주점의 용기 있는 결단에 환영한다"며 "이번 기회를 통하여 앞으로 신중하게 제품을 판매하고, 지역서점으로서 좋은 문화공간의 역할이 되어주길 바란다"고 제안했다.


그러나 학벌없는사회는 "아트박스, 다이소 등 매장 앞에서 해당 상품 판매 중단을 요구하는 행동을 이어갈 것"이라며 "학교와 사회에서 무심코 벌어지는 입시조장·차별적인 급훈이나 광고, 발언 등에 대해서도 적극 대응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또 "한국교육은 오로지 대학 입시구조의 형태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많은 사람들은 경쟁을 의무처럼 수용하고 있다"며 "학교나 사회에서는 버젓이 입시조장과 차별을 행하고 있다"고 입시위주의 교육풍토를 비판했다.


한편, 지난 9월 학벌없는사회는 문구업체 4곳의 해당 상품 판매·유통 중단을 요구하는 진정서를 국가인권위원회에 제출한 바 있으며 공정거래위원회에도 부당한 표시·광고 신고서를 제출하여 현재 조사가 진행 중이다.


이상현 기자  simin6678@hanmail.net


광주인 http://www.gwangjuin.com/news/articleView.html?idxno=97611

,

[시사타임즈 = 탁경선 기자]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이하 학벌없는사회)은 영풍문고 광주점이 입시조장·차별 상품을 반품하기로 결정했다고 전했다.

 

학벌없는사회는 “그동안 ‘입시조장·차별적인 문구의 상품(이하, 해당 상품)’을 판매하고 있는 광주 소재 오프라인 매장들을 상대로, 상품판매 중단을 요구하는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면서 “ 해당 상품을 판매하는 영풍문고 광주점, 아트박스 전대점·충장점, 다이소 등 매장 앞에서 일인시위 및 현수막 게첩을 진행하였으며, 매장을 관리하는 본사에게 공문을 발송하여 요구사항을 전달할 예정이다”고 설명했다.

 

이어 “영풍문고 광주점 측은 ‘학벌없는사회 문제제기에 공감하며, 논란이 되는 해당 상품에 대한 판매를 즉각 중단·반품 조치하겠다’는 입장을 밝혔으며, 학벌없는사회는 영풍문고 담당자 면담 및 조치사항 확인 후 매장 부근에 게첩한 현수막을 자진 철거했다”고 알렸다.

 

학벌없는사회는 “영풍문고 광주점의 용기 있는 결단에 환영하는 바이며, 이번 기회를 통하여 앞으로 신중하게 제품을 판매하고, 지역서점으로서 좋은 문화공간의 역할이 되어주길 바라는 바란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한국교육은 오로지 대학 입시구조의 형태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고, 많은 사람들은 경쟁을 의무감처럼 받아드리고 있으며, 학교나 사회에서는 버젓이 입시조장과 차별을 행하고 있다”고 토로했다.

 

이와 관련해 “앞으로 학벌없는사회는 아트박스, 다이소 등 매장 앞에서 해당 상품 판매 중단을 요구하는 행동을 이어갈 것이며, 학교·사회에서 무심코 벌어지는 입시조장·차별적인 급훈이나 광고, 발언 등에 대해서도 적극 대응해 나갈 것”이라고 전했다.


한편, 지난 9월 학벌없는사회는 문구업체 4곳의 해당 상품 판매·유통 중단을 요구하는 진정서를 국가인권위원회에 제출하였으며, 공정거래위원회에도 부당한 표시·광고 신고서를 제출하여 현재 조사가 진행 중이다.  


시사타임즈 http://timesisa.com/news/view.html?section=93&category=94&no=18458

,

광주교육정책연대 발족에 대하여


지난 11월2일 광주의 지역일간지들이 공통으로 주목한 교육계의 주요 뉴스가 있었다. ‘광주교육정책연대’라는 새로운 시민운동기구의 발족을 알린 것이다. 


2018년 6월 지자체 선거에 대비해 ‘광주교육체제의 새로운 그림을 기반으로 공동의 교육정책을 만들고, 2018년 지방자치선거에 출마한 후보들의 공약에 반영되도록 영향력을 발휘하고, 시민사회와 함께 교육감 선거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겠다’는 것이다. 


연합뉴스는 기사 제목을 “‘벌써, 교육감 선거’ 전교조 성향 광주사회단체 연대기구 결성”으로 뽑고 ‘이들 단체가 2014년 교육감 선거에서도 장휘국 현 교육감으로의 후보 단일화에 힘을 모았다’는 정치적 해석을 곁들여 SNS에서 논란이 되기도 했다.


선거만 되면 시민들의 순수한 주권행사도 누구 편을 드는 것인 양 해석하는 것이 사실 ‘황색 언론’의 적폐일 수도 있어서 억울할 수도 있으리라. 


