빛고을장학재단 장학금 논란’

저소득층 많은 혜택 기준에도 

고소득층 자녀들도 지급 


광역시의 빛고을장학재단이 장학생 선발 시 소득수준을 반영하는 명확한 기준을 마련하지 않아 일부 고소득층에게 장학금 혜택이 돌아간 것으로 나타났다.


학벌없는 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학벌없는사회)이 30일 광주시와 광주시교육청으로부터 제출받은 ‘2017년 빛고을장학재단 학업장려장학생 선발 현황’을 분석한 결과다.


시민모임에 따르면 빛고을장학재단은 2017년 이전까지 학업성적 결과에 대한 보상적 성격으로 학업성적 우수학생에게 장학금을 지급했다. 또 올해부터는 선발 기준을 생활자금 활용이 가능한 학업 장려금으로 바꿔 저소득층에게 많은 혜택이 가도록 개편했다.


하지만 시민모임 분석 결과 장학생 가운데 일부 고소득층이 포함된 것으로 확인됐다. 각 대학의 학업성적과 한국장학재단 소득수준 등을 적용해 추천한 학업장려 장학생 63명 가운데 고소득층이 9명이었다. 여기에 학업성적과 생활형편 등을 고려해 학교장이 자율적으로 선발·추천한 중·고생 장학생 67명에 대해서는 광주시교육청이 소득수준을 전혀 파악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원인은 장학생 선발 시 명확한 소득수준 기준을 마련하지 않은 데 따른 것이다.


시민모임은 현행처럼 학업장려 장학생을 선발할 경우 학업성적 우수학생 또는 고소득층 학생에게 장학금 혜택이 갈 가능성이 크다고 지적했다.


시민모임 관계자는 “허술한 학업장려 장학생 선발 기준으로 장학금이 절실히 필요한 학생들이 피해를 보고 있다”며 “결국 학비 마련을 위해 공부는 뒤로 미룬 채 아르바이트 전쟁터로 내몰리고 있다”며 개선을 촉구했다.


시민모임 문제 제기에 빛고을장학재단은 “2018년 장학생 선발계획 수립 시 관련 기준을 마련할 예정”이라고 답변했다. 


정유진 기자 jin1@namdonews.com


남도일보 http://www.namdo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454278



,

학벌없는사회, 올해 63명 대학생 중 9명 특혜

"빛고을장학재단 학업장려장학생 운영 취지 벗어나"


광주광역시와 광주광역시교육청이 운영 중인 빛고을장학재단이 운영 취지와 달리 고소득층 부모를 자녀들에게 일부 장학금이 지급된 것으로 드러났다.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은 1일 "빛고을장학재간이 대상 장학생 을 선발하면서 학업성적 비중을 낮추고 소득수준을 반영하는 계획을 마련했으나 명확한 기준 없이 일부 고소득층에게 장학금 혜택이 간 것으로 드러났다"고 밝혔다.


빛고을장학재단은 지난해까지 학업성적 결과에 대한 보상적 성격으로 학업 성적우수생에게 빛고을 장학금을 지급해오다가 올해부터 생활자금 활용이 가능한 학업장려금으로 바꾸면서 저소득층 자녀가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장학생 선발기준을 개편한 바 있다.


그러나 학벌없는사회가 최근 광주광역시와 광주광역시교육청으로부터 제출받은 ‘2017년 빛고을장학재단 학업장려장학생 선발 현황’을 분석한 결과 학업장려장학생 130명 중 대학생 63명은 학업성적 및 한국장학재단 소득수준 등을 적용하여 각 대학(교)에서 선발·추천하였는데, 고소득층 9명이 이들 명단에 포함된 것으로 확인됐다.


또한, 고교생 학업장려 장학생 67명은 학업성적 및 생활형편 등을 감안하여 학교장이 자율적으로 선발·추천하였으나 지도·감독권한이 있는 광주시교육청은 해당 장학생들의 소득수준 파악을 전혀 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난 것.


이에 대해 학벌없는사회는 "해당 장학생 선발 시 명확한 소득수준 기준을 마련하지 않았다"며 "결국 현행 방식처럼 학업장려장학생을 선발할 경우 학업성적우수생 또는 고소득층 학생에게 장학금 혜택이 갈 여지가 높다"고 지적했다.


학벌없는사회는 “허술한 학업장려장학생 선발기준으로 인해 장학금이 절실히 필요한 학생들이 더 피해를 보고 있다"며 "학비 마련을 위해 공부는 뒤로 미룬 채 아르바이트 전쟁터로 내몰리고 있다"고 빛고을장학재단을 비판했다.


