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적통합대상자 5.0%·원거리통학자 10.3%


【광주=뉴시스】맹대환 기자 = 기숙사를 운영중인 광주지역 일반고등학교 중 우선선발 대상인 사회적통합대상자와 원거리통학자의 비율이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학벌없는 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이하 학벌없는사회)이 광주시교육청으로부터 정보공개 청구로 제공받은 자료에 따르면 광주지역 26개 일반고 기숙사의 총 정원대비 사회적통합대상자 비율은 5.0%, 원거리통학자는 10.3%로 집계됐다.


광주시 각급학교 기숙사 설치 및 운영 조례에 따르면 기숙사 운영학교는 입사자 선발 시 사회적통합대상자는 기숙사 정원의 10%, 원거리 통학자는 5%를 우선적으로 선발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두 가지 사항을 준수한 일반고 기숙사 운영학교는 조선대부속고등학교와 동명고 등 2개교 뿐이다.

 

사회적통합대상자를 정원의 10% 이상 선발한 곳은 조선대부속고와 동명고 2개교이며, 원거리 통학자를 5% 이상 선발한 곳은 12개교이다.


동명고는 기숙사 정원의 사회적통합대상자 33.3%, 원거리대상자 62.3%로 우선선발 비율이 가장 높았다. 이유는 도서지역과 원거리지역 학생 중 희망자는 100% 입사가 가능하다는 합리적 선발기준이었다.


사회적통합대상자와 원거리통학자 인원을 제외한 나머지 기숙사 인원은 각 학교의 기숙사 운영규정을 근거해 선발하는데, 대다수 고등학교가 학업성적을 기준으로 입사자를 선발하고 있어 '심화반'이라는 지적을 받고 있다.


학벌없는사회는 "상당수 학교가 소위 명문대에 진학할 수 있는 학생들을 관리하기 위해 기숙사를 운영하는 것이 현실"이라며 "원거리통학자와 사회적통합대상자 등 실제로 기숙사가 필요한 학생들을 위해 공간을 운영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mdhnews@newsis.com


뉴시스 http://www.newsis.com/view/?id=NISX20170717_0000042511&cID=10809&pID=10800

,

광주 교육단체 "현재 기숙사는 심화반이나 마찬가지"


(광주=연합뉴스) 김재선 기자 = 광주지역 일반고 기숙사 입사자 가운데 사회적 통합 대상자와 원거리 통학자의 비율이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학벌없는 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이하 학벌없는 사회)에 따르면 광주시교육청에 정보공개를 청구해 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광주 시내 26개 일반고 기숙사 총 정원 2천698명 가운데 사회적 통합 대상자 인원은 135명으로 전체의 5.0%, 원거리 통학자 인원은 277명으로 전체의 10.3%에 그쳤다.


현재 인원 2천275명과 비교하면 사회적 통합 대상자는 5.9%, 원거리 통학자는 12.2%였다.


광주시 '각급 학교 기숙사 설치 및 운영 조례'에는 '기숙사 운영학교는 입사자 선발 시 사회적 기숙사 정원 가운데 사회적 통합 대상자 10%, 원거리 통학자 5%를 우선 선발하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다.


그러나 광주지역에서 기숙사를 운영하는 26개 일반고 가운데 이 같은 2가지 사항을 준수한 학교는 조선대 부속고등학교와 동명고등학교 2곳뿐이었다.



사회적 통합 대상자와 원거리 통학자 인원을 제외한 나머지 기숙사 인원은 대다수 고등학교가 학업성적을 기준으로 선발하고 있어 현재의 일반고 기숙사는 심화반 또는 우수반이라 불려도 과언이 아니라고 학벌없는 사회는 지적했다.


현재 광주 시내에서 기숙사를 운영하는 고등학교는 모두 34개로 이 중 19개 학교가 학업성적을 반영해 입사자를 선발하는 등 차별하고 있다.


이에 학벌없는 사회는 지난 5월 국가인권위원회에 진정서를 제출해 현재 인권위가 조사를 벌이고 있다.


학벌없는 사회 관계자는 "상당수 기숙사 운영학교가 소위 명문대에 진학할 수 있는 학생들을 관리하고자 기숙사를 운영하는 것이 현실"이라며 "원거리 통학자 등 실제로 기숙사가 필요한 학생들을 위해 공간을 운영해야 하고 그 밖에 공간은 학생 자치활동을 위해 사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kjsun@yna.co.kr


연합뉴스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7/07/17/0200000000AKR20170717038500054.HTML?input=1179m

,

전남인터넷신문 http://jnnews.co.kr/news/view.php?idx=204461

,

광주지역 일부 학교에서 기숙사 입사자들을 대상으로 전용공간에서 야간 자율학습을 해온 사실이 드러났다.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이하 학벌없는 사회)은 보도자료를 내고 광주광역시교육청을 통해 시민모임에 제보된 내용을 확인한 결과 광주 고려고등학교 기숙사 입사자들이 학교 내 전용공간에서 야간 자율학습을 하고 해당 학생 학부모들은 자체적으로 비용을 갹출해 학생들의 간식비로 사용한 것으로 파악됐다고 밝혔다.


