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벌없는사회 ‘광주은행 채용 차별’ 인권위 진정 

고졸자 채용 없고, 일부대학 추천조차 하지 못해 

“정부 ‘평등한 인사정책’ 반하는 규정 철회해야”


광주은행이 신입 행원을 채용하면서 적용하는 대학별 추천제가 대학·지역 간의 차별의식을 고착화시키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학벌 없는 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이하 학벌없는사회)은 8일 “광주은행이 주요 대학에 인원을 차등 할당하는 방식으로 진행하고 있는 행원 채용은 중단돼야 한다”고 촉구하며 이같이 밝혔다. 


학벌없는사회에 따르면, 광주은행은 정규직원의 경우 4년제 대학 이상 졸업자, 계약직원의 경우 2년제 대학 이상 졸업자로 채용대상 학력을 제한하고 있다. 


더 큰 문제는 광주은행이 대학 추천서를 배정하며, 별도의 규정에 따라 대학별로 추천인원을 할당하고 있다는 점이다.


학벌없는사회는 “대학 추천서는 광주·전남 소재 대학에 주로 배정하고는 있지만, 전남대 등 일부 대학에 월등히 많고 나머지 대학은 대학추천조차 협조 받지 못하는 실정”이라고 지적했다. 


“대학별로 인원을 할당하고 대학·지역 간의 차이를 두고 있는 대학별추천제는 지역인재 선발을 위한 취지는 커녕 채용 차별을 고착화 시키는데 일조하고 있다”는 것. 


또한 광주은행이 JB금융에 인수된 2014년부터 최근까지 고졸자를 단 한 명도 채용하지 않고 있다는 점도 도마에 올랐다. 


학벌없는사회는 “광주은행이 광주를 대표하는 오랜 향토기업이라는 사실을 고려할 때 정부가 추진하는 평등한 고용, 인사정책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며 “광주은행은 행원 채용의 대학별 추천제를 즉각 철회하고 보다 합리적인 채용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학벌없는사회는 광주은행의 채용 방식이 ‘학력 차별, 대학 서열화, 채용 불공성’ 측면에서 문제가 있다고 판단하고 이날 국가인권위원회에 진정서를 제출했다.


김우리 기자 uri@gjdream.com


광주드림 http://www.gjdream.com/v2/news/view.html?uid=483707

,

광주은행은 8일 대학 추천제 차별 논란과 관련해 "단순히 대학별 추천서 교부 매수의 차이만으로 학교별 차별이 있다고 볼 수 없다"고 반박했다. 


광주은행은 이날 학벌없는 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의 보도자료에 대한 반박자료를 내고 "대학교 추천제는 외부청탁 방지 등 공정성을 기하기 위해 시행하는 제도"라며 이같이 밝혔다. 


광주은행은 "대학별 추천서 교부 매수는 과거 인터넷공채 시행 시 학교별 지원자 통계와 학생수 등을 감안해 매우 합리적으로 산정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앞서 학벌없는 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은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광주은행이 신입행원 채용 과정에서 대학에 인원을 차등 할당해 추천받는 대학별 추천제 방식은 차별"이라고 주장했다.


광주시민모임은 "광주은행 채용정보를 보면 정규직원은 4년제 대학 이상 졸업자(학과 제한 없음), 계약직원은 2년제 대학 이상 졸업자로 학력을 제한하고 있다"며 "대학별 추천인원도 전남대 52명, 조선대 45명인 반면 호남대는 5명, 광주대는 3명 등 차별이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광주은행 행원 채용의 대학별 추천제가 고졸자·취업준비생·미추천 대학구성원의 채용기회를 박탈하고 학력 차별·대학 서열화·채용 불공정성 등 문제가 있다"며 "국가인권위원회에 진정서를 제출했다"고 밝혔다.


광주시민모임은 "이러한 차별은 정부가 추진하는 평등한 고용·인사정책에 반하고 사회 전 분야로 공공연히 확산될 수 있다는 점에서 심각한 우려가 있다"며 "광주은행은 행원 채용의 대학별 추천제를 즉각 철회하고 보다 합리적인 대안을 마련하라"고 촉구했다.


뉴스1 http://news1.kr/articles/?3147414

,

“행원 채용 시 시행 중인 ‘대학별추천제’는 지역 인재 채용을 늘리기 위해 도입된 제도다.”


