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벌없는사회 광주시민모임이 광양 백운장학회가 서울대 학생에게만 특혜 지원을 하고 있다며 중단할 것을 촉구했습니다. 


학벌없는사회 광주시민모임은 백운장학회가 서울대와 상위등급 대학 재학생에게만 별도의 장학금 기준을 둬 평균 평점 B학점 이상이 되지 않더라도 격려금이나 장학금을 신청할 수 있도록 기회를 주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학벌없는사회는 전라남도 인권옴브즈맨에 백운장학회의 차별 시정을 요구하는 진정서를 제출한 상태입니다. 


아라방송 http://ch.cjhello.com/CJH_ZoneCast/ZoneCast_News/News_View_xml.asp?Ls_Code=207712

,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이하 학벌없는사회)은 전남 광양시에서 기금을 출연해 운영하는 백운장학회가 서울대 재학생에게 특별 우대를 하고 있어 일반 학생들을 차별하고 있다고 지적하고 나서 주목된다.     


28일 학벌없는사회에 따르면,  백운장학회가 매년 지역출신 학생들에게 장학금을 지급하면서 서울대 및 상위등급 대학 재학생만 별도의 장학기준을 두고 특혜를 주고 있다고 비판했다.   


백운장학회의 2017년도 장학생 선발계획에 따르면 대학(원)생 장학생은 총장 추천,성적과 소득수준 등 기준으로 지급하고 있으나 서울대 재학생은 서울대 진학 장학금 대상(평균 평점 B학점 이상)에 들지 않더라도 서울대 재학생에게 격려금을 지급하거나 일반선발 장학생 신청을 할 수 있는 특혜를 주고 있다.  


백운장학회 관계자는 "당시 기준을 마련하게 된 계기는 지역학생들의 교육수준을 끌어 올리기 위한 방안으로 2009년부터 2018년까지 한시적으로 운영하는 기준이며, 2018년도 신입생이 졸업할 때까지만 장학금을 지급한다"고 말했다.   


이에 학벌없는사회는 "이러한 장학금 지급 기준은 학국사회의 고질적인 병폐인 학벌주의와 대학서열을 조장하고 지역대학.인재 육성이라는 책무를 백운장학회가 방기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학벌없는사회는 "백운장학회의 특정 대학에 대한 특혜는 사회적인 추세에 어긋나는 일이며, 장학회를 움직일 수 있는 광양시는 즉시 반사회적인 장학기준 폐지 의사를 전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상진 기자 newtoy@biztribune.co.kr


비크트리부뷴 http://biztribune.co.kr/n_news/news/view.html?no=34595

,

빛고을장학재단, 학업장려금 일부 고소득층 학생까지 포함

장학생 선발 시 명확한 소득수준 기준 없어


빛고을장학재단이 장학생 선발 시 학업성적 비중을 낮추고 소득수준을 반영하는 계획을 마련했지만, 명확한 기준을 마련하지 않아 일부 고소득층에게 장학금 혜택이 간 것으로 드러났다.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이하 학벌없는사회모임)은 30일 광주광역시, 광주시교육청으로부터 제출받은 ‘2017년 빛고을장학재단 학업장려장학생 선발 현황’을 분석한 결과 장학생 선발시 명확한 소득수준 기준을 마련하지 않았다고 발표했다.


빛고을장학재단은 2017년 이전까지 학업성적결과에 대한 보상적 성격으로 ‘학업성적우수생’에게 빛고을 장학금을 지급했지만, 2017년부터 생활자금 활용이 가능한 ‘학업장려금’으로 바꾸면서 저소득층에게 많은 혜택이 가도록 장학금 선발기준을 개편했다.


하지만 학벌없는사회모임은 “학업장려장학생 130명 중 대학생 63명은 학업성적 및 한국장학재단 소득수준 등을 적용하여 각 대학(교)에서 선발·추천하였는데, 고소득층 9명이 이들 명단에 포함된 것으로 확인됐다”며 “광주광역시교육청은 해당 장학생들의 소득수준 파악을 전혀 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이들은 “이러한 원인은 해당 장학생 선발 시 명확한 소득수준 기준을 마련하지 않은 것이다”며 “결국 현행 방식처럼 ‘학업장려장학생’을 선발할 경우 학업성적우수생 또는 고소득층 학생에게 장학금 혜택이 갈 여지가 높다”고 지적했다.