이 단체는 "성적 우수자로 구성된 기숙사 입사자가 야간 자율학습 시 전용공간을 사용하는 것은 심화반 형태의 교육활동으로, 정규교육과정 외 교육활동 기본계획을 위반한 것"이라며 "자율학습 전용공간이 합리적인 이유 없이 특정 학생들에게만 차별적으로 제공되거나, 특정학생들과 그 범위에 들어가지 않는 학생들 사이에서 차별적 인식을 조장하는 결과를 초래해서는 안된다"고 주장했다.


학벌없는 사회는 "학생들의 자율적 선택에 의한 정규교육과정 외 교육활동 운영으로 학교교육활동의 정상화가 되길 바란다"며 성적우수자 중심의 교육활동이 이뤄지지 않도록 광주시교육청의 지도감독을 촉구했다.


광주광역시교육청도 일부 성적우수자들에 대한 특혜로 인정될 수 있는 부분이 있다고 판단해 해당 학교 측에 시정을 요구했다.


김종범 기자  kgb29@hanmail.net


BBS뉴스 http://news.bbsi.co.kr/news/articleView.html?idxno=832733

,

학벌없는사회, 광주 K고 시정 요구

시교육청에도 지도ㆍ감독 촉구


학벌없는사회를위한광주시민모임(이하 학벌없는사회)은 13일 광주 K고교가 특정 학생들에게만 야간자율학습 전용공간을 제공하는 것은 차별행위라며 시정을 촉구했다. 학벌없는사회에 따르면 K고는 2~3학년의 경우 야간자율학습 때 기숙사 입사자들이 학교 내 전용공간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 해당 학생의 부모들은 자체적으로 비용을 걷어 간식비로 사용한 것으로 드러났다.


학벌없는사회는 “자율학습 전용공간을 제공하면서 합리적인 이유 없이 특정 학생들에게만 차별적으로 시행하거나 특정 학생들과 그 범위에 들어가지 않는 학생들 사이에 차별적 인식을 조장해서는 안 된다”며 “이 같은 사례가 일부 성적 우수자에 대한 특혜로 인정될 수 있다고 판단해 학교 측에 시정을 요구했다”고 밝혔다. 


이어 “성적 우수자로 구성된 기숙사 입사자가 야간 자율학습 시 전용공간을 사용하는 것은 심화반 형태의 교육활동으로, 2017학년도 정규교육과정 외 교육활동 기본계획을 위반한 것”이라며 광주시교육청의 지도감독을 촉구했다.


학벌없는사회는 “이번 사례는 관행적인 문제로 현재 기숙사를 갖춘 많은 학교가 이러한 형태로 교육활동을 운영하고 있다”며 “학교시설 수용한계를 인정하더라도 입실 인원 제한 기준으로 기숙사 입사생이 아니라 전용공간 운영규정 준수 의지, 교우관계, 가정형편 등 다양한 사항을 고려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안경호 기자 khan@hankookilbo.com


한국일보 http://www.hankookilbo.com/v/b6435634f6a84a7c87dbd30521928497

,

기숙사 입사자만 전용공간에서 야간자율학습을 하는 것은 차별


[박강복 기자]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은 13일, 광주 모 고등학교가 특정 학생들에게만 야간자율학습 전용공간을 제공하는 것은 차별행위라며 시정을 요구했다.

 

학벌없는사회에 따르면, 해당학교는 2·3학년의 경우 기숙사 입사자만 전용공간을 사용하고 있다.


1학년의 경우 기숙사 입사자와 교과위주 자율동아리 학생들을 중심으로 사용을 하고 있었다.


또한, 기숙사 입사자들은 ‘야간자율학습 시 학교 내 전용공간에서 자율학습’을 했고, 해당학생의 학부모들은 ‘자체적으로 비용을 걷어 기숙사 입사자의 간식비를 사용한 것’으로 드러났다.


학벌없는사회는 “자율학습 전용공간을 제공함에 있어 합리적인 이유 없이 특정학생에게만 차별적으로 시행되거나, 특정학생들과 그 범위에 들어가지 않는 학생들 사이에서 차별적 인식을 조장하는 것은 안된다”고 지적했다. 


이어 “성적우수자로 구성된 기숙사 입사자가 야간자율학습 시 전용공간을 사용하는 것은 심화반 형태의 교육활동으로, 교육활동 기본계획을 위반한 것”이라며 “기숙사 입사자가 기숙사 실이나 학교도서관, 학급교실이 아닌 전용공간에서 야간자율학습을 하는 것은 학생들의 자율적인 선택이라 보기 어렵다”고 비판했다. 


