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고교생 86% '강요' 응답

 

광주 지역 대부분의 학교들이 여전히 강제로 야간자율학습을 강요한다고 한다. 진보 성향인 장휘국 광주시 교육감의 재선 이후 의욕적으로 추진했던 학생들의 학습 선택권 존중과 학생 개개인의 능력과 특성에 맞는 교육도 빛이 바래는 모양새다.

 

광주어린이청소년친화도시협의회가 지난 3~4월 광주지역 60개 국ㆍ공ㆍ사립고생 520명과 98개 초ㆍ중ㆍ고 재학생 558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고교생의 86.3%가 '야자가 강제적으로 이뤄지고 있다.'거나 '불참 시 불이익이 있거나 학부모 면담을 요구한다.'고 응답했다. 점심 자율학습과 주말ㆍ휴일 자율학습에 강제적으로 참여한다는 대답도 57%에 달했다.

 

학교 측 입장에서는 학생들의 실력 향상을 위해 강제적인 자율학습이 불가피하다는 판단을 하고 있을 것이다. 다른 학교와 경쟁해야 하는 현실적인 어려움이나 자율학습을 강제해야 한다는 일부 학부모의 요구도 있을 터다. 하지만 강제로 밀어붙이는 학업은 학생들의 학습 선택권을 빼앗는 반교육적 처사일 뿐 아니라 학습 능률도 오르지 않는다. 한창 자라나야 할 학생들의 건강에도 악영향을 미친다.

 

아이들은 기계가 아닌 이상 휴식을 통한 재충전의 기회가 반드시 필요하다. 광주시교육청이 조기 등교를 막고 토ㆍ일요일 보충학습이나 자율학습을 하지 못하도록 정규수업 운영 지침을 만든 것도 이 때문이다. 시교육청은 지금이라도 정규수업 이외의 교육 활동을 철저히 점검하고 강제 학습에 대한 대안을 마련해야 한다. 주말이나 휴일까지 학생들을 공부에 내몰고 입시 위주의 파행적인 문제풀이에 앞장서는 것을 교육의 본질로 착각해서는 안 된다.

전남일보 http://www.jnilbo.com/read.php3?aid=14312700004687650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