광주은행은 8일 ‘학벌 없는 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이 국가인권위원회에 진정서를 제출한 것과 관련해 이 같은 입장을 밝혔다. 진정서에는 대학별추천제가 학력차별 등 불공정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는 내용이 담겼다. 


광주은행은 공개채용을 통해 매년 신입 행원을 선발해 왔다. 하지만 JB금융이 인수한 후부터 주요 대학에 인원을 차등 할당하는 방식으로 추천을 받아 행원을 채용하고 있다.


광주은행 관계자는 “대학별추천제가 오히려 더 투명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면서 “지역 대학 출신자들의 채용을 늘리려는 취지로 도입된 대학별추천제가 훼손돼 안타깝다”고 말했다.


이어 “대학별추천제는 외부청탁 방지 등 공정성을 기하기 위해 시행하는 제도”라며 “대학별 추천서 교부 매수는 과거 인터넷공채 시행시의 학교별 지원자 통계 및 학생수 등을 감안해 매우 합리적으로 산정한 것이다. 단순히 추천서 매수의 차이만을 갖고 학교별 차별이 있다고 볼 수 없다”고 덧붙였다.


머니S http://moneys.mt.co.kr/news/mwView.php?no=2017110817298087897&outlink=1

,

(광주가톨릭평화방송) 김선균기자 = 시민단체인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은 광주은행이 신입 행원을 선발하는 과정에서 대학별 추천제를 시행하고 있는 것과 관련해 “이는 공정한 채용 기회를 박탈한 것이라며 오늘(8일) 국가인권위원회에 진정서를 제출했다”고 밝혔습니다.

 

‘학벌없는사회’는 오늘 보도자료를 내고 “광주은행 행원 채용 과정에서 시행하고 있는 ‘대학별 추천제’가 고졸자와 취업준비생, 미 추천 대학 구성원의 채용 기회를 박탈한 것이자, 학력차별과 대학 서열화, 채용 불공정성 등 문제가 있다”고 비판했습니다.

 

단체에 따르면 “광주은행이 내부 규정을 이유로 대학별 추천인원을 공개하지 않고 있지만, 단체가 ‘2017학년도 광주권 일부 대학의 광주은행 행원 추천공고’를 입수한 결과 전남대 52명, 조선대는 45명을 할당 받은 반면, 호남대 5명, 광주대 3명 등 여러 대학은 이에 훨씬 미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특히, “광주은행은 지난 2010년 은행권 최초로 고졸자 행원을 채용해 지난 2013년까지 고졸자에게 취업문을 열어줬지만, JB금융이 광주은행을 인수한 지난 2014년부터 최근까지 고졸자를 단 한명도 채용하지 않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단체는 “비록 기업의 직원채용이 사적 영역이라고는 하지만 광주지역을 대표하는 오랜 향토기업으로서 사회적 책임과 사회 전반에 미치는 상징성과 영향을 감안한다면 결코 묵과할 수 없는 심각한 문제”라고 꼬집었습니다.

 

이에 대해 광주은행 관계자는 “대학교추천제는 외부청탁 방지 등 공정성을 기하기 위해 시행하고 있는 제도”라고 밝혔습니다.

 

이 관계자는 이어, “대학별 추천서 교부 매수는 과거 인터넷공채 시행 당시 학교별 지원자 통계 및 학생수 등을 감안해 매우 합리적으로 산정한 것으로 단순히 추천서 매수의 차이만을 가지고 학교별 차별이 있다고 볼수 없다”고 덧붙였습니다.


광주카톨릭방송 http://www.kjpbc.com/xboard/nboard.php?mode=view&number=148955&tbnum=1

,

“광주은행 대학별 추천제는 차별행위” 

학벌없는사회, 학력 차별화 조장…인권위 진정

은행측 “학교별 지원자 통계 감안…합리적 방식” 


학벌없는사회를위한광주시민모임은 8일 광주은행이 신입사원 채용 과정에서 대학별 추천제를 이용하는 것은 학력 차별이고 대학 서열화를 부추긴다며 철회를 촉구했다.


