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 재학생에 특혜성 장학금 지급 비판


【광주=뉴시스】맹대환 기자 = 전남 광양시에서 기금을 출연해 운영하는 백운장학회가 서울대 재학생만을 특별 대우하고 있어 차별행위를 조장하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학벌없는 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학벌없는사회)는 백운장학회가 매년 지역 출신 학생들에게 장학금을 지원하면서 서울대 재학생을 특별 대우하고 있어 전남도 인권옴부즈맨에 차별 시정을 요구하는 진정서를 제출했다고 26일 밝혔다.


 백운장학회의 2017년 장학생 선발 계획에 따르면 대학(원)생 장학생은 총장 추천, 성적과 소득수준 등 기준으로 지급하는데, 서울대와 상위등급 대학 재학생만 별도의 장학금 기준을 두어 지급하고 있다.


 특히 백운장학회는 서울대 재학생이 서울대 진학 장학금 대상(평균 평점 B학점 이상)에 해당하지 않더라도 격려금을 지급하거나 일반선발 장학생 신청을 할 수 있도록 기회를 부여하는 특혜도 주고 있다.


 학벌없는사회는 "이 같은 장학금 지급 기준은 한국사회의 고질적 병폐인 학벌주의와 대학 서열화를 조장하고 지역대학·인재 육성이라는 책무를 백운장학회가 방기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학벌없는사회는 "전남도 내 대부분의 기초단체에서 특정 대학을 우대하는 장학금 지급기준을 찾을 수 없었다"며 "서울대 재학생만을 특별 대우하는 장학금 지급 기준은 더더욱 없었다"고 밝혔다.


 학벌없는사회는 "특정 대학에 대한 특혜성 장학금 지급을 폐지하고 지역의 교육발전과 교육의 공공성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에 대해 광양시 관계자는 "그동안에는 중학생들의 고교 진학이 순천으로 쏠리는 현상이 있어 광양지역으로 우수한 고등학교 신입생을 유치하기 위해 서울대나 상위등급 대학의 장학금 지원을 별도 운영하고 있다"며 "백운장학회 이사회의 결정에 따른 지역인재 육성의 한 방법이다"고 밝혔다.


 mdhnews@newsis.com


뉴시스 http://www.newsis.com/view/?id=NISX20171126_0000158817&cID=10809&pID=10800

,

(광양=연합뉴스) 형민우 기자 = '학벌없는 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이하 시민모임)은 26일 전남 광양시가 기금을 출연해 운영하는 백운장학회가 서울대생을 특별 대우해 전남도 인권옴부즈맨에 차별시정을 요구하는 진정서를 제출했다고 밝혔다.


시민모임은 보도자료를 내고 "백운장학회 장학생 선발 계획에 따르면 대학(원)생 장학금은 총장 추천, 성적, 소득수준에 따라 지급하고 있는데, 서울대 재학생만 별도 기준을 두고 지급하고 있어 특혜를 주고 있다"고 주장했다.

 

모임은 이어 "이는 학벌주의와 대학 서열화를 조장하는 데다, 지역대학 인재 육성이라는 당연히 가져야 할 책무를 방기한 것"이라고 덧붙였다.


1990년 설립된 백운장학회는 올해 초·중·고·대학생 598명을 선발해 5억7천244만6천원을 지급할 예정이다.


서울대 장학생은 2명을 선정해 685만6천원을 지급할 계획이다.


광양시 관계자는 이에 대해 "백운장학회가 발족 이후 인재 육성과 지원을 위해 서울대 등 상위권 대학 재학생들 장학금 규정을 만든 것으로 안다"며 "광양 지역 대학생들에게도 장학 혜택을 많이 주고 있어 특혜라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minu21@yna.co.kr


연합뉴스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7/11/26/0200000000AKR20171126021500054.HTML?input=1179m

,

광양시에서 기금을 출연해 운영하는 백운장학회가 특정 대학 재학생에게 특혜를 주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학벌없는사회 광주시민모임은 25일 보도자료를 내고 백운장학회의 2017년 장학생 선발 계획에서 ‘서울대’ 재학생만 별도의 장학금 기준을 두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학벌없는사회에 따르면, 백운장학회는 대학(원)생 장학생은 총장 추천, 성적과 소득수준 등 기준으로 지급하고 있는데, 서울대 및 상위등급 대학 재학생만 별도의 장학금 기준을 둬 지급하고 있다. 


