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S광주 출발 무등의 아침 - 인터뷰 다시 듣기>


○ 주제 : 광주 고교생 강제학습 실태

○ 인터뷰자 : 박고형준 학벌 없는 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 활동가

 다시 듣기 : http://nkoreanet.kbs.co.kr/vod/vod_view.html?no=254279&pgcode=101&local_id=8412&current_page=


※ KBS홈페이지에 로그인 하여야 청취가 가능합니다

,

【광주=뉴시스】송창헌 기자 = 광주지역 교육시민단체가 강제성을 띤 야간자율학습(이른바 '강제 야자) 중단과 실효성있는 단속을 촉구하고 나섰다.

 

광주어린이청소년친화도시협의회(이하 협의회)는 7일 광주시교육청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야자 참여 학생 10명 중 8∼9명이 야자를 강요받으며 보충수업이나 자율학습에 강제로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설문 결과 확인된 만큼 강력한 단속이 요구된다"고 밝혔다.

 

또 "강제 야자는 학생들 입장에서 보면 최소한의 수면권과 건강권, 여가권을 침해하는 것으로, 인권 침해이자 UN아동권리협약 위반"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보충수업 참여학생 10명 중 8∼9명도 학교, 교사, 친권자에 의해 학교수업이 끝난 방과후 보충수업을 강요받고 있으며, 이 과정에서 학생들의 선택권은 존중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라고 주장했다.

 

실제 협의회측이 지난 3월28일부터 4월12일까지 광주지역 60개 국·공·사립고생 520명을 비롯, 98개 초·중·고 재학생 558명을 대상으로 강제학습에 대한 온·오프라인 설문을 실시한 결과, 고교생의 86.3%가 "야자가 강제적으로 이뤄지고 있다", "불참시 불이익이 있거나 학부모 면담을 요구한다"고 답했다.

 

 '최근 1년새 아침 자율학습에 강제로 참여한 적이 있느냐'는 질문에는 68.4%가 "그렇다"고 답했다.

 

또 58.3%는 점심 자율학습에, 57.0%는 주말·휴일 자율학습에 "강제적으로 참여하고 있다"고 답했다. 점심 야자는 주로 영어듣기, 주말과 휴일 야자는 심화반 중심으로 이뤄지는 것으로 파악됐다.

 

오후 보충수업의 경우도 "(사실상) 강제적이다"고 답한 학생이 83.8%에 달했으며 일부 학생들은 "동의서를 돌리긴 하지만 강제나 다름 없다", "불참시 교장·교감 결재를 맡아야 하고, 1학년은 전원 강제로 참여한다"고 답했다.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과 참교육학부모회 광주지부 등으로 구성된 '(가칭) 강제 야자 금지 대책위원회'는 강제 야자 실태가 심각하다고 판단, 이날 국가인권위원회에 인권침해 집단 진정서를 낸 데 이어 6월 중으로 UN한국위원회에 아동권리협약 위반으로 제소할 방침이다.

 

또 6일에는 광주시교육청에 학생인권 영향평가를 제안했고, 5·18 광주민주화운동 추모기간 중에 열리는 5·18 레드페스타 행사 중에 '강제 야자 고발대회'를 가질 예정이다.

 

이에 대해 시교육청 관계자는 "강제 야자는 원칙적으로 금지돼 있으며 학생들의 자율적 판단에 따르도록 돼 있다"며 "시민단체에서 제기한 문제들을 꼼꼼히 살펴보고 어떤 문제점이 있는지 구체적으로 파악해 보겠다"고 밝혔다.

 

이어 "올해부터 1교 1전문직을 지정해 담당 학교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교육활동의 문제점과 애로사항을 파악 중"이라며 "강제 야자 여부에 대한 실태도 좀더 면밀히 파악해 보도록 하겠다"고 설명했다.