학벌없는사회는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광주은행 행원 채용의 불공정성을 개선해야 한다며 국가인권위원회에 진정서를 제출했다”고 밝혔다. 학벌없는사회는 “광주은행은 정규직원은 4년제 대학 이상 졸업자로, 계약직원은 2년제 대학 이상 졸업자로 학력을 제한하고 있다”면서 “공통 제출서류로 학교추천서를 요구하고 있으며, 광주은행은 대학별 추천 인원을 별도로 할당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광주은행이 대학별 추천 인원을 비공개하고 있으나, 학벌없는사회가 입수한 2017학년도 광주 소재 일부 대학의 광주은행 행원 추천공고에 따르면 전남대 52명, 조선대 45명이 추천서를 할당받은 반면 호남대는 5명, 광주대는 3명에 못 미치고 있다”면서 “대학 추천서는 광주·전남 소재 대학에 주로 배정하고 나머지는 수도권 주요 대학에 할당하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광주·전남 소재 일부 대학교는 광주은행으로부터 추천 협조를 받지 못한 실정”이라고 지적했다.


광주은행은 은행권 최초로 2010년 고졸자 행원을 채용한 것을 시작으로 2013년까지 고졸자(특성화고 학생)에게 취업문을 열어준 바 있으며, 현재 국민·신한·하나은행 등 대다수 시중은행은 응시자격의 학력제한을 없애고 있다.


학벌없는사회는 또 “광주은행의 대학별 추천제는 지역인재 선발을 위한 것이라고 인정할지언정 대학 간 추천 인원 격차와 학력제한은 납득할 수 없고 객관성을 인정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이에 광주은행은 대학교추천제는 외부청탁 방지 등 공정성을 기하기 위해 시행하고 있는 제도라며 반박하고 나섰다.


광주은행 관계자는 “대학별 추천서 교부 매수는 과거 인터넷공채 시행시의 학교별 지원자 통계 및 학생수 등을 감안했다”면서 “매우 합리적으로 산정한 것으로, 단순히 추천서 매수의 차이만을 가지고 학교별 차별이 있다고 볼 수 없다”고 밝혔다. 


정유진 기자 jin1@namdonews.com


남도일보 http://www.namdo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451611

,


광주은행의 대학별 추천제도가 채용 과정의 불공정성을 키우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습니다.


학벌없는사회 광주시민모임은 광주은행이 신입사원 채용과정에서 전남대와 조선대 등 주요 대학에 인원을 차등 할당하는 방식으로 대학의 추천을 받아 행원 채용을 하고 있다며 국가인권위원회에 진정서를 제출했다고 밝혔습니다.


학벌없는사회가 인권위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광주은행이 할당한 대학 추천서를 받은 인원은 전남대 52명, 조선대는 45명인 반면 호남대는 5명 광주대는 3명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광주KBC

,

광주지역 시민단체가 일부 공공기관과 기업의 출신학교에 따른 차별 채용에 대해 시정을 요구하는 진정서를 국가인권위원회에 제출했습니다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은 공공기관과 공적자금 투입 기업이 직무와 무관하게 출신 학교로 채용 응시자를 평가하는 것은 차별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이들은 이같은 채용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정부가 고용 개혁과 국민적 인식, 사회적 변화에 맞는 공정하고 투명한 채용 제도를 마련해 즉시 도입하라고 요구했습니다.

광주KBC



,

더불어민주당이 중앙당 홈페이지를 통해 사무직 당직자 채용 공고를 하면서 응시자에게 합리적인 이유 없이 학력, 어학점수 등 개인정보를 적시하도록 했던 것으로 드러났다.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은 19일 보도자료를 통해 “직무와 무관한 불필요한 개인정보(학력, 어학성적, 신체, 출신지 등)를 입사지원서에 적지 못하도록 정부가 권장한 ‘평등한 기회, 공정한 과정을 위한 블라인드 채용 제도’와 배치되는 행위다”고 비판했다.


그동안 민주당은 블라인드 채용을 적극 옹호해왔으며, 최근 국정감사에서도 일부 의원이 공공기관의 블라인드 채용 미이행 문제를 지적하기도 했다.


학벌없는사회는 “사정이 이런데도 정작 민주당이 옹호하거나 지적하던 블라인드 채용을 준수하지 않은 것은 ‘내로남불(내가 하면 로맨스, 남이 하면 불륜)’이라 할 수 있다”고 꼬집었다.