이어 학벌없는사회모임은 “허술한 학업장려장학생 선발기준으로 인해 장학금이 절실히 필요한 학생들이 더 피해를 보고 있다”며 “결국 학비 마련을 위해 공부는 뒤로 미룬 채 아르바이트 전쟁터로 내몰리고 있다”고 빛고을장학재단 측에게 문제제기했다고 전했다.


한편 이 같은 문제제기에 대해 빛고을장학재단은 “‘2017년 장학생 선발결과를 통해 명확한 소득기준 필요성을 확인하였고, 2018년 장학생 선발계획 수립 시 관련 기준을 마련할 예정’이다”고 밝혔다.


시민의소리 http://www.siminsori.com/news/articleView.html?idxno=86332

,

빛고을장학재단이 장학생을 선발하면서 선발 기준을 명확히 하지 않아 일부 고소득층에게 장학금 혜택을 준 것으로 드러났다.


30일 학벌없는 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이 광주시와 광주시교육청으로부터 제출받은 '2017년 빛고을장학재단 학업장려장학생 선발 현황'을 분석한 결과 일부 대학 장학생이 소득분위 8~10분위의 고소득층인 것으로 확인됐다. 


빛고을 장학재단은 올해 학업장려장학생 130명 중 대학생 63명을 학업성정과 한국장학재단 소득수준 등을 적용해 대학에 선발·추천했다. 이 중 9명은 소득분위표상 8~10분위에 포함됐다. 


소득분위표상 8분위는 월 가구 소득이 804만1285원~982만8230원 이하에 해당한다. 9분위는 1295만5402원 이하, 10분위는 1295만5402원 초과가 경계값이다. 월 800만~1300만원 이상 고소득 가구의 자녀가 장학금을 받은 셈이다. 


또 학업장려장학생 중 고등학생 67명은 학업성적과 생활형편 등을 감안해 학교장이 자율적으로 선발·추천했으나 광주시교육청은 장학생들의 소득수준을 전혀 파악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벌없는사회는 "장학생 선발 시 명확한 소득수준 기준을 마련하지 않아 발생한 문제"라며 "현행 방식으로 학업장려장학생을 선발하면 학업성적우수생이나 고소득층 학생에게 장학금 혜택이 갈 여지가 크다"고 말했다. 


이어 "허술한 학업장려장학생 선발기준으로 장학금이 절실히 필요한 학생들이 더 피해를 보고 있다"며 "학생들은 학비 마련을 위해 공부는 뒤로 미룬 채 아르바이트 전쟁터로 내몰리고 있다"고 지적했다. 


빛고을장학재단은 시민모임의 문제제기에 "2017년 장학생 선발결과를 통해 명확한 소득기준 필요성을 확인했다"며 "2018년 장학생 선발계획 수립 시 관련 기준을 마련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뉴스1 http://news1.kr/articles/?3167291

,

"명확한 소득수준 기준 마련해야" 


【광주=뉴시스】맹대환 기자 = 광주시가 출연한 빛고을장학재단이 장학생 선발시 명확한 소득 기준을 마련하지 않아 일부 고소득층에게 장학금 혜택이 간 것으로 나타났다.


 30일 학벌없는 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학벌없는사회)에 따르면 2017년 빛고을장학재단 학업장려장학생 선발 현황을 분석한 결과 대학생 63명 중 고소득층 9명이 장학생 명단에 포함된 것으로 확인됐다.


 또 학업장려장학생 중 고등학생 67명은 일선 학교장이 추천했으나 광주시교육청이 해당 장학생의 소득 수준을 제대로 파악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빛고을장학재단은 2017년 이전까지 학업성적 결과에 대한 보상적 성격으로 학업성적 우수생에게 장학금을 지급했지만, 올해부터 생활자금 활용이 가능한 학업장려금으로 바꾸면서 저소득층에게 많은 혜택이 가도록 선발기준을 개편했다.