 

goodchang@newsis.com

 

뉴시스 http://www.newsis.com/ar_detail/view.html?ar_id=NISX20150507_0013647228&cID=10809&pID=10800

,

(광주=연합뉴스) 형민우 기자 = 광주지역 시민단체들이 "정규수업 외의 강제학습이 심각하다"며 즉각 중단할 것을 촉구하고 나섰다.

 

광주어린이청소년친화도시협의회와 광주인권회의 등 시민단체들은 7일 오전 광주시교육청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강제학습 문제가 빈번하게 제기되고 있음에도 지도감독기관이 제재 조치를 하지 못하고 있다"며 "확인된 피해사례는 행정처분을 내리고 정규수업 외 교육활동을 우선적으로 중단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시민단체가 광주지역 초·중·고교생 558명을 대상으로 강제학습 실태를 조사한 결과, 오후 보충수업에 참여하는 학생 가운데 83.8%가 강제로 참여한다고 응답했다.
          

야간 자율학습도 86.3%가 강제적이라고 답했으며 아침 자율학습 역시 68.4%가 강제적이라고 답했다.

 

이에 광주시교육청 관계자는 "문제가 제기된 만큼 직접 학교 현장을 찾아 지도 감독을 하겠다"고 밝혔다.

 

minu21@yna.co.kr


연합뉴스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5/05/07/0200000000AKR20150507101400054.HTML?input=1179m

,

광주지역 교육시민단체가 강제성을 띤 야간자율학습의 중단과 실효성 있는 단속을 촉구했다.

 

광주어린이청소년친화도시협의회(이하 협의회)는 7일 광주시교육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야간자율학습에 참여한 학생 대부분이 보충수업이나 자율학습에 강제로 참여한다는 반응을 보인 만큼 강력한 단속을 해야 한다”고 밝혔다.

협의회는 또 “강제 야간자율학습은 최소한의 수면권과 건강권, 여가권을 침해하는 것으로, 인권 침해이자 유엔아동권리협약 위반”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보충수업 참여 학생 대부분도 학교·교사·친권자에 의해 학교 수업이 끝난 이후 방과후 보충수업을 강요받고 있으며, 학생들의 선택권은 존중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라고 주장했다.

 

협의회는 지난 3월28일~4월12일 광주지역 초·중·고 98곳의 재학생 558명을 대상으로 강제학습에 대한 온·오프라인 설문조사를 벌였다. 조사 결과, 고교생의 86.3%가 “야간자율학습이 강제적으로 이뤄지고 있다”, “불참시 불이익이 있거나 학부모 면담을 요구한다”는 반응을 나타냈다. ‘최근 1년새 아침 자율학습에 강제로 참여한 적이 있느냐’는 질문에는 응답자의 68.4%가 “그렇다”고 응답했다.

 

또 58.3%는 점심 자율학습에, 57.0%는 주말·휴일 자율학습에 “강제적으로 참여하고 있다”고 대답했다. 점심 자율학습은 주로 영어듣기, 주말과 휴일 자율학습은 심화반 중심으로 이뤄지는 것으로 파악됐다.

 

83.8%는 오후 보충수업도 “(사실상) 강제적이다”라고 했고, 일부 학생들은 “동의서를 돌리긴 하지만 강제나 다름없다”, “불참시 교장·교감 결재를 맡아야 하고, 1학년은 전원 강제로 참여한다”고 불만을 표출했다.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과 참교육학부모회 광주지부 등으로 짜여진 ‘강제 야간자율학습 금지 대책위원회’는 이날 국가인권위원회에 인권침해 집단 진정서를 낸 데 이어 6월 안에 유엔한국위원회에 아동권리협약 위반으로 제소할 방침이다.

 

앞서 지난 6일에는 광주시교육청에 학생인권 영향평가를 제안했고, 5·18 광주민주화운동 추모 기간에 열리는 5·18 레드페스타 중에 ‘강제 야자 고발대회‘를 열기로 했다.

