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지역 교육시민단체가 강제성을 띤 야간자율학습의 중단과 실효성 있는 단속을 촉구했다.

 

광주어린이청소년친화도시협의회(이하 협의회)는 7일 광주시교육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야간자율학습에 참여한 학생 대부분이 보충수업이나 자율학습에 강제로 참여한다는 반응을 보인 만큼 강력한 단속을 해야 한다”고 밝혔다.

협의회는 또 “강제 야간자율학습은 최소한의 수면권과 건강권, 여가권을 침해하는 것으로, 인권 침해이자 유엔아동권리협약 위반”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보충수업 참여 학생 대부분도 학교·교사·친권자에 의해 학교 수업이 끝난 이후 방과후 보충수업을 강요받고 있으며, 학생들의 선택권은 존중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라고 주장했다.

 

협의회는 지난 3월28일~4월12일 광주지역 초·중·고 98곳의 재학생 558명을 대상으로 강제학습에 대한 온·오프라인 설문조사를 벌였다. 조사 결과, 고교생의 86.3%가 “야간자율학습이 강제적으로 이뤄지고 있다”, “불참시 불이익이 있거나 학부모 면담을 요구한다”는 반응을 나타냈다. ‘최근 1년새 아침 자율학습에 강제로 참여한 적이 있느냐’는 질문에는 응답자의 68.4%가 “그렇다”고 응답했다.

 

또 58.3%는 점심 자율학습에, 57.0%는 주말·휴일 자율학습에 “강제적으로 참여하고 있다”고 대답했다. 점심 자율학습은 주로 영어듣기, 주말과 휴일 자율학습은 심화반 중심으로 이뤄지는 것으로 파악됐다.

 

83.8%는 오후 보충수업도 “(사실상) 강제적이다”라고 했고, 일부 학생들은 “동의서를 돌리긴 하지만 강제나 다름없다”, “불참시 교장·교감 결재를 맡아야 하고, 1학년은 전원 강제로 참여한다”고 불만을 표출했다.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과 참교육학부모회 광주지부 등으로 짜여진 ‘강제 야간자율학습 금지 대책위원회’는 이날 국가인권위원회에 인권침해 집단 진정서를 낸 데 이어 6월 안에 유엔한국위원회에 아동권리협약 위반으로 제소할 방침이다.

 

앞서 지난 6일에는 광주시교육청에 학생인권 영향평가를 제안했고, 5·18 광주민주화운동 추모 기간에 열리는 5·18 레드페스타 중에 ‘강제 야자 고발대회‘를 열기로 했다.

 

안관옥 기자 okahn@hani.co.kr

 

한겨레 http://www.hani.co.kr/arti/society/area/690184.htm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