또한 “입사자와 비(非)입사자 간의 위화감, 열등감, 소외감을 조성할 우려가 있으며, 향후 학업성적에 따른 각종 차별로 이어질 우려가 있다”고 지적했다. 


한편, 해당학교 기숙사에 입사하기 위해서는 재학생의 경우 1·2학기 합산 성적이 우수해야 하고, 신입생의 경우 진단평가와 내신 성적이 우수해야 한다는 방침이 있다.


박강복 기자  pkb7657@hanmail.net 


KNS뉴스통신 http://www.kns.tv/news/articleView.html?idxno=329376

,

학벌없는사회 "심화반 형태…교육활동 기본계획 위반"


광주지역 한 고등학교가 기숙사에 입사한 학생들에게만 별도의 야간자율학습 전용공간을 제공해 차별이라는 지적을 받고 있다. 


13일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은 "광주 K고 기숙사 입사자들은 야간자율학습 시 전용공간에서 자율학습을 하고 학부모는 자체적으로 비용을 걷어 간식비로 사용하고 있다"고 밝혔다.   


K고는 2·3학년의 경우 기숙사 입사자만 전용공간을 사용하고 1학년은 기숙사 입사자와 교과위주 자율동아리 학생을 중심으로 사용하고 있다. 


학벌없는사회는 "자율학습 전용공간을 제공함에 있어 합리적인 이유 없이 특정학생에게만 차별적으로 시행하거나, 특정 학생들과 그 범위에 들어가지 않는 학생들 사이에 차별적 인식을 조장해서는 안된다"고 지적했다. 


이어 "K고 사례 외에도 기숙사를 갖춘 많은 학교가 이같은 형태로 교육활동을 운영한다"며 "이는 입사자와 비입사자 간의 위화감, 열등감, 소외감을 조성하고 향후 학업성적에 따른 각종 차별로 이어질 우려가 있다"고 비판했다.


또 "성적우수자로 구성된 기숙사 입사자가 야간자율학습 시 전용공간을 사용하는 것은 심화반 형태의 교육활동으로 정규교육과정외 교육활동 기본계획을 위반한 것"이라며 광주시교육청의 지도·감독을 촉구했다. 


광주시교육청도 이 학교의 사례가 일부 성적우수자들에 대한 특혜로 인정될 수 있다며 학교 측에 시정을 요구했다.


뉴스1 http://news1.kr/articles/?3047652

,

플러스코리아 타임즈 http://www.pluskorea.net/sub_read.html?uid=91889

,

광주인 http://www.gwangjuin.com/news/articleView.html?idxno=95953

,

일부 학교에서 특정 학생에게만 자율학습 전용공간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해 차별 논란을 빚고 있다. 


학벌없는 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이하 학벌없는사회)은 13일 보도자료를 내고 광주 모 고등학교가 특정 학생들에게만 야간자율학습 전용공간을 제공하는 것은 차별행위라며 시정을 요구하고 나섰다. 


학벌없는사회에 따르면 해당 학교는 2~3학년의 경우 야간자율학습 시 기숙사 입사자들이 학교 내 전용공간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1학년의 경우엔 기숙사 입사자와 교과위주 자율동아리 학생들을 중심으로 사용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 학벌없는사회는 “자율학습 전용공간을 제공함에 있어 합리적인 이유 없이 특정 학생에게만 차별적으로 시행하거나, 특정 학생들과 그 범위에 들어가지 않는 학생들 사이에 차별적 인식을 조장해서는 안 된다”고 지적했다. 


이어 학벌없는사회는 “성적 우수자로 구성된 기숙사 입사자가 야간자율학습시 전용공간을 사용하는 것은 심화반 형태의 교육활동으로 교육활동 기본계획을 위반한 것”이라며 “기숙사 입사자가 기숙사 실이나 학교도서관, 학급교실 아닌 전용공간에서 야간자율학습을 하는 것은 학생들의 자율적인 선택이라 보기 어렵다”고 비판했다.


“입사자와 비(非)입사자 간의 위화감, 열등감, 소외감을 조성할 우려가 있으며, 향후 학업성적에 따른 각종 차별로 이어질 우려가 있다”는 것. 


실제로 해당 학교 기숙사에 입사하기 위해서는 재학생의 경우 1·2학기 합산 성적이 우수해야 하고, 신입생의 경우 진단평가와 내신 성적이 우수해야 한다는 방침이 있다.


이에 학벌없는사회는 성적우수자 중심의 교육활동이 이뤄지지 않도록 광주시교육청의 지도감독을 촉구했다. 


또한, 자율학습 뿐 아니라, 진로 체험 활동, 봉사 활동, 자율 동아리 활동 등 학생자치·사회 활동이 활성화 될 수 있도록 노력해줄 것을 요구했다. 


김우리 기자 uri@gjdream.com


광주드림 http://www.gjdream.com/v2/news/view.html?uid=48125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