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단체가 광주시 교육청이 운영하는 영재교육이 특정 과목에만 편중돼 입시 과목 위주로 진행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학벌 없는 사회를 위한 시민모임(이하 학벌 없는 사회)은 광주시 교육청이 공고한 '2018 영재교육대상자 선발 계획'을 분석해 내년에 영재교육을 받을 학생 2736명 중 2100명이 수학과 과학 관련 교육을 받는다고 밝혔다.


학벌 없는 사회는 "전체 영재교육을 받는 학생의 76.7%가 수학·과학 과목의 영재교육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며 "나머지 발명과 문학, 정보, 예체능 분야를 모두 합해도 30%에도 미치지 못한다"고 비판했다. 


또 "이런 편중 현상은 교육 당국이 영재교육의 정책 방향을 다양한 분야 영재 배출로 맞춰 놓고도 이를 실천하지 못하고 있다는 의미"라며 "창의 인재 양성이라는 영재교육의 본래 취지를 벗어나 상급학교 진학을 위한 스펙으로 악용될 수 있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학벌 없는 사회 관계자는 "영재교육은 특정 분야에 치중돼서는 교육 당국이 원하는 성과를 낼 수 없다"며 "광주시 교육청은 인문사회와 예술 등 다양한 영역의 영재교육이 진행될 수 있도록 대책 마련에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노컷뉴스 http://www.nocutnews.co.kr/news/4878909#csidxbdbe57a2beecf209146ecc6ce4f2ea8 

,

광주시교육청이 운영·지원하는 영재교육을 받을 초·중·고교생 대다수가 수학·과학에 집중하는 등 영역별 쏠림 현상이 큰 것으로 드러났다.


17일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이 최근 시교육청의 '2018 영재교육대상자 선발 계획'을 분석한 바에 따르면 시교육청의 운영·지원을 통해 내년도 영재교육을 받을 학생은 모두 2736명으로 확인됐다.


영재교육원 1152명, 영재학급 1584명이다.


이들 중 수학·과학 과목의 영재교육을 받을 학생은 2100명으로 전체의 76.8%를 차지했다.


반면 발명 5.1%(140명), 문학 83.3%(90명), 정보 2.6%(72명) 등 다른 분야는 모두 합쳐 30%가 안됐다.


시민모임은 이러한 편중현상의 원인으로 영재교육 정책의 방향을 '다양한 분야 영재 배출'에 맞춰 놓고도 정작 교육당국이 제대로 실천하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또 '창의인재 양성' 취지와 달리 상급학교 진학을 위한 스펙으로 인식하고 활용되었다는 점 등 때문인 것으로 보고있다.


이로 인해 사교육의 의존도가 심화될 수 있으며 입학사정관제 등을 통한 대학 진학에 초점을 맞추는 영재교육 대상자가 점차 많아질 것으로 우려했다.


학벌없는사회는 "시대적·학문적 맥락에 따라 영재교육은 수학·과학과 같은 특정 분야를 넘어서 인문사회와 예술영역, 그리고 사회 및 정서적 영역으로까지 다양하게 확대될 필요가 있다"며 "특정분야만이 아닌 다양한 분야의 영재교육 운영, 새로운 분야의 교재들이 개발돼야 한다"고 말했다.


junwon@


뉴스1 http://news1.kr/articles/?3155831

,

【광주=뉴시스】맹대환 기자 = 광주시교육청이 선발하는 영재교육 대상자 대다수가 수학, 과학에 집중돼 영역별 쏠림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학벌없는 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학벌없는사회)이 최근 광주시교육청에서 공고한 2018년 영재교육대상자 선발 계획을 분석한 결과 모두 2736명(영재교육원 1152명, 영재학급 1584명)을 선발한다.


 선발 대상자 중 수학·과학 과목의 영재교육을 받을 학생은 2100명으로 전체의 76.8%를 차지한 반면 발명과 문학, 정보, 예체능 등 분야는 모두 합쳐 30%가 채 되지 않았다.


