빛고을장학재단 학업장려금

고소득층 대학생 9명 지급 논란

학벌없는사회 “소득수준 반영

기준 마련하지 않은 탓” 비판


광주시가 운영 중인 빛고을장학재단은 지난 9월 2017년도 장학생 선발 계획을 발표하면서 고등학생과 대학생을 대상으로 ‘학업장려장학생’ 130명을 뽑기로 했다.


장학 혜택이 저소득층 자녀들에게 더 많이 돌아갈 수 있도록 학업성적 비중을 낮추고 소득수준을 반영하는 장학생 선발 기준을 고친 것이다. 그러나 소득수준 반영에 대한 명확한 기준이 없는 탓에 일부 고소득층 자녀들이 학업장려장학금을 지급받은 것으로 드러났다.


학벌없는사회를위한광주시민모임(학벌없는사회)은 2017년도 빛고을장학재단 학업장려장학생 선발 현황을 분석한 결과, 1인 당 장학금 150만원이 지급되는 대학생 63명 중 고소득층 자녀 9명이 장학생 명단에 포함된 것으로 확인됐다고 30일 밝혔다. 또 학업장려장학생 중 고교생(1인 당 장학금 50만원) 67명은 일선 학교장이 학업성적과 생활형편 등을 고려해 추천했으나 광주시교육청이 해당 장학생의 소득 수준을 제대로 파악하지 않았다.


빛고을장학재단이 학업장려금 지급 대상 학생들의 소득수준에 대한 명확한 기준을 마련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실제 재단 측이 장학금 신청자들에게 소득수준과 관련해 제출토록 한 서류는 한국장학재단이 제공하는 학자금지원 소득구간(분위) 통지서가 전부였다. 그나마도 이 서류 제출 요건은 대학생에게만 적용됐다.


빛고을장학재단은 그 동안 학업 성적 결과에 대한 보상 성격으로 학업 성적 우수생에게 장학금을 지급했지만 올해부터는 생활자금 활용이 가능한 학업장려금을 주는 것으로 선발 기준을 바꿨다. 학벌없는사회는 “허술한 장학생 선발 기준으로 인해 장학금이 절실히 필요한 학생들이 혜택을 받지 못하고 결국 학비 마련을 위해 공부는 뒤로 미룬 채 아르바이트 전쟁터로 내몰리고 있다”고 비판했다. 재단 측은 이에 대해 “2018년 장학생 선발 시 소득수준에 대한 명확한 기준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안경호 기자 khan@hankookilbo.com


한국일보 http://www.hankookilbo.com/v/d874cc6b282a46279f11bcf344686e3f

,

학벌없는사회 시민모임 “대학생 9명 소득수준 높아”

시 “올해부터 저소득층 많은 혜택이 가도록 기준 개편”


광주시가 올해부터 빛고을장학재단 장학금 혜택이 저소득층에게 더 많이 가도록 선발기준을 바꿨다. 하지만 장학금을 받은 대학생 가운데 고소득층 자녀가 일부 포함된 것으로 나타나 좀 더 세심한 선발기준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30일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이 분석한 ‘2017년 빛고을장학재단 학업장려장학생 선발 현황’을 보면, 장학생 지급 대학생 63명 가운데 고소득층 자녀 9명이 포함됐다. 박고형준 상임활동가는 “8분위에서 10분위, 중위소득(총 가구소득 중 가운데를 차지하는 가구소득) 150%인 상류층 자제가 포함된 점이 아쉽다”고 말했다.


빛고을장학재단은 올해부터 성적 장학금이었던 것을 학업장려장학금으로 바꾸면서 저소득층에게 많은 혜택이 가도록 선발기준을 개편했다. 시는 광주·전남지역 16개 대학에서 학업성적과 한국장학재단 소득수준 등을 적용해 장학금 대상자를 추천받아 최종 선정했다. 시 청년인재과 쪽은 “평점이 4.5 만점 기준으로 3.0 이상 학점을 받은 가운데 생활이 어려운 학생을 우선순위로 추천해달라고 요청했는데 일부 대학에선 적정한 대상이 없어 일부 고소득층이 포함됐다”고 말했다.


