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지역 공직사회의 주류를 전남대 출신들이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민단체는 일종의 연고주의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차별없는 이력서나 블라인드 제도 등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22일 '학벌없는 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이 내놓은 공공기관 고위공직자 출신대학 현황에 따르면 광주시와 부설기관 소속 4급(서기관) 이상 고위 공무원 24명 중 전남대 출신이 12명으로 50%를 차지했다.


다음으로 호남대 3명(12.5%), 조선대 2명(8.3%), 성균관대 2명(8.3%), 서울대ㆍ경희대ㆍ한양대ㆍ방송통신대ㆍ해외대학 각 1명(4.2%)씩 등이다.


5개 구청은 32명 중 고졸자가 8명(25%)으로 가장 많고, 대학 중에서는 호남대(7명), 전남대(6명), 조선대(5명), 광주대(2명) 등의 순이다.


광주시교육청은 전체 30명 중 전남대 출신이 8명으로 26.7%를 차지했고, 방송통신대(6명), 광주대(5명), 조선대(4명), 유학(2명), 고려대ㆍ목포대ㆍ고졸(각 1명)이 뒤를 이었다. 5개 구청과 교육청을 합하면 14명으로 4명 중 1명은 전남대 출신이 차지했다.


시민모임 관계자는 "전남대가 '학벌 문중'이라고 쉽게 규정할 순 없지만 광주 공무사회의 주류를 형성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며 "한국사회의 고질적 병폐인 학벌, 학연 등 연고주의에서 비롯된 것으로 넓게 해석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어 "고질적인 학벌주의나 입시 경쟁 교육을 해결하기 위해서라도 차별없는 이력서, 블라인드 제도 등의 정책을 권장하고 만들어 나가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홍성장 기자 sjhong@jnilbo.com

,

안녕하세요.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입니다.

 

문자로 안내는 드렸지만...

자사고 문제 등 갖가지 사안들로 인해, 사무실 이전소식을 이제사 이메일로 전합니다.

바쁘시겠지만 사무실 구경오시고, 차 한잔 혹은 술 한잔 혹은 간단한 요기하고 가세요.

참. 저녁시간엔 식상한공연과 뻔한음식이 새로운 당신을 기다립니다!


 

학벌없는사회 광주시민모임 사무실 이전파티

2014. 7. 25. 금 PM07:00~
( 항상 열려 있으니 언제든 오세요 AM09:00~)
동구 갈마로 6 (하나치과 2층)
( 문의 070.8234.1319 )

 

 

 

,

7월21일 대학도서관 시민개방 촉구를 위한 일인시위를 광주과학기술원 도서관에서 두번째 진행했습니다. 일인시위를 진행하는데, 30분 째 단 1명만 출입하네요. 이런 텅텅 빈 대학도서관 개방하면 좀 안됩니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