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방 국립대가 수도권 대학 출신 교수를 우대하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습니다.


- 학벌없는 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은 광주 소재 국립대 교수의 출신학교 현황을 분석해 30일 발표했는데요. 


- 자료에 따르면 전남대·광주교육대·광주과학기술원 등 광주지역 3개 국립대의 수도권 대학 출신 교수 임용 비율이 39.1%나 됐습니다. 교수 10명 중 4명이 수도권 대학 출신이라는 건데요.


- 전남대는 전체 교원 1천191명 중 수도권 출신이 42.3%인 504명이었습니다. 광주교육대와 광주과학기술원은 각각 35.8%와 16.2%로 집계됐는데요. 이 중 광주과학기술원의 현황이 재밌습니다.


- 광주과학기술원은 전체 교원 154명 중 국외대학 출신이 125명(81.1%)이었는데요. 국내 대학 출신 교수 29명 중 수도권 출신이 25명이었습니다. 


- 광주시민모임은 "교육공무원 임용령에는 '특정대학의 학사학위 소지자가 임용인원의 3분의 2를 초과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는 규정이 있지만 유명무실화된 상태"라며 "교육부와 각 대학은 지역 균형발전을 도모할 수 있도록 지방대학 출신 교수의 임용 확대·개선방안을 강구해야 한다"고 주문했습니다.


매일노동뉴스 http://www.labor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29543

,

SKY대 비율 압도적 “학벌 편중 막게 임용령 개정해야”


지역할당제로 교수 학벌장벽을 허물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학벌 없는 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은 30일 “전남대·광주교대·광주과학기술원 교수의 출신 대학을 분석했더니 10명 중 4명은 수도권 대학 출신이었고, 이 중에서도 서울대·연세대·고려대 등 3곳의 비율이 압도적으로 높았다”고 밝혔다.

 

이 단체는 지난 10월15일 광주시에 있는 국립대 3곳에 정보공개를 청구해 전임강사 이상 교수들의 출신 대학을 살폈다.

 

전남대는 교수 1191명 중 수도권 출신이 42.3%인 504명이었다. 서울대·연세대·고려대 등 3곳 출신은 전체의 26.4%인 315명으로 나타났다. 학교별로는 전남대 출신이 503명(42.2%)으로 가장 많았고, 서울대 215명, 연세대 51명, 고려대 49명 등 차례였다. 이어 한양대가 30명을 기록했고, 한국과학기술원·부산수산대 23명, 조선대 18명, 이화여대 17명, 부산대 15명, 전북대 14명, 충남대 13명 등으로 조사됐다.

 

광주교육대는 교수 78명 중 수도권 출신이 28명(35.8%)이었다. 이 가운데 서울대·연세대·고려대 출신은 14명(18%)으로 집계됐다.

 

광주과학기술원은 교수 154명 중 국외 대학 출신이 112명(72.7%)이고, 국내 대학 출신은 42명(27.3%)이었다. 국내 대학에선 서울대가 22명으로 최다였고, 한국과학기술원 12명, 포항공대 2명 등이 뒤를 이었다.

 

이 단체는 “국정감사에서도 특정 대학 출신이 교수직을 독차지하며 대물림하는 현상이 지적됐지만 개선될 기미가 거의 없는 실정이다. 특정 대학 쏠림의 실태를 확인하기 위해 정보공개를 청구했다”고 밝혔다. 이 단체는 이어 “교육공무원 임용령에는 ‘특정 대학의 학사학위 소지자가 3분의 2를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는 규정이 있지만 강제성이 없어 대학들이 개의치 않고 있다. 임용령을 개정해 지방대학 출신의 임용을 확대하는 지역 할당제를 도입하고, 대학별 교원임용위원회도 교수집단한테만 맡겨두지 말고 지역위원과 학생위원을 참여시켜 의견을 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고형준 이 단체 활동가는 “특정 대학을 나오지 않으면 교수 되는 것이 하늘의 별 따기보다 어렵다. 공평해야 할 교수 사회가 진입장벽을 쳐두고 학벌에 따라 독과점하고 대물림하는 게 말이 되느냐. 이래서는 학문의 발전도 이룰 수 없는 만큼 서둘러 고쳐야 한다”고 말했다.