이 단체는 또 학업장려장학금을 받은 중·고교생 67명의 소득수준이 파악되지 않는 점도 문제로 지적했다. 광주시교육청은 학업성적과 생활형편 등을 고려해 학교장이 선발한 학생을 재단에 추천한 뒤, 해당 학생들의 소득수준 자료를 따로 파악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교육청 쪽은 “학업성적 기준을 지난해 2등급에서 3등급으로 조정해 생활형편이 어려운 학생을 추천하도록 하고 있다. 학교에서 이 기준에 따라 자율적으로 선발해 추천한 학생들의 소득분위 자료까지 요구하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광주시는 2002년 무등장학회를 인수해 빛고을장학재단으로 확대한 뒤 지금까지 60억원(시비 44억원)의 기금을 조성했으며, 올해 중·고교와 대학생 229명에게 학업장려장학금(130명)을 포함해 모두 2억1900만원의 장학금을 전달했다.


정대하 기자 daeha@hani.co.kr


한겨레 http://www.hani.co.kr/arti/society/area/821445.html#csidx9cbd9499d7500539e2433a2fb49fda0 

,

박강복 기자] 광주시 빛고을장학재단이 장학생 선발 시 학업성적 비중을 낮추고 소득수준을 반영하는 계획을 마련했지만, 명확한 기준을 마련하지 않아 일부 고소득층에게 장학금 혜택이 간 것으로 드러났다.


30일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에 따르면, ‘2017년 빛고을장학재단 학업장려장학생 선발 현황’을 분석한 결과 대학생 63명은 학업성적 및 한국장학재단 소득수준 등을 적용해 각 대학(교)에서 선발·추천했는데, 고소득층 9명이 이들 명단에 포함된 것으로 확인됐다.


또한, 학업장려 장학생 중 고등학생 67명은 학업성적 및 생활형편 등을 감안하여 학교장이 자율적으로 선발·추천했으나 광주시교육청이 해당 장학생들의 소득수준 파악을 전혀 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빛고을장학재단은 2017년 이전까지 학업성적결과에 대한 보상적 성격으로 학업성적우수생에게 빛고을 장학금을 지급했지만, 올해부터 생활자금 활용이 가능한 학업장려금으로 바꾸면서 저소득층에게 많은 혜택이 가도록 장학금 선발기준을 개편했다.


하지만 장학생 선발 시 명확한 소득수준 기준을 마련하지 않아 현행 방식처럼 학업장려 장학생을 선발할 경우 학업성적우수생 또는 고소득층 학생에게 장학금 혜택이 갈 우려가 있다는 지적이다.


학벌없는사회는 “허술한 학업장려 장학생 선발기준으로 인해 장학금이 절실히 필요한 학생들이 더 피해를 보고 있고, 결국 학비 마련을 위해 공부는 뒤로 미룬 채 아르바이트 전쟁터로 내몰리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빛고을장학재단은 “2017년 장학생 선발결과를 통해 명확한 소득기준 필요성을 확인했고, 2018년 장학생 선발계획 수립 시 관련 기준을 마련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박강복 기자  pkb7657@hanmail.net


KNS뉴스통신 http://www.kns.tv/news/articleView.html?idxno=380205

,

빛고을장학재단 장학금 논란’

저소득층 많은 혜택 기준에도 

고소득층 자녀들도 지급 


광역시의 빛고을장학재단이 장학생 선발 시 소득수준을 반영하는 명확한 기준을 마련하지 않아 일부 고소득층에게 장학금 혜택이 돌아간 것으로 나타났다.


학벌없는 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학벌없는사회)이 30일 광주시와 광주시교육청으로부터 제출받은 ‘2017년 빛고을장학재단 학업장려장학생 선발 현황’을 분석한 결과다.


