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일보 www.jnilbo.com/view/media/view?code=2021032817065394723

 

아동급식 단가 광주 5000원·전남 4500원… '아이들 뭘 먹나?'

지난해 광주 동구가 한 가정집...

www.jnilbo.com

 

,

전남일보 www.jnilbo.com/view/media/view?code=2021032814451058572

 

과밀학급 해결나선 광주 초등학교

광주시교육청 전경...

www.jnilbo.com

 

,

e-대학저널 www.dh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38642

 

국회 문턱 넘은 '한국에너지공과대' 개교...기대·우려 공존 - 대학저널

[대학저널 황혜원 기자] 지난 24일 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 법안(한전공대 특별법)이 국회를 통과함에 따라 내년 개교할 것으로 보이는 한국에너지공대에 대한 기대와 우려가 교차하고 있다. 미래

www.dhnews.co.kr

 

,

뉴시스 newsis.com/view/?id=NISX20210325_0001382611&cID=10201&pID=10200

 

시민 단체 "전남체육회, 순천 모 여고 운동부 체벌 지도자 징계" 촉구

[순천=뉴시스] 류형근 기자 =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시민모임은 25일 "전남체육회가 언어폭력과 체벌을 한 순천의 한 여자고등학교 운동부 지도자에 대한 징계 권고를 무시하고 있다"며 "국가인권

www.newsis.com

 

,

광주드림 www.gjdream.com/news/articleView.html?idxno=606714

 

"학생인권조례 교복규제조항 삭제, 복장 자유 허용해야" - 광주드림

학벌없는 사회를 위한 시민모임이 광주시교육청에 교복 규제 조항을 삭제하는 등 광주학생인권조례를 개정할 것을 촉구했다.또 교복착용 실태에 대해 전수 조사하고, 교복 폐지 또는 자율화에

www.gjdream.com

 

,

노컷뉴스 www.nocutnews.co.kr/news/5520342

 

전남교육청, 갑질 의혹 순천 A고 교감 '중징계' 요청

전남도교육청이 교사를 상대로 갑질한 의혹이 제기된 순천 A고 교감 B씨에 대해 중징계를 요청했다. 학벌없는 사회를 위한 시민모임(이하 시민모임)은 22일 보도자료를 내고 "도교육청이 순천 A

www.nocutnews.co.kr

 

,

뉴시스 newsis.com/view/?id=NISX20210321_0001377662&cID=10201&pID=10200

 

"흡연 이유 학생 폭행·욕설 고교 행정실장 검찰 송치"

[광주=뉴시스] 구용희 기자 = 학벌없는 사회를 위한 시민모임은 21일 "흡연을 이유로 학생들에게 여러 차례 욕설을 하고 폭력을 행사한 광주 모 고교 행정실장 사건이 검찰에 송치됐다"고 밝혔다

www.newsis.com

 

,

www.gjdream.com/news/articleView.html?idxno=606618

 

광주드림 

 

시대착오적 학칙… 교복 규정 유독 엄격한 이유 - 광주드림

“학교는 학칙 등 학교 규정으로 학생 인권의 본질적인 내용을 침해할 수 없다.” 2011년 제정된 광주 학생인권조례 내용이다. “어깨선 길이의 머리는 반드시 묶는다.”, “교복 밑단을 무릎 아

www.gjdream.com

 

,

newsis.com/view/?id=NISX20210318_0001374689&cID=10201&pID=10200

 

뉴시스

 

"좌충우돌 원격수업, 대책은 학급당 정원 줄이기"

[광주=뉴시스] 구용희 기자 = 학벌없는 사회를 위한 시민모임은 18일 "지난해 시행착오를 충분히 겪은 데다가 준비시간에 여유가 있었는데도 학기가 시작하자마자 EBS온라인 클래스와 e학습터 이

www.newsis.com

 

,

디자인 용품업체 B사는 개성 있는 문구와 캐릭터를 활용한 상품을 홈페이지, 인터넷 쇼핑몰 등 온라인과 서점, 대형마트 등 오프라인에서 판매하고 있다. 하지만, ‘10분만 공부하면 아내의 얼굴이 바뀐다.’ 등 일부 상품의 문구는 심각한 차별·인권침해적 요소를 담고 있으며, 해당 상품을 주로 구입하는 청소년들에게 입시에 대한 경쟁의식특정집단에 대한 편견과 혐오의식을 심어주고 있다.

 

해당 상품에 대한 논란은 이번만이 아니다. 2015·2016년 두 차례에 걸쳐,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시민모임은 ‘B사의 차별·인권침해적인 상품 판매를 중단할 것을 요구하는 진정서를 국가인권위원회에 제출한 바 있다. 당시 진정서 제출 이후, 언론 보도와 분노 섞인 네티즌의 SNS 글이 물밀듯이 쏟아지자, B사 대표는 회사 홈페이지를 통해 해당 상품의 판매를 중지하겠다는 내용의 사과문을 게재하였다.

 

이에 국가인권위원회는 학력·성별·외모를 이유로 한 간접적인 방식의 차별표시 및 조장행위에 해당된다고 판단하면서도, B사 대표가 사과문을 홈페이지에 게재하고 해당 상품을 회수 및 판매를 중단한 점을 고려해 별도의 구제조치가 필요하다고 보지 않아 기각 결정을 하였다. 하지만 B사는 언론과 인권위에 눈속임을 하며 문제의 동일한 상품을 지속적으로 홈페이지 등을 통해 판매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B사의 행위는 국가인권위원회의 조사를 기만하고 소비자 등 대중과의 약속을 어긴 것이며, 회사의 사회적 책임을 다하지 않은 행위이다. B사는 인권문제를 스스로 시정하므로 인권존중의 책임을 다해야하지만, 이러한 문제를 자각하지 못한 채 돈벌이에 혈안이 되어 있어, 금일 학벌없는사회는 재차 국가인권위 진정을 통해 별첨과 같은 상품 판매를 중단할 것을 요구하였다.

 

2021. 3. 29.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시민모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