U라인 http://usline.kr/n/news_view.html?c=n_uni&seq=2069

,

학벌 없는 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은 30일 “광주에 있는 국립대 3곳 교수들의 출신 대학을 분석한 결과 10명 중 4명(39.1%)은 수도권 대학을 졸업한 것으로 조사됐다”고 밝혔다. 이 단체는 전남대와 광주교대, 광주과학기술원(GIST)의 교수 현황을 분석했다.


지역 거점 국립대학인 전남대는 수도권 대학 출신 교수 비율이 가장 높았다. 전남대 교수 1191명 중 수도권 대학 출신은 504명(42.3%)에 달했다. 수도권 대학 중에서는 서울대 215명, 연세대 51명, 고려대 49명으로 이들 3개 대학 출신이 315명을 차지했다. 반면 전남대를 포함해 광주와 전남지역 대학을 졸업한 교수는 523명으로 절반도 안됐다.


광주과학기술원은 외국 대학을 나온 교수 비율이 월등히 높았다. 이 대학교수 154명 중 외국 대학 출신은 125명(81.1%)이나 됐다. 국내 대학을 나온 교수 29명 중에는 서울대 출신이 18명으로 압도적이었다. 광주와 전남지역 대학을 졸업한 교수는 1명도 없었다.


광주교대는 전체 교수 78명 중 28명이 수도권 소재 대학에서 학위를 받았다. 역시 서울대 출신이 10명으로 가장 많았다.


경향신문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412302141045&code=620105

,

광주 시민단체, 정보공개 청구 결과

국립대 교수 42% 수도권 대학 출신

서울대·연세대·고려대 비율 압도적

“학벌 편중 막게 임용령 개정해야”


특정 대학 출신을 중심으로 견고하게 구축된 교수 사회의 학벌장벽을 허물려면 지역 할당제를 도입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학벌 없는 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은 30일 “전남대·광주교대·광주과학기술원 교수의 출신 대학을 분석했더니 10명 중 4명은 수도권 대학 출신이었고, 이 중에서도 서울대·연세대·고려대 등 3곳의 비율이 압도적으로 높았다”고 밝혔다.

이 단체는 지난 10월15일 광주시에 있는 국립대 3곳에 정보공개를 청구해 전임강사 이상 교수들의 출신 대학을 살폈다.


전남대는 교수 1191명 중 수도권 출신이 42.3%인 504명이었다. 서울대·연세대·고려대 등 3곳 출신은 전체의 26.4%인 315명으로 나타났다. 학교별로는 전남대 출신이 503명(42.2%)으로 가장 많았고, 서울대 215명, 연세대 51명, 고려대 49명 등 차례였다. 이어 한양대가 30명을 기록했고, 한국과학기술원·부산수산대 23명, 조선대 18명, 이화여대 17명, 부산대 15명, 전북대 14명, 충남대 13명 등으로 조사됐다.


광주교육대는 교수 78명 중 수도권 출신이 28명(35.8%)이었다. 이 가운데 서울대·연세대·고려대 출신은 14명(18%)으로 집계됐다.


광주과학기술원은 교수 154명 중 국외 대학 출신이 112명(72.7%)이고, 국내 대학 출신은 42명(27.3%)이었다. 국내 대학에선 서울대가 22명으로 최다였고, 한국과학기술원 12명, 포항공대 2명 등이 뒤를 이었다.


이 단체는 “국정감사에서도 특정 대학 출신이 교수직을 독차지하며 대물림하는 현상이 지적됐지만 개선될 기미가 거의 없는 실정이다. 특정 대학 쏠림의 실태를 확인하기 위해 정보공개를 청구했다”고 밝혔다. 이 단체는 이어 “교육공무원 임용령에는 ‘특정 대학의 학사학위 소지자가 3분의 2를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는 규정이 있지만 강제성이 없어 대학들이 개의치 않고 있다. 임용령을 개정해 지방대학 출신의 임용을 확대하는 지역 할당제를 도입하고, 대학별 교원임용위원회도 교수집단한테만 맡겨두지 말고 지역위원과 학생위원을 참여시켜 의견을 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고형준 이 단체 활동가는 “특정 대학을 나오지 않으면 교수 되는 것이 하늘의 별 따기보다 어렵다. 공평해야 할 교수 사회가 진입장벽을 쳐두고 학벌에 따라 독과점하고 대물림하는 게 말이 되느냐. 이래서는 학문의 발전도 이룰 수 없는 만큼 서둘러 고쳐야 한다”고 말했다.


