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단체가 사립초등학교인 광주S초등학교의 방과후학교 운영 자료를 분석한 결과, 특정 교과강좌에 학생들의 참여를 사실상 강제한 정황이 확인되었다.

 

광주 S초교는 방과후학교 운영 계획과 달리, 1교시에 영어, 수학, 과학 등의 특정 강좌를 개설하며 전교생을 참여시켜 정규교육과정의 연장선처럼 운영했다. 학교 측은 학생 및 학부모의 수요조사에 따라 자율적으로 운영했다고 주장하지만, 학생들이 특정 강좌를 선택하지 않을 수 없는 구조를 만들어 학습 선택권을 심각하게 제한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광주시교육청 방과후학교 지침에 따르면 정원이 초과될 경우 분반해야 하나, 광주S초교는 이를 준수하지 않았다. 예를 들어, 1학년 영어 강좌는 학급당 11명씩 3학급(33)으로 제한하고 있는데, 전교생 84명이 참여했음에도 불구하고 추가 학급을 편성하지 않은 것이다. 이는 특정 강사의 과도한 강사료 지급 또는 부적정한 회계 운영의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특히, 1·2학년 영어·수학 강좌에서는 방과후학교 강사가 자체 제작한 교재에 대한 비용을 전교생 학부모에게 부과한 사실이 확인되었는데, 이는 출판문화산업진흥법을 위반한 사항이다. 방과후학교 강사가 도서판매업 등 사업자등록 없이 자체 개발 교재를 판매할 수 없다는 법적 규정을 어긴 것으로, 이는 과태료 부과 대상이 될 수 있다.

 

한편, 광주S초교는 과거에도 정규수업 시간표에 방과후학교 강좌를 포함시켜 불법적으로 운영한 사례(2015)가 발견돼 감사 및 행정처분을 받은 바 있다. 2020년에는 일부 강좌를 방과후학교 운영계획에서 고의로 누락하고, 수강료를 일괄 납부하도록 하여 특정 교과강좌 참여를 사실상 강제한 바 있다.

 

광주S초교의 사례는 사립초교의 특성과 보호자들의 높은 교육열을 악용해 학교가 의도적으로 방과후학교를 편법 운영했을 가능성을 보여준다. 이에 우리 단체는 광주 S초교의 방과후학교 운영 전반에 대한 철저한 감사를 요구하며, 학습 선택권 보장을 위한 제도 개선을 광주시교육청에 촉구하는 바이다.

 

2025. 1. 8.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시민모임

,

광주광역시교육청의 대안교육 위탁기관인 광주푸른꿈창작학교는 기존 학교 안에서 얻기 힘든 배움을 제공하여 고등학생들 사이에 큰 인기를 얻고 있다. 최근에는 지원자가 급증하여 2024학년도에는 정원을 초과할 정도로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구분 정원 지원자수 합격자수 최종수료
2020학년도 200 163 163 145
2021학년도 225 171 171 141
2022학년도 225 159 159 127
2023학년도 225 173 173 139
2024학년도 225 256 225 206(예정)

2020~2024학년도 광주푸른꿈창작학교 지원 및 합격 현황

 

그런데 광주시교육청은 광주푸른꿈창작학교의 입학 자격을 일반고(인문계) 학생들로 제한하고 있다. 최근 광주지역 특성화고 학업 중단률이 매년 증가하고 있어서 학생들이 제도교육 안에서 대안을 찾을 수 있는 길을 다양하게 지원해도 모자랄 지경인데, 특성화고 학생이 다른 길을 선택할 문을 차단하고 있는 것이다.

 

구분 학업중단률(%) 전년도 학생수 학업중단자
2022년 통계 3.4 6,487 218
2023년 통계 4.6 5,869 268
2024년 통계 5.4 5,566 303

2022~2024년 통계 기준, 광주지역 특성화고교 학업중단 현황

구분 학업중단률(%) 전년도 학생수 학업중단자
초등학교 0.5 81,730 377
중학교 0.6 42,605 239
고등학교 전체 2.4 41,952 1,007
일반고 1.8 35,071 637
특목고 0.8 1,315 10
특성화고 5.4 5,566 303

2024년 통계 기준, 광주지역 초··고등학교 학업중단 현황

 

기존 학교에서 꿈을 찾지 못한 학생들이 대안교육의 문턱에서 좌절하게 된다면, 이들은 학교 밖으로 방치될 위험에 놓이게 된다. 이는 당사자들의 교육 기회가 무너지는 것은 물론 사회적 소외와 낙인 등 사회불안이 더욱 심화될 수밖에 없다.

 

이에 우리 단체는 모든 학생에게 공정하고 평등한 입학 기회를 제공하는 방향으로 대안교육기관을 운영할 것을 광주시교육청에 촉구하는 바이다. 또한, 다양한 학생들의 꿈과 끼를 품을 수 있도록 대안교육 생태계를 더욱 풍성하게 만들어 갈 수 있도록 노력해 줄 것을 당부하는 바이다.

 

2025. 1. 6.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시민모임

,

뉴시스 https://www.newsis.com/view/NISX20241209_0002989403

 

광주교육시민연대 "고교 통학로 강제집행 방관한 학원 이사 교체"

[광주=뉴시스]김혜인 기자 = 광주교육시민연대가 토지 강제집행으로 가로막힌 광주 한 고등학교 통학로 문제를 두고 "토지 조정 의사결정을 미뤄온 이사진을 전면 교체"하라고 촉구했다. 학벌없

www.newsis.com

 

,

광주드림 https://www.gjdream.com/news/articleView.html?idxno=651597

 

,

에너지경제 https://www.ekn.kr/web/view.php?key=20241212024224469

 

입시 하위영역으로 수단화된 빛고을독서마라톤대회 ‘문제 있다’

광주=에너지경제신문 이재현 기자 독서의 중요성을 알리고 창의적 사고를 키우기 위해 2005년에 첫 대회를 개최하고 올해 제19회를 맞이한 빛고을 독서마라톤대회가 본질적인 교육 활동..

www.ekn.kr

 

,

광주드림 https://www.gjdream.com/news/articleView.html?idxno=651713

 

,

뉴시스 https://www.newsis.com/view/NISX20241213_0002995777

 

'학생인권조례' 유지론 손 들어준 광주시의회 "인권 기여"

[광주=뉴시스]맹대환 기자 = 광주지역 일부 주민들이 청구한 학생인권조례 폐지 조례안이 광주시의회에서 8개월여 만에 부결돼 폐기됐다.광주시의회 교육문화위원회는 13일 주민조례로 청구된

www.newsis.com

 

,

한국일보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A2024121610400002460?did=NA

 

,

전남매일 http://www.jndn.com/article.php?aid=1734402835400767007

 

,

경향신문 https://www.khan.co.kr/article/202412181444001

 

연 1000만원 학비에도 경쟁률 ‘5대1’인 사립 초교···“특권 교육, 규제 필요”

광주지역 사립초등학교들이 연간 1000만원에 가까운 학비를 받고 있지만 경쟁률만 5대1에 달할 정도로 과열 양상을 띠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학벌 없는 사회를 위한 시민모임이 광주시 사

www.khan.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