또 백운장학회는 서울대 재학생이 ‘서울대 진학 장학금 대상(평균 평점이 B학점 이상인 자)’에 해당하지 않더라도, 서울대 재학생에게 격려금을 지급하거나 일반선발 장학생 신청을 할 수 있도록 특혜를 줬다. 


이와 관련해 학벌없는사회는 “백운장학회는 학벌주의와 대학 서열화를 조장하고, 지역대학‧인재 육성이라는 당연히 가져야 할 책무를 방기한 것”이라고 비판했다. 


“모든 영역에서 수도권 집중이 이루어진 특수한 사회에서, 지역대학‧인재를 육성하고 경제적으로 어려운 학생을 위해 지원 및 지도‧감독해야 할 광양시가 ‘소위 명문대 선호’를 부추기는 태도는 도무지 납득이 가지 않는 행태”라는 것. 


학벌없는사회가 조사한 바에 따르면, 전라남도 내 대부분의 기초단체에서 특정 대학을 우대하는 장학금 지급기준을 찾을 수 없다. 특히 ‘서울대 재학생’만을 특별 대우하는 장학금 지급 기준은 없다. 


학벌없는사회는 “‘특정 대학에 대한 특혜성 장학금을 폐지하고, 지역의 교육발전과 교육의 공공성을 위해 노력하는 모습을 보여줄 것’”을 백운장학회와 광양시에 촉구했다. 


학벌없는사회는 전남도 인권옴부즈맨에 차별시정을 요구하는 진정서도 제출했다. 


김우리 기자 uri@gjdream.com


광주드림 http://www.gjdream.com/v2/news/view.html?uid=484088

,

전남 광양시 지원금으로 운영하는 백운장학회가 서울대 학생만을 특별 대우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학벌없는 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은 26일 백운장학회 ‘서울대 사랑 지나쳐’라는 성명에서 “백운장학회가 매년 지역 출신 학생들에게 장학금을 지원하면서 서울대 재학생을 특별 대우하고 있어 전남도 인권옴부즈맨에 차별 시정을 요구하는 진정서를 냈다”고 26일 밝혔다.


이 단체에 따르면 백운장학회는 장학금 지급 대상자를 ‘우선선발’ ‘일반선발’ ‘서울대 장학금’으로 나눠 선발하고 있다. 우선선발과 일반선발은 총장추천, 성적, 소득 등을 평가해 지급한다. 하지만 서울대생에게는 평균 B학점 이상자를 대상으로 ‘서울대 장학금’을 신청할 수 있도록 한데 이어, B학점 미만이라도 격려금을 받을 수 있도록 기회를 주고 있다. 더구나 서울대생에게는 ‘일반선발’에도 지원할 수 있도록 해놓고 있다. 서울대 생은 백운장학회 장학금 혜택 3가지를 받을 수 있게 길을 열어놓고 있다는 것이다. 


이 단체는 “이같은 장학금 지급 기준은 한국사회의 고질적 병폐인 학벌주의와 대학 서열화를 조장하고 지역대학·인재 육성이라는 책무를 백운장학회가 방기한 것이라 판단한다”고 비판했다.


이 단체는 “전남도 내 대부분의 기초단체에서 특정 대학을 우대하는 장학금 지급기준을 찾을 수 없었다”며 “서울대 재학생만을 특별 대우하는 장학금 지급 기준은 더더욱 없었다”고 밝혔다.


이 단체 관계자는 “광양시는 특정 대학에 대한 특혜성 장학금 지급을 폐지하고 지역의 교육발전과 교육의 공공성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1990년 설립된 백운장학회는 다음달 말, 올해 장학생으로 선발된 434명에게 5억3595만원을 지급한다.