 하지만 장학생 선발시 명확한 소득 수준 기준을 마련하지 않아 장학생 선발 취지가 퇴색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학벌없는사회는 "허술한 장학생 선발 기준으로 인해 장학금이 절실히 필요한 학생들이 혜택을 받지 못하고 결국 학비 마련을 위해 공부는 뒤로 미룬 채 아르바이트 전쟁터로 내몰리고 있다"고 주장했다.


 빛고을장학재단은 학벌없는사회의 문제 제기에 대해 "2018년 장학생 선발시 명확한 소득 기준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빛고을장학기금은 광주시 출연과 지역 독지가들의 성금으로 1981년 설립된 무등장학회를 2002년 확대개편한 기금으로 빛고을장학재단이 운영한다. 올해까지 총 4107명에게 28억원 가량의 장학금을 지급했다.


 mdhnews@newsis.com


뉴시스 http://www.newsis.com/view/?id=NISX20171130_0000163189&cID=10809&pID=10800

,

장학생선발때 소득기준 없어


광주광역시가 운용하고 있는 빛고을장학재단이 장학생 선발 때 학업성적 비중을 낮추고 소득수준을 반영하는 계획을 마련했으나 명확한 기준을 마련하지 않아 일부 고소득층에게 장학금 혜택이 돌아간 것으로 나타났다.


30일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은 "광주시와 광주시교육청으로부터 제출받은 '2017년 빛고을장학재단 학업장려장학생 선발 현황'을 분석한 결과, 학업장려장학생 130명가운데 대학생 63명은 학업성적 및 한국장학재단 소득수준 등을 적용해 각 대학(교)에서 선발·추천하였는데, 고소득층 9명이 이들 명단에 포함된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또 "학업장려장학생가운데 고등학생 67명은 학업성적 및 생활형편 등을 감안해 학교장이 자율적으로 선발·추천했는데 이를 지도·감독해야 할 광주시교육청은 해당 장학생들의 소득수준 파악을 전혀 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고 덧붙였다.


이 단체는 "이러한 원인은 해당 장학생 선발 때 명확한 소득수준 기준을 마련하지 않은 것으로, 결국 현행 방식처럼 학업장려장학생을 선발할 경우 학업성적우수생 또는 고소득층 학생에게 장학금 혜택이 갈 여지가 높다"고 주장했다.


이에 따라 이 단체는 "허술한 학업장려장학생 선발기준으로 인해 장학금이 절실히 필요한 학생들이 더 피해를 보고 있고, 결국 학비 마련을 위해 공부는 뒤로 미룬 채 아르바이트 전쟁터로 내몰리고 있다"며 소득기준 마련을 촉구했다.


빛고을장학재단은 '2017년 장학생 선발결과를 통해 명확한 소득기준 필요성을 확인했고 2018년 장학생 선발계획 수립 시 관련 기준을 마련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노컷뉴스 

http://www.nocutnews.co.kr/news/4885302#csidx254582f60d837d68a57a0a5bc860146 

,

학벌없는사회 "명확한 소득수준 반영 기준 마련하지 않은 탓"


(광주=연합뉴스) 김재선 기자 = 광주시의 빛고을장학재단이 장학생 선발 시 소득수준을 반영하는 명확한 기준을 마련하지 않아 일부 고소득층에게 장학금 혜택이 돌아간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학벌없는 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학벌없는사회)이 30일 광주시와 광주시교육청으로부터 제출받은 '2017년 빛고을장학재단 학업장려장학생 선발 현황'을 분석한 결과다.


빛고을장학재단은 2017년 이전까지 학업성적 결과에 대한 보상적 성격으로 학업성적 우수생에게 빛고을 장학금을 지급했다.

 

이 같은 선발 기준을 2017년부터 생활자금 활용이 가능한 학업 장려금으로 바꿔 저소득층에게 많은 혜택이 가도록 개편했다.


하지만 이번 분석 결과 장학생 가운데 일부 고소득층이 포함된 것으로 확인됐다.


각 대학이 학업성적과 한국장학재단 소득수준 등을 적용해 추천한 학업장려 장학생 63명 가운데 고소득층이 9명이었다.