안관옥 기자 okahn@hani.co.kr


한겨레 http://www.hani.co.kr/arti/society/area/671523.html

,

광주지역 국립대 교수 가운데 수도권 대학 출신이 40%에 가까운 것으로 나타났다.


'학벌없는 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이 광주소재 국립대 교수의 출신학교 현황을 분석해 30일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전남대와 광주교육대, 광주과학기술원 등 광주지역 3개 국립대의 수도권대학 출신 교수 임용 비율은 39.1%였다.


전남대는 전체 교원 1천191명 중 수도권 출신이 42.3%인 504명으로 가장 많았다.


광주교육대는 78명 중 28명으로 35.8%, 광주과학기술원은 154명 중 25명으로 16.2%였다.


광주과학기술원의 경우 상대적으로 수도권대학 출신 비중이 낮은 것처럼 보이지만 전체 교원 154명 중 국외대학 출신이 125명(81.1%)으로 절대 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국내 대학 출신 교수임용자 29명 중 수도권(SKY)대학이 차지하는 비중이 25명으로 86.2%에 달했다.


광주시민모임은 "이처럼 수도권·국외 대학 출신이 대학가의 교수임용을 독차지하고 있는 폐단은 그동안 국정감사 등을 통해 여러 차례 지적돼온 문제"라며 "현행 교육공무원 임용령에는 '특정대학의 학사학위 소지자가 임용인원의 3분의 2를 초과하지 아니하도록 해야 한다'는 규정이 있지만 미비하고 강제성이 부족해 대학들이 특정대학 출신을 뽑는 데 크게 개의치 않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결국 특정대학 출신이 아니고선 교수에 임용되는 것은 하늘의 별따기 보다도 어려운 상황"이라면서 "교육부와 각 대학은 지방에서 열심히 연구 활동에 임하는 연구생들에게 힘을 주고 지역균형발전을 도모하며 치열한 연구를 통해 학문의 발전을 이뤄낼 수 있도록 '지방대학 출신의 교수 임용 확대·개선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교육부에 교육공무원 임용령 개정을 통한 대학교수 임용의 지역할당제 도입을 촉구했다.


김명식 기자 msk@namdonews.com


남도일보 http://www.namdo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377428

,

(광주=이성필 기자) 광주지역 국립대학교 교수 10명 중 4명이 수도권의 특정 대학 출신 인 것으로 나타나 '지역 할당제 도입 방안'이 마련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30일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이 '전남대·광주교대·광주과학기술원 교수의 출신학교 현황'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수도권대학 출신 교수 임용 비율이 약 39.1%로 매우 높았다. 


전남대는 전체 교원 1191명 중 수도권 출신이 42.3%인 504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광주교육대는 78명 중 28명(35.8%), 광주과학기술원은 154명 중 25명(16.2%)이다. 


광주과학기술원은 전체 교원 154명 중 국외대학 출신이 125명(81.1%)으로 다수를 차지했으며 국내대학 출신 교수임용자 29명 중 수도권(SKY)대학 비중이 25명에 달했다.


광주시민모임은 "수도권·국외 대학 출신이 대학가의 교수임용을 독차지하고 있는 폐단은 국정감사 등을 통해 여러 차례 지적됐다"며 "현행 교육공무원 임용령에는 '특정대학의 학사학위 소지자가 임용인원의 3분의 2를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는 규정이 있지만 강제성이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또 "특정대학 출신이 아니고선 교수에 임용되는 것은 하늘의 별따기 보다도 어려운 상황이다"며 "교육부와 각 대학은 '지방대학 출신의 교수 임용 확대·개선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며 "교육공무원 임용령 개정을 통해 대학교수 임용시 지역 할당제 도입 필요하다"고 촉구했다.