 

안관옥 기자 okahn@hani.co.kr

 

한겨레 http://www.hani.co.kr/arti/society/area/690184.html

,

광주 고교생 86% '강요' 응답

 

광주 지역 대부분의 학교들이 여전히 강제로 야간자율학습을 강요한다고 한다. 진보 성향인 장휘국 광주시 교육감의 재선 이후 의욕적으로 추진했던 학생들의 학습 선택권 존중과 학생 개개인의 능력과 특성에 맞는 교육도 빛이 바래는 모양새다.

 

광주어린이청소년친화도시협의회가 지난 3~4월 광주지역 60개 국ㆍ공ㆍ사립고생 520명과 98개 초ㆍ중ㆍ고 재학생 558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고교생의 86.3%가 '야자가 강제적으로 이뤄지고 있다.'거나 '불참 시 불이익이 있거나 학부모 면담을 요구한다.'고 응답했다. 점심 자율학습과 주말ㆍ휴일 자율학습에 강제적으로 참여한다는 대답도 57%에 달했다.

 

학교 측 입장에서는 학생들의 실력 향상을 위해 강제적인 자율학습이 불가피하다는 판단을 하고 있을 것이다. 다른 학교와 경쟁해야 하는 현실적인 어려움이나 자율학습을 강제해야 한다는 일부 학부모의 요구도 있을 터다. 하지만 강제로 밀어붙이는 학업은 학생들의 학습 선택권을 빼앗는 반교육적 처사일 뿐 아니라 학습 능률도 오르지 않는다. 한창 자라나야 할 학생들의 건강에도 악영향을 미친다.

 

아이들은 기계가 아닌 이상 휴식을 통한 재충전의 기회가 반드시 필요하다. 광주시교육청이 조기 등교를 막고 토ㆍ일요일 보충학습이나 자율학습을 하지 못하도록 정규수업 운영 지침을 만든 것도 이 때문이다. 시교육청은 지금이라도 정규수업 이외의 교육 활동을 철저히 점검하고 강제 학습에 대한 대안을 마련해야 한다. 주말이나 휴일까지 학생들을 공부에 내몰고 입시 위주의 파행적인 문제풀이에 앞장서는 것을 교육의 본질로 착각해서는 안 된다.

전남일보 http://www.jnilbo.com/read.php3?aid=1431270000468765013

,

광주 교육시민단체 “강제 야자 중단” 촉구

 

광주지역 고등학생 10명 중 8명 이상이 야간자율학습이 강제적으로 이뤄지고 있다고 응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광주 교육시민단체는 이 같은 결과를 토대로 강제성을 띤 야간자율학습 중단과 실효성 있는 단속을 촉구하고 나섰다.

광주어린이청소년친화도시협의회는 7일 광주시교육청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광주지역 60개 국·공·사립고생 520명을 비롯한 98개 초·중·고 재학생 558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강제학습에 대한 온·오프라인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설문 결과를 보면 고교생의 86.3%가 “야간자율학습이 강제적으로 이뤄지고 있다”, “불참시 불이익이 있거나 학부모 면담을 요구한다”고 답했다.

 

올해부터 광주시교육청이 오전 9시 등교 정책을 시행 중인 가운데 ‘최근 1년새 아침 자율학습에 강제로 참여한 적이 있느냐’는 질문에는 68.4%가 “그렇다”고 답했다.

 

점심 자율학습은 조사 대상 학교의 73.6%가 시행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시행하는 학교 학생들 중 58.3%는 강제적으로 참여하고 있다고 응답했다.

 

주말·휴일 자율학습도 참여 학생의 57.0%는 “강제적으로 참여하고 있다”고 답했다. 점심 자율학습은 주로 영어듣기, 주말과 휴일 야자는 심화반 중심으로 이뤄지는 것으로 파악됐다.

 

광주어린이청소년친화도시협의회는 이 같은 결과를 토대로 “야자 참여 학생 10명 중 8∼9명이 야자를 강요받으며 보충수업이나 자율학습에 강제로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된 만큼 강력한 단속이 요구된다”고 밝혔다.