또 학업성적과 생활형편 등을 고려해 학교장이 자율적으로 선발·추천한 중·고생 장학생 67명에 대해서는 광주시교육청이 소득수준을 전혀 파악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원인은 장학생 선발 시 명확한 소득수준 기준을 마련하지 않은 데 따른 것이다.


학벌없는사회는 현행처럼 학업장려 장학생을 선발할 경우 학업성적 우수생 또는 고소득층 학생에게 장학금 혜택이 갈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했다.


학벌없는사회 관계자는 "허술한 학업장려 장학생 선발 기준으로 장학금이 절실히 필요한 학생들이 피해를 보고 있다"며 "결국 학비 마련을 위해 공부는 뒤로 미룬 채 아르바이트 전쟁터로 내몰리고 있다"며 개선을 촉구했다.


이러한 문제 제기에 빛고을장학재단은 "2018년 장학생 선발계획 수립 시 관련 기준을 마련할 예정"이라고 답변했다.


kjsun@yna.co.kr


연합뉴스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7/11/30/0200000000AKR20171130077600054.HTML?input=1179m

,

빛고을장학재단 학업장려금

고소득층 대학생 9명 지급 논란

학벌없는사회 “소득수준 반영

기준 마련하지 않은 탓” 비판


광주시가 운영 중인 빛고을장학재단은 지난 9월 2017년도 장학생 선발 계획을 발표하면서 고등학생과 대학생을 대상으로 ‘학업장려장학생’ 130명을 뽑기로 했다.


장학 혜택이 저소득층 자녀들에게 더 많이 돌아갈 수 있도록 학업성적 비중을 낮추고 소득수준을 반영하는 장학생 선발 기준을 고친 것이다. 그러나 소득수준 반영에 대한 명확한 기준이 없는 탓에 일부 고소득층 자녀들이 학업장려장학금을 지급받은 것으로 드러났다.


학벌없는사회를위한광주시민모임(학벌없는사회)은 2017년도 빛고을장학재단 학업장려장학생 선발 현황을 분석한 결과, 1인 당 장학금 150만원이 지급되는 대학생 63명 중 고소득층 자녀 9명이 장학생 명단에 포함된 것으로 확인됐다고 30일 밝혔다. 또 학업장려장학생 중 고교생(1인 당 장학금 50만원) 67명은 일선 학교장이 학업성적과 생활형편 등을 고려해 추천했으나 광주시교육청이 해당 장학생의 소득 수준을 제대로 파악하지 않았다.


빛고을장학재단이 학업장려금 지급 대상 학생들의 소득수준에 대한 명확한 기준을 마련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실제 재단 측이 장학금 신청자들에게 소득수준과 관련해 제출토록 한 서류는 한국장학재단이 제공하는 학자금지원 소득구간(분위) 통지서가 전부였다. 그나마도 이 서류 제출 요건은 대학생에게만 적용됐다.


빛고을장학재단은 그 동안 학업 성적 결과에 대한 보상 성격으로 학업 성적 우수생에게 장학금을 지급했지만 올해부터는 생활자금 활용이 가능한 학업장려금을 주는 것으로 선발 기준을 바꿨다. 학벌없는사회는 “허술한 장학생 선발 기준으로 인해 장학금이 절실히 필요한 학생들이 혜택을 받지 못하고 결국 학비 마련을 위해 공부는 뒤로 미룬 채 아르바이트 전쟁터로 내몰리고 있다”고 비판했다. 재단 측은 이에 대해 “2018년 장학생 선발 시 소득수준에 대한 명확한 기준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안경호 기자 khan@hankookilbo.com


한국일보 http://www.hankookilbo.com/v/d874cc6b282a46279f11bcf344686e3f

,

학벌없는사회 시민모임 “대학생 9명 소득수준 높아”

시 “올해부터 저소득층 많은 혜택이 가도록 기준 개편”


광주시가 올해부터 빛고을장학재단 장학금 혜택이 저소득층에게 더 많이 가도록 선발기준을 바꿨다. 하지만 장학금을 받은 대학생 가운데 고소득층 자녀가 일부 포함된 것으로 나타나 좀 더 세심한 선발기준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30일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이 분석한 ‘2017년 빛고을장학재단 학업장려장학생 선발 현황’을 보면, 장학생 지급 대학생 63명 가운데 고소득층 자녀 9명이 포함됐다. 박고형준 상임활동가는 “8분위에서 10분위, 중위소득(총 가구소득 중 가운데를 차지하는 가구소득) 150%인 상류층 자제가 포함된 점이 아쉽다”고 말했다.


