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벌없는사회 시민모임 “대학생 9명 소득수준 높아”
시 “올해부터 저소득층 많은 혜택이 가도록 기준 개편”
광주시가 올해부터 빛고을장학재단 장학금 혜택이 저소득층에게 더 많이 가도록 선발기준을 바꿨다. 하지만 장학금을 받은 대학생 가운데 고소득층 자녀가 일부 포함된 것으로 나타나 좀 더 세심한 선발기준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30일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이 분석한 ‘2017년 빛고을장학재단 학업장려장학생 선발 현황’을 보면, 장학생 지급 대학생 63명 가운데 고소득층 자녀 9명이 포함됐다. 박고형준 상임활동가는 “8분위에서 10분위, 중위소득(총 가구소득 중 가운데를 차지하는 가구소득) 150%인 상류층 자제가 포함된 점이 아쉽다”고 말했다.
빛고을장학재단은 올해부터 성적 장학금이었던 것을 학업장려장학금으로 바꾸면서 저소득층에게 많은 혜택이 가도록 선발기준을 개편했다. 시는 광주·전남지역 16개 대학에서 학업성적과 한국장학재단 소득수준 등을 적용해 장학금 대상자를 추천받아 최종 선정했다. 시 청년인재과 쪽은 “평점이 4.5 만점 기준으로 3.0 이상 학점을 받은 가운데 생활이 어려운 학생을 우선순위로 추천해달라고 요청했는데 일부 대학에선 적정한 대상이 없어 일부 고소득층이 포함됐다”고 말했다.
이 단체는 또 학업장려장학금을 받은 중·고교생 67명의 소득수준이 파악되지 않는 점도 문제로 지적했다. 광주시교육청은 학업성적과 생활형편 등을 고려해 학교장이 선발한 학생을 재단에 추천한 뒤, 해당 학생들의 소득수준 자료를 따로 파악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교육청 쪽은 “학업성적 기준을 지난해 2등급에서 3등급으로 조정해 생활형편이 어려운 학생을 추천하도록 하고 있다. 학교에서 이 기준에 따라 자율적으로 선발해 추천한 학생들의 소득분위 자료까지 요구하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광주시는 2002년 무등장학회를 인수해 빛고을장학재단으로 확대한 뒤 지금까지 60억원(시비 44억원)의 기금을 조성했으며, 올해 중·고교와 대학생 229명에게 학업장려장학금(130명)을 포함해 모두 2억1900만원의 장학금을 전달했다.
정대하 기자 daeha@hani.co.kr
한겨레 http://www.hani.co.kr/arti/society/area/821445.html#csidx9cbd9499d7500539e2433a2fb49fda0
'각종 매체 > 언론보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광주시 빛고을장학재단 장학금 고소득층 자녀도 받아 '논란' (0) | 2017.12.04 |
---|---|
저소득층 자녀에 장학금 더 주겠다더니… (0) | 2017.12.04 |
빛고을장학재단, 고소득층 자녀에게 장학금 혜택 ‘논란’ (0) | 2017.12.04 |
빛고을장학재단 고소득층 자녀 장학금 ‘논란’ (0) | 2017.12.04 |
빛고을장학금 일부 고소득층 자녀에 지급 (0) | 2017.12.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