 

또 “강제 야자는 학생들 입장에서 보면 최소한의 수면권과 건강권, 여가권을 침해하는 것으로, 인권 침해이자 UN아동권리협약 위반”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보충수업 참여학생 10명 중 8∼9명도 학교, 교사, 친권자에 의해 학교수업이 끝난 방과후 보충수업을 강요받고 있으며, 이 과정에서 학생들의 선택권은 존중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라고 주장했다.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과 참교육학부모회 광주지부 등으로 구성한 ‘강제 야간자율학습 금지 대책위원회’는 이날 국가인권위원회에 인권침해 집단 진정서를 낸 데 이어 다음 달 중으로 UN한국위원회에 아동권리협약 위반으로 제소할 방침이다.

 

앞서 6일에는 광주시교육청에 학생인권 영향평가를 제안했고 5·18 광주민주화운동 추모기간 중에 열리는 5·18 레드페스타 행사 중에 ‘강제 야자 고발대회’를 개최할 예정이다.

 

광주인 http://www.gwangjuin.com/news/articleView.html?idxno=86723

,

-광주어린이청소년친화도시협의회 실태조사 결과
-“야자 땐 `아파도 참아라’, `학적부 기록하겠다’”


광주지역 고교생 84%가 자율학습이라는 미명하에 강제 학습을 당하고 있다는 실태조사 결과가 발표됐다.

 

광주어린이청소년친화도시협의회(이하 협의회)는 7일 광주시교육청 로비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광주지역 60개교 520명의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강제학습 실태를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83.8%(410명)이 강제로 오후 보충학습에 참여하고 있다고 답변했다”며 “이외에도 상당수 학생들이 오후·저녁·휴일 등을 송두리째 빼앗긴 채 학교에 남아 강제적으로 학습을 강요받고 있다”고 주장했다.

 

협의회는 지난 3월28일부터 4월12일까지 2주간 서면과 온라인을 통해 총 74개교 558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강제학습 실태조사를 벌였고, 이 중 주요대상이라고 할 수 있는 고등학교는 60개교(총 67개교 중 60개교) 520여 명이 참여했다.

 

조사 결과 오후 5시부터 7시까지 실시하는 보충수업에 참여하고 있는 학생 중 435명(83.8%)은 ‘학생 의사를 무시한 채 보충수업이 이뤄지고 있으며, 참여 여부 역시 부모님의 의사가 반영되야 학습에 빠지는 게 가능하다’고 답변했다. 특히 ‘오후 보충수업에 대해 아예 참여의사를 묻지 않는 경우도 많으며, 정규수업화 시켜서 이를 거부할 수 없도록 만든다’는 의견도 나왔다. 한 학생의 경우 “보충 수업 때 시험에 나올 내용을 수업하거나 정규 시간에 이어 수업을 진행해 학생들이 보충수업을 못빠져 나가도록 돼 있다”고 밝히기도 했다.

 

야간자율학습의 경우엔 응답자 중 86.3%(451명) 학생이 강제로 참여하고 있다고 답했다. 10시까지 하는 야간자율학습을 거부할 시엔 ‘학교생활기록부에 기록하겠다’, ‘불참할 경우 교장·교감의 결재를 받아야 한다’는 등의 방법이 동원된다고 밝혔다.

 

D여자고등학교의 경우, 담임이 ‘야자 안하는 애들은 임시상담 안해주고 야자 하는 시간에 비례해서 상담하겠다’고 말했다는 제보가 접수되기도 했다. 심지어는 몸이 아파 야자를 빼려는 학생에게도 ‘아파도 참아라’, ‘교정하러 병원가는 애들은 교정기 다 빼버려야 돼’라고 말하는 교사가 있었다. 또 점심 식사시간에 자율학습을 시키는 학교도 있어 화장실 용무, 식사, 휴식 등을 제한 받는다는 답변도 있었다.