빛고을장학재단은 올해부터 성적 장학금이었던 것을 학업장려장학금으로 바꾸면서 저소득층에게 많은 혜택이 가도록 선발기준을 개편했다. 시는 광주·전남지역 16개 대학에서 학업성적과 한국장학재단 소득수준 등을 적용해 장학금 대상자를 추천받아 최종 선정했다. 시 청년인재과 쪽은 “평점이 4.5 만점 기준으로 3.0 이상 학점을 받은 가운데 생활이 어려운 학생을 우선순위로 추천해달라고 요청했는데 일부 대학에선 적정한 대상이 없어 일부 고소득층이 포함됐다”고 말했다.


이 단체는 또 학업장려장학금을 받은 중·고교생 67명의 소득수준이 파악되지 않는 점도 문제로 지적했다. 광주시교육청은 학업성적과 생활형편 등을 고려해 학교장이 선발한 학생을 재단에 추천한 뒤, 해당 학생들의 소득수준 자료를 따로 파악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교육청 쪽은 “학업성적 기준을 지난해 2등급에서 3등급으로 조정해 생활형편이 어려운 학생을 추천하도록 하고 있다. 학교에서 이 기준에 따라 자율적으로 선발해 추천한 학생들의 소득분위 자료까지 요구하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광주시는 2002년 무등장학회를 인수해 빛고을장학재단으로 확대한 뒤 지금까지 60억원(시비 44억원)의 기금을 조성했으며, 올해 중·고교와 대학생 229명에게 학업장려장학금(130명)을 포함해 모두 2억1900만원의 장학금을 전달했다.


정대하 기자 daeha@hani.co.kr


한겨레 http://www.hani.co.kr/arti/society/area/821445.html#csidx9cbd9499d7500539e2433a2fb49fda0 

,

박강복 기자] 광주시 빛고을장학재단이 장학생 선발 시 학업성적 비중을 낮추고 소득수준을 반영하는 계획을 마련했지만, 명확한 기준을 마련하지 않아 일부 고소득층에게 장학금 혜택이 간 것으로 드러났다.


30일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에 따르면, ‘2017년 빛고을장학재단 학업장려장학생 선발 현황’을 분석한 결과 대학생 63명은 학업성적 및 한국장학재단 소득수준 등을 적용해 각 대학(교)에서 선발·추천했는데, 고소득층 9명이 이들 명단에 포함된 것으로 확인됐다.


또한, 학업장려 장학생 중 고등학생 67명은 학업성적 및 생활형편 등을 감안하여 학교장이 자율적으로 선발·추천했으나 광주시교육청이 해당 장학생들의 소득수준 파악을 전혀 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빛고을장학재단은 2017년 이전까지 학업성적결과에 대한 보상적 성격으로 학업성적우수생에게 빛고을 장학금을 지급했지만, 올해부터 생활자금 활용이 가능한 학업장려금으로 바꾸면서 저소득층에게 많은 혜택이 가도록 장학금 선발기준을 개편했다.


하지만 장학생 선발 시 명확한 소득수준 기준을 마련하지 않아 현행 방식처럼 학업장려 장학생을 선발할 경우 학업성적우수생 또는 고소득층 학생에게 장학금 혜택이 갈 우려가 있다는 지적이다.


학벌없는사회는 “허술한 학업장려 장학생 선발기준으로 인해 장학금이 절실히 필요한 학생들이 더 피해를 보고 있고, 결국 학비 마련을 위해 공부는 뒤로 미룬 채 아르바이트 전쟁터로 내몰리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빛고을장학재단은 “2017년 장학생 선발결과를 통해 명확한 소득기준 필요성을 확인했고, 2018년 장학생 선발계획 수립 시 관련 기준을 마련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박강복 기자  pkb7657@hanmail.net


KNS뉴스통신 http://www.kns.tv/news/articleView.html?idxno=380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