김종민 기자 kim777@kjdaily.com


광주매일신문 http://www.kjdaily.com/read.php3?aid=1508411223420919002



,

광주시 출연·출자기관 첫 도입···타 기관은 부모 신상까지 기입


【광주=뉴시스】구길용 기자 = 광주신용보증재단이 광주시 산하 출연·출자기관 가운데 처음으로 인사기록카드에서 '학력'란을 삭제했다. 


 현 정부의 블라인드 채용 방침에도 불구하고 이를 외면하고 있는 타 출연·출자기관과는 대조를 이룬 것이어서 주목된다.


 17일 '학벌없는 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에 따르면 광주시 산하 출연·출자기관을 대상으로 인사기록카드 서식을 확인한 결과 최근 광주신용보증재단이 '학력' 등 불필요한 정보를 삭제한 인사기록카드 서식으로 최근 개정했다.


 이는 광주시 산하 지방공기업과 출연·출자기관 가운데 처음이다.


 광주신용보증재단 인사기록카드에는 학력, 신체, 가족관계 등 불필요한 사항은 없애고 대신 포상이나 교육연수, 경력사항 등 직무와 관계된 사항만 기재됐다.


 반면 다른 출연·출자기관의 경우 학력과 신체, 가족관계는 물론 재산, 병역, 정당·사회단체, 종교 등 개인과 부모의 신상 관련 사항까지 기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광주문화재단과 광주테크노파크, 광주복지재단, 광주영어방송 등 4개 기관은 정부가 권고하는 블라인드 채용조차 지키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대조를 이루고 있다.


 광주신보 관계자는 "정부의 블라인드 채용 방침에 따라 최근 인사기록카드 서식을 바꿨다"며 "인사고과 과정에서 학벌이나 출신지, 배경 등이 반영되지 않도록 그 취지를 살렸다"고 말했다.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은 "직무능력 중심의 인사가 공직사회에 정착되면서 인사혁신의 확산이 이뤄질 수 있길 바란다"며 "지난 8월 지방공기업의 인사기록카드에 불필요한 정보 삭제를 촉구하는 진정서를 광주시에 제출해 놓은 상태다"고 밝혔다.


 kykoo1@newsis.com


뉴시스 http://www.newsis.com/view/?id=NISX20171017_0000120214&cID=10809&pID=10800

,

학벌없는사회, 관내 출연·출자기관 

인사기록카드 서식 확인


신용보증재단이 광주 출연기관 최초로 인사기록카드에 ‘학력’ 사항을 삭제했다.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이하 학벌없는사회)이 광주광역시 관내 출연·출자기관의 인사기록카드 서식을 확인한 결과, ‘최근 광주신용보증재단에서 불필요한 정보를 삭제한 인사기록카드 서식으로 개정한 것’이 확인됐다고 17일 밝혔다. 


이러한 혁신적인 인사기록카드 서식은 광주 관내 공기업과 출연·출자기관 중 단연 최초다.


광주신용보증재단의 인사기록카드에 따르면, 학력, 신체, 가족관계 등 불필요한 사항은 없고, 포상, 교육연수, 경력사항 등 직무와 연계하는 사항만 재하도록 했다.


반면, 그 외 다른 출연·출자기관의 인사기록카드에는 학력, 신체, 가족관계 등은 물론 재산, 병역, 정당·사회단체, 종교 등 개인과 그 부모의 신상과 관련된 내용을 기재하도록 하고 있다. 


대부분의 공공기관에서는 보직관리, 승진 등 각종 인사관리가 객관적 자료나 직무 능력보다는평판 또는 인사권자의 주관적인 판단에 따라 좌우된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이와 관련해 학벌없는사회는 “광주신용보증재단의 인사기록카드는 평판인사를 불식시키고, 합리성과 객관성이 강화된 인사관리가 이뤄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며 지도감독청인 광주광역시에 출연·출자기관의 인권친화적인 인사기록카드 개정을 촉구했다. 


한편, 학벌없는사회는 ‘광주 관내 지방공기업 인사기록카드의 불필요한 정보 삭제를 촉구하는 진정서’를 지난 8월 광주광역시 인권옴부즈맨에 제출한 바 있으며, 현재 진정 조사가 계류 중에 있다.


김우리 기자 uri@gjdream.com


광주드림 http://www.gjdream.com/v2/news/view.html?news_type=201&uid=48308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