경양신문 http://www.kyilbo.co.kr/sub/view.php?seq=246099

,

전남대 42%, 광주교대 35%, GIST는 지방출신 4명뿐

학벌없는모임 "대학교수 지역할당제 도입 시급"


광주지역 현직 국립대 교수 약 40%가 수도권 대학 출신인 것으로 나타나, 교수진마저 지역 차별이 견고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31일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이하 시민모임)은 정보공개를 통해 입수한 ‘광주 소재 국립대 교수의 출신학교 현황’을 분석한 결과를 내놨다.


이에 따르면 전남대, 광주과기원 등 지역 국립대에 재직중인 교수 중 수도권 대학 출신 임용자가 39.1%로 나타났다.


전남대학교는 전체 교원 1191명 중 수도권 출신이 42.3%인 504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광주교육대학교는 78명 중 28명(35.8%),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154명 중 25명(16.2%)이었다. 


광주과학기술원은 상대적으로 수도권대학 출신 비중이 낮지만, 전체 교원 154명 중 외국대학 출신이 125명(81.1%)으로 절대 다수를 차지해 지역 출신 교수들의 자리는 더 좁았다. 


광주과기원의 경우, 국내대학 출신 교수 임용자가 29명인데 이중 수도권(SKY)대학 출신은 25명으로 절대 다수를 차지하며, 비수도권 대학 출신은 4명에 그쳐 타 대학보다 그 비중이 훨씬 더 낮았다. 


이처럼 수도권·국외 대학 출신이 지역 대학의 교수 사회를 독차지하고 있음에 따른 폐단은 그동안 국정감사 등을 통해서도 여러 차례 지적돼 왔다. 


현행 교육공무원 임용령에는 ‘특정대학의 학사학위 소지자가 임용인원의 3분의 2를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는 규정이 있지만, 강제성이 없어 실효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는 게 시민모임의 주장이다. 


시민모임은 “결국 특정대학 출신이 아니고선 교수에 임용되는 것은 하늘의 별따기 보다 어려운 상황”이라면서 “고학력 시대에 따라 대학원생들이 교수를 지망하는 경우가 많지만, 특정대학 출신이 독점하면서 수많은 연구생들이 다른 취업 현장을 찾아 발길을 돌리고 있다”고 밝혔다. 


이 모임은 “이에 교육부와 각 대학에서는 지방에서 열심히 연구 활동에 임하는 연구생들에게 힘을 주고, 지역균형 발전을 도모하며 치열한 연구를 통해 학문의 발전을 이뤄낼 수 있도록 ‘지방대학 출신의 교수 임용 확대·개선방안’을 강구해야 한다”며 “또한 교육부는 교육공무원 임용령 개정을 통한 대학교수 임용의 지역할당제 도입을 마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호행 기자 gmd@gjdream.com


광주드림 http://www.gjdream.com/v2/news/view.html?uid=461990

,

광주소재 국립대학교, 수도권(SKY)대학 출신 교수 임용률 높아


(광주=국제뉴스) 문승용 기자 = 대학사회에서 학벌 장벽은 여전히 견고했다.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에서 정보공개를 통해 입수한 ‘광주소재 국립대 교수의 출신학교 현황’을 분석한 결과, 수도권대학 출신 교수 임용 비율은 약 39.1%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전남대학교는 전체 교원 1191명 중 수도권 출신이 42.3%인 504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광주교육대학교는 78명 중 28명(35.8%), 광주과학기술원은 154명 중 25명(16.2%)이었다.


광주과학기술원은 상대적으로 수도권대학 출신 비중이 낮은 것처럼 보이지만, 전체 교원 154명 중 국외대학 출신이 125명(81.1%)으로 절대 다수를 차지하고 있으며, 국내대학 출신 교수임용자 29명 중 수도권(SKY)대학이 차지하는 비중이 25(23)명에 달했다.


이처럼 수도권·국외 대학 출신이 대학가의 교수임용을 독차지하고 있는 폐단은 그간 국정감사 등을 통해 여러 차례 지적되어온 문제다.


현행 교육공무원 임용령에는 "특정대학의 학사학위 소지자가 임용인원의 3분의 2를 초과하지 아니하도록 하여야 한다."는 규정이 있지만, 규정이 미비하고, 강제성이 부족해 대학들은 특정대학 출신을 뽑는 데 크게 개의치 않고 있다.