이에 대해 빛고을장학재단은 "2017년 장학생 선발결과를 통해 명확한 소득기준 필요성을 확인하였고, 2018년 장학생 선발계획 수립 시 관련 기준을 마련할 예정"이라고 뒤늦게 학벌없는사회에 입장을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광주인 http://www.gwangjuin.com/news/articleView.html?idxno=97740

,

시민모임“성적 기준 안 된 재학생에게도 격려금 지급”비판


백운장학회가 서울대 학생들에게만 별도의 특혜를 주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백운장학회가 서울대 및 상위등급 대학 재학생에게 별도의 장학금 기준을 둬 일부 학생에게만 특혜를 주고 장학금 지급 대상에 해당되지 않는 서울대 재학생에게 별도의 격려금을 지급하거나 일반선발 장학생 신청을 할 수 있도록 기회를 부여하는 특혜를 주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학벌 없는 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은 지난달 25일 성명을 내고 백운장학회의 서울대 사랑이 너무 지나치다고 비판했다. 시민모임은 백운장학회에 대해 “대학 및 대학원 장학생은 총장 추천, 성적과 소득수준 등을 기준으로 지급하는 재단의 장학금 지급 기준을 벗어났다”면서 전라남도 인권옴부즈맨에 차별시정을 요구하는 진정서를 제출했다.


이 같은 주장은“과거 장학금은 성적 우수자에게 당연히 따라 붙는 보상이라 여겼지만 현재는 학생들이 학업에 전념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목적으로 바뀌고 있다”며“경제적 여건에 관계없이 누구나 균등한 고등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학생들의 든든한 지원자가 되겠다”고 강조한 백운장학회 이사장인 정현복 시장의 약속과 배치되는 것으로 (재)백운장학회의 장학금 지급 기준의 공정성이 의심되는 부분이다.


시민모임은 또“서울대 재학생이 평균평점이 B학점 이상인 장학금 대상에 해당되지 않더라도 서울대 재학생에게 격려금을 지급하거나 일반선발 장학생 신청을 할 수 있도록 기회를 부여하는 특혜를 주고 있다”고 비판했다.


시민모임은“이 같은 장학금 지급 기준은 한국사회의 고질적 병폐인 학벌주의와 대학 서열화를 조장하고 지역대학·인재 육성이라는 책무를 백운장학회가 방기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전남도 내 대부분의 기초단체에서 특정 대학을 우대하는 장학금 지급기준을 찾을 수 없고 서울대 재학생만을 특별 대우하는 장학금 지급 기준은 더더욱 없다는 것이 시민모임의 주장이다. 시민모임은 이에 “특정 대학에 대한 특혜성 장학금 지급을 폐지하고 지역의 교육발전과 교육의 공공성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에 대해 광양시는“백운장학회는 이사회 결정에 따른 지역인재 육성의 한 방법”이라며“중학생들의 고교 진학이 순천으로 쏠리는 바람에 광양지역으로 우수한 고등학교 신입생을 유치하기 위해 서울대나 상위등급 대학의 장학금 지원을 별도 운영하고 있다”고 해명했다.


광양시민신문 http://www.gynet.co.kr/news/articleView.html?idxno=37125

,

시민단체 “소득파악 부실

전체 63명중 9명 받아가”


광주시의 빛고을장학재단의 장학금을 일부 고소득층이 받았다는 주장이 나왔다.


학벌없는 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이 지난 30일 “광주시와 광주시교육청으로부터 제출받은 ‘2017년 빛고을장학재단 학업장려장학생 선발 현황’을 분석해보니, 장학생 63명 가운데 고소득층이 9명이었다”고 밝혔다.


빛고을장학재단은 2017년부터 과거 성적 중심의 장학금 수여에서 벗어나 저소득층에게 많은 혜택이 가도록 개편했다. 


하지만 이번 분석 결과 장학생 가운데 일부 고소득층이 포함됐다는 게 이들의 주장이다.


이들에 따르면 각 대학이 학업성적과 한국장학재단 소득수준 등을 적용해 추천한 학업장려 장학생 63명 가운데 고소득층이 9명이었다. 또 학업성적과 생활형편 등을 고려해 학교장이 자율적으로 선발·추천한 중·고생 장학생 67명에 대해서는 광주시교육청이 소득수준을 전혀 파악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학벌없는사회 관계자는 “허술한 학업장려 장학생 선발 기준으로 장학금이 절실히 필요한 학생들이 피해를 보고 있다”고 밝혔다. 