경향신문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711261452001&code=620114#csidxeafbfe4d4f1d5bfa3a81c0d1af2ab1c 

,

상위권 대학 특별 대우

서열화ㆍ차별행위 조장

시민단체, 진정서 제출


전남 광양시에서 기금을 출연해 운영하는 백운장학회(이사장 정현복 광양시장)가 서울대 등 상위권 대학 재학생만을 특별 대우하고 있어 차별행위를 조장하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시민단체는 전남도 인권옴부즈맨에 차별 시정을 요구하는 진정서를 제출했다.


학벌없는사회를위한광주시민모임(학벌없는사회)은 26일 “백운장학회가 매년 지역 출신 학생들에게 장학금을 지원하면서 서울대 재학생을 특별대우하고 있다”며 “특정 대학에 대한 특혜성 장학금 지급을 폐지하고 지역의 교육발전과 교육의 공공성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백운장학회의 2017년 장학생 선발 계획에 따르면 대학(원)생 장학생은 총장 추천, 성적과 소득수준 등 기준으로 지급하는데, 서울대와 상위등급 대학 재학생만 별도의 장학금 기준을 두어 지급하고 있다.


특히 백운장학회는 서울대 재학생이 서울대 진학 장학금 대상(평균 평점 B학점 이상)에 해당하지 않더라도 격려금을 지급하거나 일반선발 장학생 신청을 할 수 있도록 기회를 부여하는 특혜도 주고 있다. 1990년 7월 발족한 백운장학회는 올해 초ㆍ중ㆍ고ㆍ대학생 598명을 선정해 5억7,200여만원을 지급할 계획이다.


학벌없는사회는 “이 같은 장학금 지급 기준은 한국사회의 고질적 병폐인 학벌주의와 대학 서열화를 조장하고 지역대학ㆍ인재 육성이라는 책무를 백운장학회가 방기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도내 대부분의 기초단체에서 특정 대학을 우대하는 장학금 지급기준을 찾을 수 없었다”며 “서울대 재학생만을 특별 대우하는 기준은 더더욱 없었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광양시 관계자는 “우수한 고등학교 신입생 유치를 위해 서울대나 상위등급 대학의 장학금 지원을 별도 운영하고 있다”며 “장학회 이사회 결정에 따른 것으로 지역의 대학생들에게도 장학 혜택을 많이 주어 특혜라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한국일보 http://www.hankookilbo.com/v/6c35c6aff29b45aaa12439d704c70a8c

,

‘광양 백운장학회’의 지나친 서울대 사랑

학벌없는시민모임, 서울대생 특혜 시정 촉구


‘학벌없는 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이하 시민모임)은 전남 광양시가 기금을 출연해 운영하는 백운장학회가 서울대생을 특별 대우해 전남도 인권옴부즈맨에 차별시정을 요구하는 진정서를 제출했다고 26일 밝혔다.


시민모임은 보도자료를 통해 “백운장학회의 2017년 장학생 선발 계획에 따르면 대학(원)생 장학금은 총장 추천, 성적, 소득수준에 따라 지급하고 있는데, 서울대 및 상위등급 대학 재학생만 별도 기준을 두고 지급하고 있어 특혜를 주고 있다”고 주장했다.


모임은 이어 “더구나 백운장학회는 서울대 재학생이 서울대 진학 장학금 대상(평균평점 B 이상인 자)에 해당되지 않더라도, 서울대 재학생에게 격려금을 지급하거나 일반선발 장학생 신청을 할 수 있도록 기회를 부여하는 특혜도 주고 있다”고 밝혔다.


모임은 “이는 한국사회의 고질적 병폐인 학벌주의와 대학 서열화를 조장하는 데다, 지역대학 인재 육성이라는 당연히 가져야 할 책무를 방기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모임은 또 “조사에 따르면 전남도내 대부분의 기초단체에서 특정 대학을 우대하는 장학금 지급기준을 찾을 수 없었다”며 “특히 서울대 재학생만을 위한 특별대우하는 장학금 지급 기준은 더더욱 없었다”고 덧붙였다.