 학벌없는사회는 "교육청이 영재교육 정책의 방향을 '다양한 분야 영재 배출'에 맞춰 놓고도 정작 제대로 실천하지 못하고 있다"며 "창의인재 양성 취지와 달리 상급학교 진학을 위한 스펙으로 인식하고 활용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시대적·학문적 맥락에 따라 영재교육은 수학·과학과 같은 특정 분야를 넘어서 인문사회와 예술영역, 그리고 사회 및 정서적 영역으로까지 다양하게 확대할 필요가 있다"며 "특정 분야만이 아닌 다양한 분야의 영재교육을 운영하고 새로운 분야의 교재를 개발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mdhnews@newsis.com


뉴시스 http://www.newsis.com/view/?id=NISX20171117_0000151079&cID=10809&pID=10800

,

(광주=연합뉴스) 전승현 기자 = 광주 초·중·고등학교 영재교육이 수학·과학에 집중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학벌 없는 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이 광주시교육청의 '2018 영재교육대상자 선발 계획'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내년에 영재교육을 받을 관내 초·중·고교생은 모두 2천736명 (영재교육원 1천152명·영재학급 1천584명)이다.

 

이들 중 수학·과학 과목 영재교육을 받을 학생은 2천100명으로 전체의 76.8%를 차지했다.


나머지는 발명, 문학, 정보, 예체능 등을 선택했다.


영재교육 수학·과학 편중 원인은 영재교육 정책 방향을 다양한 분야 영재 배출에 맞춰 놓고도 정작 교육 당국이 이를 제대로 실천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라는 지적이다.


학벌 없는 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은 "영재교육이 창의인재 양성 취지와 달리 상급학교 진학을 위한 스펙으로 인식·활용되고 있다"고 밝혔다.


shchon@yna.co.kr


연합뉴스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7/11/17/0200000000AKR20171117036300054.HTML?input=1195m

,

학벌없는 사회 광주시민모임


전남대 법학전문대학원(로스쿨) 학생 중 고소득층과 수도권 대학 출신자의 비율이 높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학벌없는 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학벌없는사회)은 15일 한국장학재단으로부터 제출받은 전남대 로스쿨 취약계층 장학금 소득구간 현황 자료를 분석한 결과 재학생 중 61%(2017학년 2학기 기준)가 고소득층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고소득층은 2017년 기준 월 소득 804만원 이상인 소득분위 8~10분위에 속하는 가구이다.2017학년도 전남대 로스쿨 입학생 중 20.5%가 호남권 대학 출신이고, 70.1%는 수도권 대학 졸업자로 나타났다. 학벌없는사회는 "다양한 계층이 로스쿨에 입학할 수 있도록 선발 기준을 개편해야 한다"며 "장학금 지급 비율을 늘리는 등 로스쿨 등록금 부담을 줄이기 위한 해결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노병하 기자


전남일보 http://www.jnilbo.com/read.php3?aid=1510758000536150004

,

각각 61%·70% 차지···저소득층 22%·호남권 20.5% 뿐


전남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이하 전남대 법전원) 학생 중 고소득층·수도권 대학 출신자의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15일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이 한국장학재단으로부터 제출받은 ‘전남대 법전원 취약계층 장학금 소득구간 현황’ 자료에 따르면 올해 2학기 기준 전남대 법전원 재학생 385명 중 61%(8~10분위 58명, 장학금 미신청자 177명)가 고소득층에 속한 것으로 조사됐다.


고소득층은 2017년 기준 월 소득 804만원 이상인 소득분위 8~10분위에 속하는 사람으로, 법전원 재학생의 소득분위 구분은 법전원 취약계층 장학금 신청내용으로 판단했다.


법전원 재학생 중 저소득층은 22.1%(85명), 중산층은 16.9%(65명)로 고소득층에 비해 상대적으로 비율이 낮았다.


교육부가 국회에 공개한 ‘법전원 재학생 장학금 지급 현황’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부터 교육부가 법전원 취약계층 장학금 지급 사업을 실시했지만, 올해 전남대 법전원 장학금 지급률이 26.9%로 지난해보다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전남대 법전원의 장학금 지급률은 ‘법학전문대학원 설치·운영에 관한 규정’에서 정한 등록금 총액 대비 장학금 지급률 30% 기준에 미치지 못한 것으로, 올해 전체 법전원 중 64% 법전원(국립대 5개교, 사립대 11개교)이 이같은 규정에 미달했다.


또 법전원 입학생 중 70%가 수도권 대학 출신으로 조사됐다.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이 전남대로부터 제출받은 ‘2017학년도 전남대 법전원 입학생 출신대학 및 학부 현황’ 자료를 분석한 결과, 전체 입학생 127명 중 69.3%인 88명 서울지역 대학 출신이며, 경기지역 0.8%(1명) 등 수도권 출신이 70.1%를 차지했다. 