하지만 나름 오해(?)할만한 여지가 없는 것도 아니다. 단체의 발족 장소가 광주시교육청 대회의실이니 일단 의심을 사지 않겠는가? 또한 12개 참여 단체 중 광주교육희망네트워크나 전교조는 현 장휘국 교육감을 당선시킨 일등공신이라 할 만한 단체들이다. 그리고 흥사단이나 YMCA, YWCA와 같은 전통적인 시민단체가 있고, 참교육학부모회와 여타의 교육시민운동체들이 함께 속하였다.


▲“계승할 점 극복할 점, 명확히하자”


발족선언문의 내용을 보면 일반적인 민주주의와 인권의 발전에 근거하고 있음을 서술하였을 뿐 현 시기 구체적 행동과 실천에 대해서는 함구하는 ‘개봉박두’분위기이다. 


다만 막연하나마 앞으로의 교육체제의 정체성을 ‘시민교육체제’라고 언급하고 광주교육을 교육청의 울타리를 넘어 마을과 지역, 시와 구의 역할이 증대되는 방향으로 가야한다고 밝힌 것은 선언적 수준이나마 눈길을 머물게 한다. 


하지만 지역사회의 교육시민운동을 대표하는 이들 단체의 역할과 책임에 비춰볼 때 아쉬운 것이 한둘이 아니다. 광주지역의 교육시민운동으로 치자면 ‘학벌없는 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을 제외하고는 거의 모든 단체들이 참여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그야말로 시민사회 그 자체라 할 정도의 대표성이다. 그런데 광주시민사회는 왜 지난 8년 교육감을 평가하지 않는 것일까?


이것은 괜한 의구심이 아니다. 지난 2014년 초 70여개 시민단체가 속해 있었던 광주교육희망네트는 자체 조사를 바탕으로 작성한 1기 교육감 평가서를 공개하지 않기로 결정한 바 있다. 


시민의 교육주권이 행사될 수 있도록 매개하고 행동해야할 시민단체가 1기 교육감에 대한 평가담론을 포기한 것이다. 


참교육학부모회가 당시 상황에 미온적으로 대처한 것 역시 문제였다고 안팎으로 비판받은 바 있다. 그리고 다시 4년이 지나 시민단체 연대 기구 광주교육정책연대는 좋은 정책을 제안하겠다고만 언급하고 무려 8년을 책임진 현 장휘국 교육감의 평가에 대해서는 아무 언급을 하지 않는다. 


선거를 7개월여 남겨둔 상황에서 시민의 교육주권은 차기 교육행정 수장에 대한 권력 의지로 수렴되는 것이 상식이며 마땅한 일 아닌가? 최소한 지난 진보교육 8년의 성패에 대하여, 계승할 바와 극복할 바를 명확히 하는 것이 시민단체가 해야 할 역할이다.


▲“진보는 심판받지 않은 권력인가?”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부나 국회와 달리 지역은 너무 좁고 지자체와의 거리는 너무 가깝기 때문일까, 주목할 만한 경쟁자가 보이지 않아 뒷감당이 두려운 것인지 도무지 권력에 대한 냉정한 평가를 입에 담지 않는다. 때로 교육지방권력은 그 지역의 주류이다. 


시장선거와 달리 정당의 입김이 미치지 않는 교육권력에 대해 궂은 소리 하고서 인심 잃으면 행여 지방의회선거나 비례의원 입성에도 장애물이 될 것임을 염려하는 것인지 모르겠다.


광주시민은 어느새 불쌍한 처지가 되고 말았다. 시의회와 교육청 정문에서는 혁신학교 지정 문제나 예산 운용 잘못으로 인한 8억 원 손실 문제, 숱한 비정규직 문제, 학교통폐합 등 현안들이 지나가고 있지만 전교조나 참교육학부모회 등 여타 단체들이 이를 시민사회의 요구로 끌어안지 못하는 상황이 지속되고 있을 뿐더러 광주교육정책연대의 이번 발족선언은 현재의 선거 판세를 추종하는 수준에서 좋은 정책 자문하는 정도의 역할만 하겠다는 고백으로 읽힌다.


과연 진보는 심판받지 않는 권력이어야 하는가. 권력에 대한 견제와 심판을 포기한 광주의 시민사회는 과연 지속가능한 것인가? 잘못하면 민주인권도시 광주가 무너진다. 


지방정부의 잘잘못보다 시민단체의 무기력 때문에 광주가 무너진다. 지난 8년 장휘국 교육감의 진보교육에 대한 심판이 우선 되어야 한다. 


광주교육정책연대는 장휘국교육감 체제에 대한 심판의 절차를 밝히는 것이 필요하다. ‘좋은 게 좋은 것’이라고 궂은 소리 듣지 않으려고 싫은 소리 하지 않는다면 그게 무슨 시민운동인가? 그런 시민운동이 꾸는 좋은 꿈, 좋은 정책은 어느 순간 밑 빠진 독에 물붓기가 되고 말 것이다. 


배이상헌 <교사>


광주드림 http://www.gjdream.com/v2/news/view.html?uid=48407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