1990년 설립된 백운장학회는 올해 초·중·고·대학생 598명을 선발해 5억7천244만6천원을 지급할 예정이다. 서울대 장학생은 2명을 선정해 685만6천원을 지급할 계획이다. 


광양시 관계자는 이에 대해 “백운장학회가 발족 이후 인재 육성과 지원을 위해 서울대 등 상위권 대학 재학생들 장학금 규정을 만든 것으로 안다”며 “광양 지역 대학생들에게도 장학 혜택을 많이 주고 있어 특혜라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전했다. 


정유진 기자 jin1@namdonews.com


남도일보 http://www.namdo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453709



,

전남 광양시의 출연과 독지가 후원으로 기금을 조성해 운영하는 백운장학회(이사장 정현복 시장)가 서울대 재학생을 특별 우대하면서 차별행위를 조장하고 있다는 시민단체의 지적이 제기됐다.


학벌없는 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학벌없는 시민모임)은 광양 백운장학회가 매년 지역 출신 학생들에게 장학금을 지원하면서 서울대 재학생을 특별 대우하고 있어 전남도 인권옴부즈맨에 차별 시정을 촉구구하는 진정서를 제출했다고 26일 밝혔다.


백운장학회의 2017년 장학생 선발 계획은 대학(원)생 장학생은 총장 추천, 성적과 소득수준 등을 기준으로 하고 있으나, 서울대와 상위등급 대학 재학생만 별도의 장학금 기준을 적용해 지급하고 있다는 것이다.


백운장학회는 서울대 재학생이 서울대 진학 장학금 대상(평균 평점 B학점 이상)에 해당하지 않더라도 격려금을 지급하거나 일반선발 장학생 신청을 할 수 있도록 기회를 부여하는 특혜도 주고 있다고 했다.


학벌없는 시민모임은 “이같은 장학금 지급 기준은 한국사회의 고질적 병폐인 학벌주의와 대학 서열화를 조장하고 지역대학·인재 육성이라는 책무를 스스로 방기하는 짓”이라고 지적했다.


학벌없는 시민모임 측은 “특정 대학에 대한 특혜성 장학금 지급을 폐지하고 지역의 교육발전과 교육의 공공성을 위해 노력하라”고 촉구했다.


이에 시 관계자는 “그동안에는 중학생들의 고교 진학이 순천으로 쏠리는 현상이 있어 광양지역으로 우수한 고등학교 신입생을 유치키 위해 서울대나 상위등급 대학의 장학금 지원을 별도 운영하고 있다”며 “백운장학회 이사회의 결정에 따른 지역인재 육성의 한 방안이다”고 해명했다.


광양/ 나영석기자 ysn@jeonmae.co.kr


전국매일신문 http://www.jeonmae.co.kr/news/view.html?section=103&category=164&no=193401

,

전남 광양시가 기금을 출연해 운영하는 백운장학회가 서울대 등 상위권 대학 재학생을 특별대우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은 27일 보도자료를 통해 "백운장학회는 서울대와 상위등급 대학 재학생만 별도의 장학금 기준을 둬 지급하는 특혜를 주고 있다"고 밝혔다. 


학벌없는사회 시민모임에 따르면 백운장학회는 대학(원)생 장학생을 '우선선발' '일반선발' '서울대 장학금'으로 나눠 선발하고 있다. 우선선발과 일반선발은 총장 추천, 성적, 소득 등을 평가해 이뤄진다. 


하지만 서울대생은 장학금 대상인 평균 평점 B학점 이상이 되지 않더라도 격려금을 지급하거나 일반선발 장학생 신청을 할 수 있도록 기회를 부여하고 있다. 


이 단체는 "이같은 장학금 지급 기준은 한국사회의 고질적 병폐인 학벌주의와 대학서열화를 조장하고, 지역대학‧인재 육성이라는 당연히 가져야 할 책무를 방기한 것"이라고 비판했다. 


