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벌없는사회, 올해 63명 대학생 중 9명 특혜
"빛고을장학재단 학업장려장학생 운영 취지 벗어나"
광주광역시와 광주광역시교육청이 운영 중인 빛고을장학재단이 운영 취지와 달리 고소득층 부모를 자녀들에게 일부 장학금이 지급된 것으로 드러났다.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은 1일 "빛고을장학재간이 대상 장학생 을 선발하면서 학업성적 비중을 낮추고 소득수준을 반영하는 계획을 마련했으나 명확한 기준 없이 일부 고소득층에게 장학금 혜택이 간 것으로 드러났다"고 밝혔다.
빛고을장학재단은 지난해까지 학업성적 결과에 대한 보상적 성격으로 학업 성적우수생에게 빛고을 장학금을 지급해오다가 올해부터 생활자금 활용이 가능한 학업장려금으로 바꾸면서 저소득층 자녀가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장학생 선발기준을 개편한 바 있다.
그러나 학벌없는사회가 최근 광주광역시와 광주광역시교육청으로부터 제출받은 ‘2017년 빛고을장학재단 학업장려장학생 선발 현황’을 분석한 결과 학업장려장학생 130명 중 대학생 63명은 학업성적 및 한국장학재단 소득수준 등을 적용하여 각 대학(교)에서 선발·추천하였는데, 고소득층 9명이 이들 명단에 포함된 것으로 확인됐다.
또한, 고교생 학업장려 장학생 67명은 학업성적 및 생활형편 등을 감안하여 학교장이 자율적으로 선발·추천하였으나 지도·감독권한이 있는 광주시교육청은 해당 장학생들의 소득수준 파악을 전혀 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난 것.
이에 대해 학벌없는사회는 "해당 장학생 선발 시 명확한 소득수준 기준을 마련하지 않았다"며 "결국 현행 방식처럼 학업장려장학생을 선발할 경우 학업성적우수생 또는 고소득층 학생에게 장학금 혜택이 갈 여지가 높다"고 지적했다.
학벌없는사회는 “허술한 학업장려장학생 선발기준으로 인해 장학금이 절실히 필요한 학생들이 더 피해를 보고 있다"며 "학비 마련을 위해 공부는 뒤로 미룬 채 아르바이트 전쟁터로 내몰리고 있다"고 빛고을장학재단을 비판했다.
이에 대해 빛고을장학재단은 "2017년 장학생 선발결과를 통해 명확한 소득기준 필요성을 확인하였고, 2018년 장학생 선발계획 수립 시 관련 기준을 마련할 예정"이라고 뒤늦게 학벌없는사회에 입장을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광주인 http://www.gwangjuin.com/news/articleView.html?idxno=97740
'각종 매체 > 언론보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빛고을장학재단, 고소득층 자녀에게 장학금 혜택 ‘논란’ (0) | 2017.12.04 |
---|---|
빛고을장학재단 고소득층 자녀 장학금 ‘논란’ (0) | 2017.12.04 |
서울대 타령 언제까지…백운장학회, 장학금 특혜‘논란’ (0) | 2017.12.04 |
광주 ‘빛고을장학금’ 고소득층 수령 논란 (0) | 2017.12.04 |
빛고을장학재단 고소득층 자녀 장학금 지급 ‘논란’ (0) | 2017.12.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