광주일보 http://www.kwangju.co.kr/read.php3?aid=1512054000618709006

,

소득 반영 명확한 기준 없어


광주시의 빛고을장학재단이 장학생 선발 시 소득수준을 반영하는 명확한 기준을 마련하지 않아 일부 고소득층에게 장학금 혜택이 돌아간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학벌없는 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학벌없는사회)이 30일 광주시와 광주시교육청으로부터 제출받은 ‘2017년 빛고을장학재단 학업장려장학생 선발 현황’을 분석한 결과다.


빛고을장학재단은 2017년 이전까지 학업성적 결과에 대한 보상적 성격으로 장학금을 지급했지만 2017년부터 생활자금 활용이 가능한 학업 장려금으로 바꿔 저소득층에게 많은 혜택이 가도록 개편했다.


하지만 이번 분석 결과 장학생 가운데 일부 고소득층이 포함된 것으로 확인됐다. 각 대학이 학업성적과 한국장학재단 소득수준 등을 적용해 추천한 학업장려 장학생 63명 가운데 고소득층이 9명이었다. 또 학업성적과 생활형편 등을 고려해 학교장이 자율적으로 선발·추천한 중·고생 장학생 67명에 대해서는 광주시교육청이 소득수준을 전혀 파악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학벌없는사회 관계자는 “허술한 장학생 선발 기준으로 장학금이 절실히 필요한 학생들이 결국 학비 마련을 위해 공부는 뒤로 미룬 채 아르바이트 전쟁터로 내몰리고 있다”며 개선을 촉구했다.


이러한 문제 제기에 빛고을장학재단은 “2018년 장학생 선발계획 수립 시 관련 기준을 마련할 예정”이라고 답변했다.


박은성 기자 pes@kjdaily.com


광주매일신문 http://www.kjdaily.com/read.php3?aid=1512035841424381005

,


광주시 빛고을장학재단이 일부 고소득층 자녀에게 장학금 혜택을 줘 논란입니다.


학벌없는 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이 분석한 '2017년 빛고을장학재단 학업장려장학생 선발 현황'을 보면, 각 대학이 학업성적과 생활형편 등을 고려해 추천한 장학생 63명 가운데 9명이 고소득층이었고, 학교장이 추천한 중·고생 장학생 67명은 소득수준이 전혀 파악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이는 장학생 선발 시 명확한 소득 수준 기준을 만들지 않았기 때문인데, 빛고을장학재단 측은 내년도 장학생 선발계획을 수립할 때 해당 기준을 마련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광주KBC

,

수학·과학 선택 학생 76% 차지 / 시민모임 “진학 위한 스펙일 뿐”


광주시교육청이 운영·지원하는 영재교육에 수학과 과학 등 특정 과목에 학생들이 몰리면서 또 하나의 입시교육이 되고 있다는 비난을 사고 있다.


‘학벌 없는 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광주시민모임)’은 광주시교육청의 ‘2018영재교육대상자 선발계획’을 분석한 결과 전체 대상자 2736명 중 수학과 과학 과목을 선택한 학생이 2100명으로 76%를 차지했다고 20일 밝혔다.


내년 광주시교육청의 영재교육 대상 학생은 영재교육원 1152명, 영재학급 1584명 등 모두 2736명이다. 반면에 발명 5.1%(140명), 문학 3.3%(90명), 정보 2.6%(72명) 등 다른 분야는 모두 합쳐 30%가 채 되지 않는다.


광주시교육청 산하기관인 영재교육원이 수학과 과학 등 입시 위주의 영재교육을 하고 있다는 비난을 받는 대목이다. 광주시민모임은 이 같은 영재교육의 수학과 과학 과목 편중 원인으로 영재교육 정책방향을 다양한 분야 영재 배출에 맞춰 놓고도 정작 교육당국이 이를 제대로 실천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을 꼽았다.


학생과 학부모가 영재교육이 창의인재 양성이라는 당초 취지와 달리 상급학교 진학을 위한 스펙으로 활용하고 있다는 게 광주시민모임의 분석이다. 영재교육이 오히려 사교육의 의존도를 심화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광주=한현묵 기자 hanshim@segye.com


세계일보 http://www.segye.com/newsView/20171120004250#csidxa54e87baf4d313b9f047af791a346b4 

,
광주의 초·중·고교 영재교육이 수학과 과학 과목에 집중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학벌없는 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이 광주시교육청이 공고한 '2018 영재교육대상자 선발 계획'을 분석한 결과, 내년에 영재교육을 받을 초·중·고등학생 가운데 수학과 과학 과목을 선택한 학생은 전체의 76.8%인 2천 100명에 달했습니다.

