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교육시민단체 “강제 야자 중단” 촉구

 

광주지역 고등학생 10명 중 8명 이상이 야간자율학습이 강제적으로 이뤄지고 있다고 응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광주 교육시민단체는 이 같은 결과를 토대로 강제성을 띤 야간자율학습 중단과 실효성 있는 단속을 촉구하고 나섰다.

광주어린이청소년친화도시협의회는 7일 광주시교육청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광주지역 60개 국·공·사립고생 520명을 비롯한 98개 초·중·고 재학생 558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강제학습에 대한 온·오프라인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설문 결과를 보면 고교생의 86.3%가 “야간자율학습이 강제적으로 이뤄지고 있다”, “불참시 불이익이 있거나 학부모 면담을 요구한다”고 답했다.

 

올해부터 광주시교육청이 오전 9시 등교 정책을 시행 중인 가운데 ‘최근 1년새 아침 자율학습에 강제로 참여한 적이 있느냐’는 질문에는 68.4%가 “그렇다”고 답했다.

 

점심 자율학습은 조사 대상 학교의 73.6%가 시행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시행하는 학교 학생들 중 58.3%는 강제적으로 참여하고 있다고 응답했다.

 

주말·휴일 자율학습도 참여 학생의 57.0%는 “강제적으로 참여하고 있다”고 답했다. 점심 자율학습은 주로 영어듣기, 주말과 휴일 야자는 심화반 중심으로 이뤄지는 것으로 파악됐다.

 

광주어린이청소년친화도시협의회는 이 같은 결과를 토대로 “야자 참여 학생 10명 중 8∼9명이 야자를 강요받으며 보충수업이나 자율학습에 강제로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된 만큼 강력한 단속이 요구된다”고 밝혔다.

 

또 “강제 야자는 학생들 입장에서 보면 최소한의 수면권과 건강권, 여가권을 침해하는 것으로, 인권 침해이자 UN아동권리협약 위반”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보충수업 참여학생 10명 중 8∼9명도 학교, 교사, 친권자에 의해 학교수업이 끝난 방과후 보충수업을 강요받고 있으며, 이 과정에서 학생들의 선택권은 존중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라고 주장했다.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과 참교육학부모회 광주지부 등으로 구성한 ‘강제 야간자율학습 금지 대책위원회’는 이날 국가인권위원회에 인권침해 집단 진정서를 낸 데 이어 다음 달 중으로 UN한국위원회에 아동권리협약 위반으로 제소할 방침이다.

 

앞서 6일에는 광주시교육청에 학생인권 영향평가를 제안했고 5·18 광주민주화운동 추모기간 중에 열리는 5·18 레드페스타 행사 중에 ‘강제 야자 고발대회’를 개최할 예정이다.

 

광주인 http://www.gwangjuin.com/news/articleView.html?idxno=867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