시민모임에 따르면 빛고을장학재단은 2017년 이전까지 학업성적 결과에 대한 보상적 성격으로 학업성적 우수학생에게 장학금을 지급했다. 또 올해부터는 선발 기준을 생활자금 활용이 가능한 학업 장려금으로 바꿔 저소득층에게 많은 혜택이 가도록 개편했다.


하지만 시민모임 분석 결과 장학생 가운데 일부 고소득층이 포함된 것으로 확인됐다. 각 대학의 학업성적과 한국장학재단 소득수준 등을 적용해 추천한 학업장려 장학생 63명 가운데 고소득층이 9명이었다. 여기에 학업성적과 생활형편 등을 고려해 학교장이 자율적으로 선발·추천한 중·고생 장학생 67명에 대해서는 광주시교육청이 소득수준을 전혀 파악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원인은 장학생 선발 시 명확한 소득수준 기준을 마련하지 않은 데 따른 것이다.


시민모임은 현행처럼 학업장려 장학생을 선발할 경우 학업성적 우수학생 또는 고소득층 학생에게 장학금 혜택이 갈 가능성이 크다고 지적했다.


시민모임 관계자는 “허술한 학업장려 장학생 선발 기준으로 장학금이 절실히 필요한 학생들이 피해를 보고 있다”며 “결국 학비 마련을 위해 공부는 뒤로 미룬 채 아르바이트 전쟁터로 내몰리고 있다”며 개선을 촉구했다.


시민모임 문제 제기에 빛고을장학재단은 “2018년 장학생 선발계획 수립 시 관련 기준을 마련할 예정”이라고 답변했다. 


정유진 기자 jin1@namdonews.com


남도일보 http://www.namdo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454278



,

학벌없는사회, 올해 63명 대학생 중 9명 특혜

"빛고을장학재단 학업장려장학생 운영 취지 벗어나"


광주광역시와 광주광역시교육청이 운영 중인 빛고을장학재단이 운영 취지와 달리 고소득층 부모를 자녀들에게 일부 장학금이 지급된 것으로 드러났다.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은 1일 "빛고을장학재간이 대상 장학생 을 선발하면서 학업성적 비중을 낮추고 소득수준을 반영하는 계획을 마련했으나 명확한 기준 없이 일부 고소득층에게 장학금 혜택이 간 것으로 드러났다"고 밝혔다.


빛고을장학재단은 지난해까지 학업성적 결과에 대한 보상적 성격으로 학업 성적우수생에게 빛고을 장학금을 지급해오다가 올해부터 생활자금 활용이 가능한 학업장려금으로 바꾸면서 저소득층 자녀가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장학생 선발기준을 개편한 바 있다.


그러나 학벌없는사회가 최근 광주광역시와 광주광역시교육청으로부터 제출받은 ‘2017년 빛고을장학재단 학업장려장학생 선발 현황’을 분석한 결과 학업장려장학생 130명 중 대학생 63명은 학업성적 및 한국장학재단 소득수준 등을 적용하여 각 대학(교)에서 선발·추천하였는데, 고소득층 9명이 이들 명단에 포함된 것으로 확인됐다.


또한, 고교생 학업장려 장학생 67명은 학업성적 및 생활형편 등을 감안하여 학교장이 자율적으로 선발·추천하였으나 지도·감독권한이 있는 광주시교육청은 해당 장학생들의 소득수준 파악을 전혀 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난 것.


이에 대해 학벌없는사회는 "해당 장학생 선발 시 명확한 소득수준 기준을 마련하지 않았다"며 "결국 현행 방식처럼 학업장려장학생을 선발할 경우 학업성적우수생 또는 고소득층 학생에게 장학금 혜택이 갈 여지가 높다"고 지적했다.


학벌없는사회는 “허술한 학업장려장학생 선발기준으로 인해 장학금이 절실히 필요한 학생들이 더 피해를 보고 있다"며 "학비 마련을 위해 공부는 뒤로 미룬 채 아르바이트 전쟁터로 내몰리고 있다"고 빛고을장학재단을 비판했다.