 

또 최근 광주시교육청이 올해 1학기부터 8시30분 이전 강제등교 금지 정책을 펼치고 있지만 355명(68.4%)이 ‘이보다 더 이른 시간에 등교하고 있으며, 1교시 전부터 정규 수업 시간 외 학습을 강요당하고 있다’고 밝혔다. 특히 아침자율학습의 경우, 일부 학교는 교육청 공문이 오면 자율적으로 참여하고 있다는 식의 답변을 유도하면서 교육청의 지도·감독을 회피하고 있는 실태였다.

 

협의회는 “이처럼 강제 학습 문제가 빈번하게 발생하지만 그 피해 실태가 너무 광범위하고 정확하게 파악하기 어려워 해결이 쉽지 않다”면서 “시교육청은 기존 정규수업 외 교육활동에 강제 참석 금지를 다시 한 번 명확하게 제시하고 확인된 피해사례에 대해 행정처분을 내려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더 이상 강제학습, 과중한 학습시간 문제를 방치하면 안될 것”이라면서 “이번 실태조사 결과를 토대로 협의회는 학생들의 보편적인 인권이 보장받을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협의회는 앞으로 시교육청에 민원 및 시정 요구를 하고, 조치가 이뤄지지 않으면 형사고발까지 검토하고 있으며 국가인권위원회에 인권침해 집단 진정서와 함께 다음달 UN한국위원회에 아동권리협약 위반 제소를 준비중이다. 또 5·18 광주민중항쟁 행사기간에 열리는 5·18 레드페스타 행사에서는 ‘강제 야자 고발대회’를 갖고 강제자율학습을 공론화할 계획이다.

 

이호행 기자 gmd@gjdream.com

광주드림 http://www.gjdream.com/v2/news/view.html?uid=465161

,

인권회의 등 인권단체 실태조사
보충수업ㆍ자율학습 강요 여전
시교육청 실효성 단속 촉구
 
  

광주지역 인권단체들이 강제 야간자율학습 중단과 광주시교육청의 실효성 있는 단속을 촉구하고 나섰다.

 

광주어린이청소년친화도시협의회(협의회)와 광주인권회의 등 인권단체들은 7일 광주시교육청에서 기자회견을 통해 "야간자율학습(이른바 야자) 참여 학생 10명 중 8~9명이 야자를 강요받으며, 보충수업이나 자율학습에 강제로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며 "강력한 단속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협의회 측이 지난 3월28일부터 4월12일까지 광주지역 60개 국ㆍ공ㆍ사립고생 520명을 비롯, 98개 초ㆍ중ㆍ고 재학생 558명을 대상으로 강제학습에 대한 온ㆍ오프라인 설문조사 결과다. 이날 협의회가 내놓은 자료를 보면 고교생의 86.3%가 "야자가 강제적으로 이뤄지고 있다", "불참시 불이익이 있거나 학부모 면담을 요구한다"고 답했다.

 

'최근 1년새 아침 자율학습에 강제로 참여한 적이 있느냐'는 질문에는 68.4%가 "그렇다"고 답했다. 또 58.3%는 점심 자율학습에 57.0%는 주말ㆍ휴일 자율학습에 "강제적으로 참여하고 있다"고 답했다. 점심 야자는 주로 영어듣기, 주말과 휴일 야자는 심화반 중심으로 이뤄지는 것으로 파악됐다.

 

오후 보충수업의 경우도 "(사실상) 강제적이다"고 답한 학생이 83.8%에 달했으며 일부 학생들은 "동의서를 돌리긴 하지만 강제나 다름 없다", "불참시 교장ㆍ교감 결재를 맡아야 하고, 1학년은 전원 강제로 참여한다"고 답했다.

인권단체 등은 "광주시교육청이 정규수업 외 교육활동에 대한 강력한 지침을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요구했다.

 

이들은 또 이번 실태조사 결과를 토대로 국가인권위에 인권침해 진정서를 낸 데 이어, 6월 중으로 UN한국위원회에 아동권리협약 위반으로 제소할 방침이다.