반면 가 호남권 대학 출신은 20.5%인 26명으로, ‘지방대학 및 지역균형인재 육성에 관한 법률’에서 정한 총 입학인원 대비 호남권 대학 졸업자 20% 기준에 겨우 턱걸이 수준에 그쳤다.


이처럼 특정 계층과 특정 학교 출신이 거의 독점하는 경향이 나타나면서 법조계로 향하는 계층 사다리를 바로 세우기 위해 도입된 법학전문대학원의 도입취지를 살리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광주시민모임 관계자는 “전남대학교은 다양한 계층이 법학전문대학원에 입학할 수 있도록 선발기준을 개편해야 한다”며 “교육부도 장학금 지급 비율을 늘리는 등 고액의 법전원 등록금 부담을 줄이기 위한 근본적인 해결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광남일보 http://www.gwangnam.co.kr/read.php3?aid=1510742551271405091#07RH

,

전남대 로스쿨, 61% 고소득층...수도권 대학 출신 70.1%


[KNS뉴스통신=박강복 기자] 전남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로스쿨) 학생 중 고소득층·서울 소재 대학출신자의 비율이 지나치게 높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이 15일 한국장학재단으로부터 제출받은 ‘전남대 로스쿨 취약계층 장학금 소득구간 현황’ 자료를 분석한 결과, 재학생 중 61%(2017학년도 2학기 기준)가 고소득층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고소득층은 2017년 기준 월 소득 804만 원 이상인 소득분위 8~10분위에 속하는 가구이다.


2017학년도 전남대 로스쿨 장학금 지급률은 26.9%로 ‘법학전문대학원 설치‧운영에 관한 규정’에서 정한 등록금 총액 대비 장학금 지급률 30% 기준에 미치지 못했다.


전남대 로스쿨의 호남권 대학 비율은 ‘지방대학 및 지역균형인재 육성에 관한 법률’에서 정한 총 입학인원 대비 호남권 대학 졸업자 20% 기준에 턱걸이 수준으로 상회했으나, 수도권 대학 졸업자 70.1%에 비해 현저히 낮았다.


학벌없는사회는 “다양한 계층이 로스쿨에 입학할 수 있도록 선발기준을 개편해야 한다”며 “장학금 지급 비율을 늘리는 등 고액의 로스쿨 등록금 부담을 줄이기 위한 근본적인 해결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교육부에 촉구했다.


박강복 기자  pkb7657@hanmail.net


KNS뉴스통신 http://www.kns.tv/news/articleView.html?idxno=375450

,

【광주=뉴시스】맹대환 기자 = 전남대 법학전문대학원(로스쿨) 학생 중 고소득층과 수도권 대학 출신자의 비율이 높아 개선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학벌없는 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학벌없는사회)은 15일 한국장학재단으로부터 제출받은 전남대 로스쿨 취약계층 장학금 소득구간 현황 자료를 분석한 결과 재학생 중 61%(2017학년 2학기 기준)가 고소득층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고소득층은 2017년 기준 월 소득 804만원 이상인 소득분위 8~10분위에 속하는 가구이다.


 2017학년도 전남대 로스쿨 장학금 지급률은 26.9%로, 법학전문대학원 설치·운영에 관한 규정이 정한 등록금 총액 대비 장학금 지급률 30% 기준에 미치지 못했다.


 2017학년도 전남대 로스쿨 입학생 중 20.5%가 호남권 대학 출신이고, 70.1%는 수도권 대학 졸업자로 나타났다.


 학벌없는사회는 "다양한 계층이 로스쿨에 입학할 수 있도록 선발 기준을 개편해야 한다"며 "장학금 지급 비율을 늘리는 등 고액의 로스쿨 등록금 부담을 줄이기 위한 근본적인 해결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mdhnews@newsis.com


뉴시스 http://www.newsis.com/view/?id=NISX20171115_0000148866&cID=10809&pID=10800

,

시민단체가 전남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재학생 중 고소득층과 수도권 소재 대학 출신들이 차지하는 비율이 지나치게 높다고 지적했다.


학벌 없는 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이하 학벌 없는 사회)은 한국장학재단으로부터 받은 '전남대 법학전문대학원 취약계층 장학금 소득구간 현황' 자료를 토대로 전남대 법학전문대학원 학생의 61%가 고소득층에 속한다고 주장했다.


고소득층은 2017년 기준 월 소득 804만 원 이상을 버는 가정으로 소득분위 8~10 분위에 속하는 계층이다. 