이에 대해 빛고을장학재단은 "2017년 장학생 선발결과를 통해 명확한 소득기준 필요성을 확인하였고, 2018년 장학생 선발계획 수립 시 관련 기준을 마련할 예정"이라고 뒤늦게 학벌없는사회에 입장을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광주인 http://www.gwangjuin.com/news/articleView.html?idxno=97740

,

시민모임“성적 기준 안 된 재학생에게도 격려금 지급”비판


백운장학회가 서울대 학생들에게만 별도의 특혜를 주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백운장학회가 서울대 및 상위등급 대학 재학생에게 별도의 장학금 기준을 둬 일부 학생에게만 특혜를 주고 장학금 지급 대상에 해당되지 않는 서울대 재학생에게 별도의 격려금을 지급하거나 일반선발 장학생 신청을 할 수 있도록 기회를 부여하는 특혜를 주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학벌 없는 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은 지난달 25일 성명을 내고 백운장학회의 서울대 사랑이 너무 지나치다고 비판했다. 시민모임은 백운장학회에 대해 “대학 및 대학원 장학생은 총장 추천, 성적과 소득수준 등을 기준으로 지급하는 재단의 장학금 지급 기준을 벗어났다”면서 전라남도 인권옴부즈맨에 차별시정을 요구하는 진정서를 제출했다.


이 같은 주장은“과거 장학금은 성적 우수자에게 당연히 따라 붙는 보상이라 여겼지만 현재는 학생들이 학업에 전념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목적으로 바뀌고 있다”며“경제적 여건에 관계없이 누구나 균등한 고등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학생들의 든든한 지원자가 되겠다”고 강조한 백운장학회 이사장인 정현복 시장의 약속과 배치되는 것으로 (재)백운장학회의 장학금 지급 기준의 공정성이 의심되는 부분이다.


시민모임은 또“서울대 재학생이 평균평점이 B학점 이상인 장학금 대상에 해당되지 않더라도 서울대 재학생에게 격려금을 지급하거나 일반선발 장학생 신청을 할 수 있도록 기회를 부여하는 특혜를 주고 있다”고 비판했다.


시민모임은“이 같은 장학금 지급 기준은 한국사회의 고질적 병폐인 학벌주의와 대학 서열화를 조장하고 지역대학·인재 육성이라는 책무를 백운장학회가 방기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전남도 내 대부분의 기초단체에서 특정 대학을 우대하는 장학금 지급기준을 찾을 수 없고 서울대 재학생만을 특별 대우하는 장학금 지급 기준은 더더욱 없다는 것이 시민모임의 주장이다. 시민모임은 이에 “특정 대학에 대한 특혜성 장학금 지급을 폐지하고 지역의 교육발전과 교육의 공공성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에 대해 광양시는“백운장학회는 이사회 결정에 따른 지역인재 육성의 한 방법”이라며“중학생들의 고교 진학이 순천으로 쏠리는 바람에 광양지역으로 우수한 고등학교 신입생을 유치하기 위해 서울대나 상위등급 대학의 장학금 지원을 별도 운영하고 있다”고 해명했다.


광양시민신문 http://www.gynet.co.kr/news/articleView.html?idxno=37125

,

시민단체 “소득파악 부실

전체 63명중 9명 받아가”


광주시의 빛고을장학재단의 장학금을 일부 고소득층이 받았다는 주장이 나왔다.


학벌없는 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이 지난 30일 “광주시와 광주시교육청으로부터 제출받은 ‘2017년 빛고을장학재단 학업장려장학생 선발 현황’을 분석해보니, 장학생 63명 가운데 고소득층이 9명이었다”고 밝혔다.


빛고을장학재단은 2017년부터 과거 성적 중심의 장학금 수여에서 벗어나 저소득층에게 많은 혜택이 가도록 개편했다. 