 

홍성장 기자

 

전남일보 http://www.jnilbo.com/read.php3?aid=1431010800468725004

,

광주지역 교육관련 시민단체들이 강제성을 띤 야간자율학습(이른바 '강제 야자) 중단과 실효성있는 단속을 촉구하고 나섰다.

 

광주어린이청소년친화도시협의회(이하 협의회)는 7일 광주시교육청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야자 참여 학생 10명 중 8∼9명이 야자를 강요받으며 보충수업이나 자율학습에 강제로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설문 결과 확인된 만큼 강력한 단속이 요구된다"고 밝혔다.

 

또 "강제 야자는 학생들 입장에서 보면 최소한의 수면권과 건강권, 여가권을 침해하는 것으로, 인권 침해이자 UN아동권리협약 위반"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보충수업 참여학생 10명 중 8∼9명도 학교, 교사, 친권자에 의해 학교수업이 끝난 방과후 보충수업을 강요받고 있으며, 이 과정에서 학생들의 선택권은 존중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라고 주장했다.

 

실제 협의회측이 지난 3월28일부터 4월12일까지 광주지역 60개 국·공·사립고생 520명을 비롯, 98개 초·중·고 재학생 558명을 대상으로 강제학습에 대한 온·오프라인 설문을 실시한 결과, 고교생의 86.3%가 "야자가 강제적으로 이뤄지고 있다", "불참시 불이익이 있거나 학부모 면담을 요구한다"고 답했다.

 

이에 대해 시교육청 관계자는 "강제 야자는 원칙적으로 금지돼 있으며 학생들의 자율적 판단에 따르도록 돼 있다"며 "시민단체에서 제기한 문제들을 꼼꼼히 살펴보고 어떤 문제점이 있는지 구체적으로 파악해 보겠다"고 밝혔다.


이어 "올해부터 1교 1전문직을 지정해 담당 학교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교육활동의 문제점과 애로사항을 파악 중"이라며 "강제 야자 여부에 대한 실태도 좀더 면밀히 파악해 보도록 하겠다"고 설명했다.


김명식 기자 msk@namdonews.com

남도일보 http://www.namdo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384389

,

 

앵커멘트 : 보충수업과 자율학습에 참여하고 있는 광주지역 고등학생 10명 중 8명 이상이 강제로 참여하고 있다는 조사결과가 나왔습니다. 시민단체가 강제 학습의 즉각 중단을 촉구하고 나선 가운데 광주시교육청이 실태파악에 나섰습니다. 김효성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 광주 시민단체들이 광주지역 고등학생 5백 20명을 대상으로 강제학습 실태를 설문조사한 결과 '오후 보충수업’은 참여학생 10명 중 8명 이상이 강제로 참여하고 있다고 답변했습니다. 야간 자율학습은 더 심각해 강제 참여 학생이 86.3%나 됐습니다. 최근 1년간 아침 자율학습에 강제로 참여했는지를 묻는 질문에는 참여 학생 10명 중 6명 이상이 그렇다고 응답했습니다. 주말과 휴일 자율학습은 참여 학생 10명 중 5명 이상이 강제였다고 답했습니다. 시민단체들은 학습 선택권을 침해한 행위라며 즉각적인 중단을 촉구하고 나섰습니다.

 

인터뷰 : 박고형준 /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
"국가인권위 등에 인권침해가 있다고 진정을 내고 강제학습 관련 진정을 유엔한국위원회에 제출할 예정입니다."

 

이에 대해 광주시 교육청은 정확한 실태를 파악한 후 지도감독에 나서겠다고 밝혔습니다.

 

인터뷰 : 정은주 / 광주시 교육청 장학관
"강제 보충수업 등에 대한 지도점검을 강화하기 위해 1교 1전문직 체제를 구축했습니다. 이 체제를 좀 더 실효성 있게 운영하도록 하겠습니다."

 

상당수 고등학교들의 강제 보충학습 등이 여전한 것으로 조사돼 즉각 중단을 촉구하는 시민단체와 일선 학교 간의 갈등이 불가피할 전망입니다. kbc 김효성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