또한 학벌 없는 사회는 전남대학교로부터 받은 '2017학년도 전남대 로스쿨 입학생 출신 대학 및 학부 현황' 자료를 분석해 수도권 대학 졸업자가 70.1%를 차지한다고 밝혔다. 


이어 "전남대 로스쿨은 지방대학 및 지역균형 인재 육성에 관한 법률에서 규정한 호남권 대학 졸업자 20% 기준을 넘었지만 수도권 출신 대학 졸업자 숫자와는 큰 차이를 보인다"고 말했다. 


또 "법조계로 향하는 계층 사다리를 바로 세우자는 취지로 도입된 로스쿨이 도입 취지를 살리지 못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학벌 없는 사회 관계자는 "전남대에 다양한 계층이 로스쿨에 입학할 수 있도록 선발 기준을 개편하라고 요구했다"며 "교육부에는 로스쿨 등록금 부담을 줄이는 근본적인 해결책 마련을 촉구했다"고 말했다.


한편 학벌 없는 사회는 전남대 로스쿨 재학생의 소득분위 구분은 취약계층 장학금 신청내용을 토대로 판단했으며 장학금 미신청자는 등록금 부담이 없는 것으로 보고 고소득층으로 분류했다.


노컷뉴스 http://www.nocutnews.co.kr/news/4877461#csidx07d885208373856804a3fbf3c914002 

,

학벌없는사회, 장학금·출신대학 분석 결과


전남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학생 중 고소득층·서울 소재 대학출신자의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15일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이 한국장학재단으로부터 받은 '전남대 법전원 취약계층 장학금 소득구간 현황' 자료를 분석한 결과 올해 2학기 기준 재학생 중 61.1%가 고소득층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민모임은 고소득층은 2017년 기준 월 소득 804만원 이상인 소득분위 8~10분위에 속하는 자를 고소득층으로 분류했다. 


또 법전원 재학생의 소득분위 구분은 법전원 취약계층 장학금 신청내용으로 판단하면서 장학금 미신청자는 등록금 부담이 없는 것으로 판단해 고소득층으로 분류했다.


그 결과 올해 2학기 저소득층 학생은 85명으로 22.1%, 중산층은 65명으로 16.9%, 고소득층과 미신청자는 각각 58명(15.1%)과 177명(46%)으로 나타났다.


시민모임은 교육부가 국회에 공개한 '법전원 재학생 장학금 지급 현황'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16년부터 교육부가 법전원 취약계층 장학금 지급사업을 실시했지만, 2017학년도 전남대 법전원 장학금 지급률이 26.9%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이는 전남대 법전원의 장학금 지급률은 '법학전문대학원 설치‧운영에 관한 규정'에서 정한 등록금 총액 대비 장학금 지급률 30% 기준에 미치지 못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와함께 시민모임은 전남대로부터 받은 '2017학년도 전남대 법전원 입학생 출신대학 및 학부 현황' 자료를 분석한 결과 입학생 중 20.5%가 호남권 대학 출신, 42.5%(54명)가 법학 관련 전공인 것으로 나타났다.


전남대 법전원의 호남권 대학 비율은 '지방대학 및 지역균형인재 육성에 관한 법률'에서 정한 총 입학인원 대비 호남권 대학 졸업자 20% 기준에 넘었으나 수도권 대학 졸업자 70.1%에 비해 현저히 낮았다고 시민모임은 설명했다.


올해 전남대 법학전문대학원 입학생 출신대학 지역별 현황을 살펴보면 서울이 88명으로 전체의 69.3%를 차지했다.


광주는 25명, 전남은 1명으로 각각 19.7%, 0.8%를 기록했다.


시민모임은 "사법시험 폐지와 동시, 법조계로 향하는 계층 사다리를 바로 세우기 위해 도입한 법학전문대학원이 도입취지와 다르게 학벌과 소득 격차에 따른 계급 구분을 더욱 더 강화시키는 도구로 작용하고 있는 게 현실이다"고 주장했다.


이어 "전남대에게 다양한 계층이 법학전문대학원에 입학할 수 있도록 선발기준을 개편할 것을 요구했다"며 "교육부에 장학금 지급 비율을 늘리는 등 고액의 법전원 등록금 부담을 줄이기 위한 근본적인 해결책을 촉구했다"고 덧붙였다.


junwon@


뉴스1 http://news1.kr/articles/?31533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