하지만 이번 분석 결과 장학생 가운데 일부 고소득층이 포함됐다는 게 이들의 주장이다.


이들에 따르면 각 대학이 학업성적과 한국장학재단 소득수준 등을 적용해 추천한 학업장려 장학생 63명 가운데 고소득층이 9명이었다. 또 학업성적과 생활형편 등을 고려해 학교장이 자율적으로 선발·추천한 중·고생 장학생 67명에 대해서는 광주시교육청이 소득수준을 전혀 파악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학벌없는사회 관계자는 “허술한 학업장려 장학생 선발 기준으로 장학금이 절실히 필요한 학생들이 피해를 보고 있다”고 밝혔다. 


광주일보 http://www.kwangju.co.kr/read.php3?aid=1512054000618709006

,

소득 반영 명확한 기준 없어


광주시의 빛고을장학재단이 장학생 선발 시 소득수준을 반영하는 명확한 기준을 마련하지 않아 일부 고소득층에게 장학금 혜택이 돌아간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학벌없는 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학벌없는사회)이 30일 광주시와 광주시교육청으로부터 제출받은 ‘2017년 빛고을장학재단 학업장려장학생 선발 현황’을 분석한 결과다.


빛고을장학재단은 2017년 이전까지 학업성적 결과에 대한 보상적 성격으로 장학금을 지급했지만 2017년부터 생활자금 활용이 가능한 학업 장려금으로 바꿔 저소득층에게 많은 혜택이 가도록 개편했다.


하지만 이번 분석 결과 장학생 가운데 일부 고소득층이 포함된 것으로 확인됐다. 각 대학이 학업성적과 한국장학재단 소득수준 등을 적용해 추천한 학업장려 장학생 63명 가운데 고소득층이 9명이었다. 또 학업성적과 생활형편 등을 고려해 학교장이 자율적으로 선발·추천한 중·고생 장학생 67명에 대해서는 광주시교육청이 소득수준을 전혀 파악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학벌없는사회 관계자는 “허술한 장학생 선발 기준으로 장학금이 절실히 필요한 학생들이 결국 학비 마련을 위해 공부는 뒤로 미룬 채 아르바이트 전쟁터로 내몰리고 있다”며 개선을 촉구했다.


이러한 문제 제기에 빛고을장학재단은 “2018년 장학생 선발계획 수립 시 관련 기준을 마련할 예정”이라고 답변했다.


박은성 기자 pes@kjdaily.com


광주매일신문 http://www.kjdaily.com/read.php3?aid=1512035841424381005

,


광주시 빛고을장학재단이 일부 고소득층 자녀에게 장학금 혜택을 줘 논란입니다.


학벌없는 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이 분석한 '2017년 빛고을장학재단 학업장려장학생 선발 현황'을 보면, 각 대학이 학업성적과 생활형편 등을 고려해 추천한 장학생 63명 가운데 9명이 고소득층이었고, 학교장이 추천한 중·고생 장학생 67명은 소득수준이 전혀 파악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이는 장학생 선발 시 명확한 소득 수준 기준을 만들지 않았기 때문인데, 빛고을장학재단 측은 내년도 장학생 선발계획을 수립할 때 해당 기준을 마련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광주KBC

,

일부 고소득층에게 혜택이 돌아가…


○ 빛고을장학재단이 장학생 선발 시 학업성적 비중을 낮추고 소득수준을 반영하는 계획을 마련했지만, 명확한 기준을 마련하지 않아 일부 고소득층에게 장학금 혜택이 간 것으로 드러났다.


 - 참고로 빛고을장학재단은 2017년 이전까지 학업성적결과에 대한 보상적 성격으로 학업성적우수생에게 빛고을 장학금을 지급했지만, 2017년부터 생활자금 활용이 가능한 학업장려금으로 바꾸면서 저소득층에게 많은 혜택이 가도록 장학금 선발기준을 개편했다.