이어 "전남도내 대부분의 기초단체에서 특정 대학을 우대하는 장학금 지급기준은 찾을 수 없다"며 "서울대 재학생만을 특별 대우하는 장학금 지급 기준은 더더욱 없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광양시와 백운장학회는 특정 대학에 대한 특혜성 장학금을 폐지하고, 지역의 교육발전과 교육의 공공성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며 "전남도 인권옴부즈맨에 차별 시정을 요구하는 진정서를 제출했다"고 밝혔다.


뉴스1 http://news1.kr/articles/?3164328

,

전남 광양시 기금 출연 백운장학회 '넘치는 "서울대생 특혜"

"서울대 재학생에게 격려금, 일반선발 장학생 신청 부여 특혜"


전남 광양시에서 기금을 출연해 운영하는 백운장학회가 서울대 재학생들에게 과도한 특혜를 부여해 학력차별이라는 비판이 일고 있다.


최근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은 백운장학회가 광양 출신 대학생들에게 장학금을 지급하면서 서울대 재학생을 특별 대우해 온 것으로 밝혀졌다"며 "전남 인권옴부즈맨에 차별 시정을 요구하는 진정서를 제출하였다"고 밝혔다.


'학벌없는사회'에 따르면 "백운장학회의 2017년 장학생 선발 계획에 따르면 대학(원)생 장학생은 총장 추천, 성적과 소득수준 등 기준으로 지급하고 있는데, 서울대 및 상위등급 대학 재학생만 별도의 장학금 기준을 두어 지급하고 있어 특혜를 주고 있다는 것.


특히 백운장학회는 서울대 재학생이 서울대 진학 장학금 대상(평균 평점이 B학점 이상인 자) 미자격 학생에게도 서울대 재학생에게 격려금을 지급하거나 일반선발 장학생 신청을 할 수 있도록 기회를 부여하는 특혜도 주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학벌없는사회'은 "백운장학회의 장학금 지급 기준은 한국사회의 고질적 병폐인 학벌주의와 대학서열화를 조장하고, 지역대학‧인재 육성이라는 당연히 가져야 할 책무를 백운장학회가 방기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또 "서울 공화국이라는 말이 무색할 정도로 정치, 경제, 문화 등 모든 영역에서 수도권 집중이 이루어진 특수한 사회에서, 지역대학‧인재를 육성하고 경제적으로 어려운 학생을 위해 지원 및 지도‧감독해야 할 광양시가 ‘소위 명문대 선호’를 부추기는 태도는 도무지 납득이 가지 않는 행태"라고 비판했다.


학벌없는사회는 "전남도내 대부분의 기초 지차체에서 특정 대학을 우대하는 장학금 지급기준을 찾을 수 없었다"며 "특히 ‘서울대 재학생’만을 특별 대우하는 장학금 지급 기준은 더더욱 없었다"고 거듭 밝혔다.


끝으로 학벌없는사회는 "특정 대학에 대한 특혜성 장학금을 폐지하고, 지역의 교육발전과 교육의 공공성을 위해 노력하는 모습을 보여줄 것"을 백운장학회와 전남 광양시에 촉구했다.


이상현 기자  simin6678@hanmail.net


광주인 http://www.gwangjuin.com/news/articleView.html?idxno=97671

,

광주혐오문화대응네트워크 27일 국민의당 광주시당 기자회견

“혐오할 권리 위해 인권위법 개정하려는 정치적 움직임”


국민의당 김경진 국회의원이 국가 국가인권위원회법에서‘성지향성을 ’ 삭제하려는 움직임에 착수했다는 소식이 들려오자, 광주 시민단체들과 정당들이 “성소수자에 대한 차별을 ‘차별’로 인정하지 못하게 하려는 정치적 움직임”이라며 크게 비판하고 나섰다.


