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교육청이 운영·지원하는 영재교육이 수학과 과학 등 특정 과목에만 집중되는 등 쏠림 현상이 심각해 입시 위주의 영재교육이라는 지적이 나왔다.
19일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이 광주시교육청 '2018 영재교육대상자 선발 계획'을 분석한 자료를 보면 내년 영재교육 대상 학생은 영재교육원 1152명, 영재학급 1584명 등 2736명이다.
이 중 수학·과학 과목의 영재교육을 받을 학생은 2100명으로 전체의 76.8%를 차지한다.
반면, 발명과 문학, 정보, 예체능 등 분야는 모두 합해도 30%가 채 되지 않는다. 광주시교육청 산하기관인 영재교육원도 입시 위주의 영재교육으로 진행한다.
학벌없는 사회는 편중현상의 원인으로 영재교육 정책의 방향을 '다양한 분야 영재 배출'에 맞추고도 정작 교육당국이 제대로 실천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을 꼽았다.
'창의인재 양성'이라는 취지와 달리 상급학교 진학을 위한 스펙으로 인식하고 활용했다는 점도 한 원인으로 지목했다.
학벌없는 사회는 "교사관찰, 생활기록부, 수행평가, 교과성적, 수상실적, 포트폴리오 등 고난도 평가와 경쟁을 통해 영재교육 대상자를 선발하는 상황에서 사교육의 의존도가 점차 심화될 수 있다"며 "입학사정관제 등을 통한 대학 진학에 초점을 맞추는 영재교육 대상자가 점차 많아질 우려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시대적·학문적 맥락에 따라 영재교육은 수학·과학과 같은 특정 분야를 넘어 인문사회와 예술영역, 사회와 정서적 영역으로까지 다양하게 확대될 필요가 있다"며 "특정분야만이 아닌 다양한 분야의 영재교육 운영, 새로운 분야의 교재들이 개발돼야 한다"고 촉구했다.
nofatejb@
뉴스1 http://news1.kr/articles/?3157210
'각종 매체 > 언론보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퀴어라이브in광주, '어디에나 있고, 어디든 잇는다' (0) | 2017.11.20 |
---|---|
"영재교육 수학ㆍ과학 쏠려" (0) | 2017.11.20 |
“광주시교육청 영재교육, 입시 과목 위주” (0) | 2017.11.20 |
광주시교육청 영재교육…수학·과학에 76.8% 쏠림“ (0) | 2017.11.20 |
학벌없는사회' "광주시교육청 영재교육 수학·과학과목에 편중" (0) | 2017.1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