○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이 광주광역시‧광주광역시교육청으로부터 제출받은 ‘2017년 빛고을장학재단 학업장려장학생 선발 현황’을 분석한 결과. 학업장려장학생 130명 중 대학생 63명은 학업성적 및 한국장학재단 소득수준 등을 적용하여 각 대학(교)에서 선발·추천하였는데, 고소득층 9명이 이들 명단에 포함된 것으로 확인됐다.


 - 또한, 학업장려장학생 중 고등학생 67명은 학업성적 및 생활형편 등을 감안하여 학교장이 자율적으로 선발·추천하였는데, 이를 지도·감독해야 할 광주광역시교육청은 해당 장학생들의 소득수준 파악을 전혀 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 이러한 원인은 해당 장학생 선발 시 명확한 소득수준 기준을 마련하지 않은 것으로, 결국 현행 방식처럼 학업장려장학생을 선발할 경우 학업성적우수생 또는 고소득층 학생에게 장학금 혜택이 갈 여지가 높다.


○ 이에 학벌없는사회는 “허술한 학업장려장학생 선발기준으로 인해 장학금이 절실히 필요한 학생들이 더 피해를 보고 있고, 결국 학비 마련을 위해 공부는 뒤로 미룬 채 아르바이트 전쟁터로 내몰리고 있다.”며 빛고을장학재단 측에게 문제제기했다.


 - 이 같은 문제제기에 대해, 빛고을장학재단은 ‘2017년 장학생 선발결과를 통해 명확한 소득기준 필요성을 확인하였고, 2018년 장학생 선발계획 수립 시 관련 기준을 마련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2017.11.30.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


◯ 2017년 빛고을장학재단 학업장려장학생 소득분위 현황(대학생)

연 번

소득분위

학생 수

비 고

1

한국장학재단 1분위

23

 

2

한국장학재단 2분위

7

 

3

한국장학재단 3분위

5

 

4

한국장학재단 4분위

3

 

5

한국장학재단 5분위

4

 

6

한국장학재단 6분위

6

 

7

한국장학재단 7분위

4

 

8

한국장학재단 8분위

4

 

9

한국장학재단 9분위

1

 

10

한국장학재단 10분위

0

 

11

기분중위소득 70%

2

한국장학재단 소득분위 미확인자

12

기준중위소득 130%

1

한국장학재단 소득분위 미확인자

13

기준중위소득 150%

1

한국장학재단 소득분위 미확인자

14

기준중위소득 170%

1

한국장학재단 소득분위 미확인자

15

기준중위소득 190%

1

한국장학재단 소득분위 미확인자

합계

63


※ 소득분위 : 1~2분위 저소득층, 3~7분위 중산층, 8~10분위 고소득층

※ 중위소득계층 : 중위소득의 50% 이상 150% 미만에 해당하는 사람들 (50%이하 빈곤층, 150%이상 부유층)


◯ 2017년 빛고을장학재단 장학생 세부 선발기준

구분

추천기관

대상

선발 기준

선발인원

학업장려장학생

소속대학

대학생

정규대학생으로서 직전학기 성적이 학과(전공)별 평점 평균 4.5만점기준으로 3.0이상인자 + 소득수준

63

(대학별 2~8)

시교육청

고등학생

직전학기 학업성적이 전체과목 중 과반수 과목이상 23%(3등급)이내의 사람 + 소득수준

67

(학교당 1)

전학년 장학생

소속대학

대학생

기존 선발 학생에 대하여 성적확인

14

(선발,

신규선발 없음)

체능 특기 장학생

시교육청

고등학생

고등학생 중 전국 규모의 각종 대회에서 3위 이상 입상한 장래성과 발전가능성이 많은 개인 또는 단체

21

생계곤란장학생

(자치구)

대학생

고등학생

기초생활수급자, 518 유공자중 생계곤란자로 선발인원의 20% 범위 이내

47

이사장추천

장학생

(관련기관)

대학생

고등학생

다문화가정 등

선발인원의 10% 범위 이내

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