27일 광주장애인차별쳘폐연대, 광주인권지기 활짝, 광주여성민우회, 광주 녹색당, 노동당 광주시당, 학벌없는 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 등이 포함된 광주혐오문화대응네트워크가 국민의당 광주광역시당사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편견과 혐오에 기대 성평등을 가로막는 인권위 개악안 추진과 개헌 반대 움직임을 즉각 중단하라”고 요구했다. 


단체에 따르면, 최근 김경진 의원은 “현행 인권위법상 ‘성적지향’이라는 표현이 동성애를 옹호하고, 긍정적 가치 판단을 두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는 오해가 발생하고 있어, 이를 삭제할 필요가 있다”며 “법안 제2조 제3호에 대해 평등권 침해의 차별 행위의 이유에 고용형태를 추가하고 성적지향을 제외하자”고 제안하는 개정안을 동료 의원에게 서명 받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기자회견에서 광주여성민우회의 ‘아무’ 활동가는 “성적지향을 포함한 포괄적인 차별금지법 제정을 위한 시민사회의 움직임이 활발한 요즘, 정치계는 오히려 인권위법에서 성적지향을 삭제하려는 반인권적인 행보를 보이고 있다”며 “성적지향에 대한 다양한 의견은 있을 수 있지만, 다수나 개인의 선호도가 인권을 침해할 수는 없다”고 비판했다. 


또한 “다수의 여성폭력 가해자는 이성애자 남성이지만, 여성인권을 위해서 이성애의 위험성과 부정적 가치판단을 강조하지 않는 것은 모두의 인권이 소중하기 때문”이라고 비유하며 “인권은 합의와 논의의 대상이 아니다”고 선언했다.


전남대학교 페미니스트 모임 F;ACT의 수진 씨는 “시민을 위해 일하겠다던 김경진 의원의 지역구인 북구 갑에도 분명히 성소수자 시민이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앞서 지난 9월에도 자유한국당에서 ‘동성애는 보호되나 동성애를 반대하거나 비판하는 것은 차별로 간주되고 있다’며 인권위법에서 성적지향을 삭제하려는 법안을 발의했던 것처럼, 국민의당과 김 의원의 사고방식이 다르지 않을 것”이라며 “김 의원이 비정규직 노동자들을 비롯한 고용 차별을 금지하자면서도, 성소수자에 대한 차별은 해도 된다고 여기는 것은 기만적이다”고 비판했다.


정의당 광주광역시당 성소수자위원회 정욱 위원장은 “국민의당은 이 땅에 존재하는 성소수자를 차별하고 배제하겠다고 엄포를 놓고 있다”고 호소했다. 


그는 “호남은 오랫동안 지역감정이라는 불합리한 차별로 인해 고통받아왔기에, 이 땅에서 어떤 차별과 배제는 있어선 안된다”고 말했다. 


특히 광주민중항쟁의 뜻을 기리기 위해 만들어진 광주인권헌장을 언급하며 “헌장 12조에서 모든 시민은 피부색, 종교, 언어, 출신 지역, 국적 그리고 성적 지향에 관계없이 존중된다고 말하고 있음에도, 국민의당과 김 의원은 이를 정면으로 위반했다”고 지적했다.


단체들은 기자회견문을 통해 “지난 9월 금남로에서 ‘동성애·동성혼 합법화 개헌 반대 국민대회’에 적극적으로 참여한 국민의당 정치인을 규탄하며 열었던 기자회견에 대해서도 입장을 듣지 못했다”며 “그러나 거기에 더해 인권위법까지 개악 시도를 하고 있는 국민의당은 대한민국의 인권을 후퇴시키는 적폐”라고 비판했다. 


또한 “‘혐오할 권리’를 위해 최후의 보루와도 같은 인권위법을 개정하려는 것은 부끄러운 일”이라며 “서로가 서로를 사랑하는 일은 부정의 대상도 처벌의 대상도 될 수 없음을 다시 한 번 분명히 한다”고 천명했다.


양유진 기자 seoyj@gjdream.com


광주드림 http://www.gjdream.com/v2/news/view.html?uid=4841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