결국 특정대학 출신이 아니고선 교수에 임용되는 것은 하늘의 별따기 보다도 어려운 상황이다. 고학력 시대에 따라 대학원생들이 교수를 지망하게 되는 경우가 많아질 수밖에 없지만, 특정대학 출신의 독점으로 수많은 연구생들이 다른 취업현장을 찾아 발길을 돌리고 있는 것이다.


학사모는 "교육부와 각 대학에서는 지방에서 열심히 연구 활동에 임하는 연구생들에게 힘을 주고, 지역균형발전을 도모해야 한다"며 "치열한 연구를 통해 학문의 발전을 이뤄낼 수 있도록 '지방대학 출신의 교수 임용 확대·개선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교육부는 교육공무원 임용령 개정을 통한 대학교수 임용의 지역할당제를 도입하라"고 촉구했다.

,

전남대 42.3%, 광주교대 35.8% 등 평균 39.1%

교육공무원 임용령 개정...지역할당제 도입 시급


광주지역 국립대 교수 10명 중 4명이 수도권 대학 출신인 것으로 나타나 대학교수 임용의 지역할당제 도입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30일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이 정보공개를 통해 ‘전남대·광주교대·광주과학기술원 등 광주지역 국립대 교수의 출신학교 현황’을 분석한 결과 수도권대학 출신 교수 임용 비율이 39.1%로 높게 나타났다.



   

▲ 전남대학교 정문 전경. ⓒ광주인


전남대는 전체 교원 1191명 중 수도권 출신이 42.3%인 504명으로 가장 많았고 광주교육대는 78명 중 28명(35.8%), 광주과기원은 154명 중 25명(16.2%)이었다.

 

특히 광주과기원은 전체 교원 154명 중 국외대학 출신이 125명(81.1%)으로 다수를 차지했다. 국내대학 출신 교수임용자도 29명 중 수도권(SKY)대학이 차지하는 비중이 25명(SKY 23명)에 달했다. 

 

광주시민모임은 “수도권·국외 대학 출신이 대학가의 교수임용을 독차지하는 폐단은 그간 국정감사 등을 통해 여러 차례 지적됐다”며 “현행 교육공무원 임용령에는 ‘특정대학의 학사학위 소지자가 임용인원의 3분의 2를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는 규정이 있지만 규정이 미비하고 강제성이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또 “특정대학 출신이 아니고선 교수 임용이 하늘의 별따기보다 어려운 상황”이라며 “교육부와 각 대학은 ‘지방대학 출신의 교수 임용 확대·개선방안’을 강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은 교육부에게 교육공무원 임용령 개정을 통한 대학교수 임용의 지역할당제 도입을 촉구했다.

,

(광주=연합뉴스) 형민우 기자 = 광주지역 주요 국립대학에 임용된 교수의 출신학교가 수도권대 졸업자의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30일 학벌없는 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이하 시민모임)이 정보공개를 통해 입수한 '광주소재 국립대 교수의 출신학교 현황'을 분석한 결과, 수도권대학 출신 교수 임용 비율이 39.1%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전남대는 전체 교원 1천191명 중 수도권 출신이 42.3%인 504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서울대·고려대·연세대 등 소위 'SKY'대 출신은 315명으로 26.4%에 달했다.


 

광주교대는 78명 중 28명(35.8%)이 수도권 출신이었으며 'SKY'대 출신은 14명(18%)으로 나타났다. 


광주과학기술원은 154명 중 25명(16.2%)이이 수도권 출신으로 낮았지만, 국외대학 출신이 125명(81.1%)으로 다수를 차지했다. 


시민모임은 현재 교육공무원 임용령에 '특정대학 학사학위 소지자가 임용 인원의 3분의 2를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는 조항이 있지만, 강제성이 부족해 대학들이 크게 개의치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시민모임은 보도자료에서 "지방에서 열심히 연구 활동에 임하는 연구생들에게 힘을 주고, 지역균형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지방대학 출신의 교수 임용 확대·개선방안'을 강구해야 한다"며 "교육공무원 임용령 개정을 통한 대학교수 임용의 지역할당제를 도입해야한다"고 촉구했다. 


minu21@yna.co.kr 


연합뉴스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4/12/30/0200000000AKR20141230060500054.HTML?input=1179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