나머진 발명이나 문학, 예체능 분야를 선택했는데, 창의인재 양성이라는 영재교육의 정책 방향이 상급학교 진학을 위한 스펙으로 활용되고 있다는 지적입니다.


광주KBC

,

성소수자의 존재를 세상에 알리는 문화 행사

'동성애 STOP' 피켓시위하는 반대세력 '맞불'


‘어디에나 있고, 어디든 잇는다’


인권도시 광주에서 처음으로 동성애 옹호 문화행사 ‘퀴어라이브in광주’가 열렸다.


18일 오후 2시부터 구 전남도청 회화나무공원 앞에서 진행된 ‘퀴어라이브’는 지난 4일 울산을 시작으로 광주, 대전, 춘천 등을 순회하며 성소수자의 존재를 세상에 알리고 있다.


이번 행사에는 광주녹색당, 광주인권지기 활짝, 광주장애인차별철폐연대, 광주혐오문화대응네트워크, 노동당 광주시당, 성소수자차별반대문지개행동, 순천대성소수자모임 팔레트, 전남대성소수자모임 라잇온미, 전북대성소수자모임 열린문, 정의당 광주시당, 퀴어-페미니즘 활동유닛 탈선프로젝트,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소모임 전국퀴어모여라 등 여러 단체와 시민들 100여 명이 참석했다.


이들 단체는 이번 행사를 통해 차별금지법 제정을 위한 서명운동과 동성애 혐오 총기난사 사건을 추모하는 퍼포먼스, 광주시내 행진 등을 진행했다.


이들이 ‘어디에나 있고, 어디든 잇는다 퀴어력 뿜뿜’이란 구호를 외치며 광주시내를 행진할 때는 지나가는 시민들에게 박수와 환호를 받기도 했다.


이에 맞서 동성애 반대세력들은 ‘동성애 STOP’, ‘동성애 합법화 반대’, ‘교과서에 동성애가 에이즈의 원인행동 임을 넣어 교육하라’ 등 피켓과 현수막을 들고 행사 시작 전부터 행사장 주변에서 맞불시위를 벌였다. 경찰의 진압으로 행사 참여자들과 충돌은 없었다.

 

반대세력들이 “동성애 반대!”라는 구호를 외치며 행진하는 곳을 향해 소리쳤지만, 퀴어 행사 참여자들은 그들을 향해 손으로 하트를 그리며 “사랑해요”라는 말로 되받아치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인권지킴이로 참여한 한 관계자는 “반대세력이 행사를 방해할까 걱정도 많이 됐다. 지나가는 시민들이 욕하는 것도 들려서 기분도 나빴지만, 우호적인 시민들도 많이 있다는 것도 알게 됐다”면서 “광주에서도 퀴어 행사가 열린 만큼 인식이 변화되고 있다는 게 눈에 보였고, 앞으로 성소수자 관련 행사가 많이 열렸으면 한다”고 바랐다.


행사장을 지나가던 한 시민은 “반대세력의 강력한 시위에도 놀라고 광주에서 이런 행사가 진행되는 것에도 놀랐다”면서 “동성애는 찬성 반대로 나뉠 문제가 아니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광주지역 정당 중 최초로 구성된 정의당 성소수자위원회는 지난 17일 논평을 통해 “인권도시 광주의 정신을 더욱 넓히고, 성소수자 혐오와 배제의 문화를 바꾸기 위해 노력할 예정”이라 밝힌 바 있다.


시민의소리 http://www.siminsori.com/news/articleView.html?idxno=86236

,

학벌없는 광주시민모임


다양한 분야의 영재 배출을 목표로 광주시교육청이 선발하는 영재교육 대상자 대다수가 수학, 과학에 집중돼 영역별 쏠림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19일 학벌없는 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이 최근 광주시교육청에서 공고한 2018년 영재교육대상자 선발 계획을 분석한 결과 모두 2736명(영재교육원 1152명, 영재학급 1584명)을 선발한다.


선발 대상자 중 수학ㆍ과학 과목의 영재교육을 받을 학생은 2100명으로 전체의 76.8%를 차지한 반면 발명과 문학, 정보, 예체능 등 분야는 모두 합쳐 30%가 채 되지 않았다.


학벌없는사회는 "교육청이 영재교육 정책의 방향을 '다양한 분야 영재 배출'에 맞춰 놓고도 정작 제대로 실천하지 못하고 있다"며 "창의인재 양성 취지와 달리 상급학교 진학을 위한 스펙으로 인식하고 활용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노병하 기자


전남일보 http://www.jnilbo.com/read.php3?aid=15111036005363380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