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NS뉴스통신=박강복 기자] 광주은행이 신입사원 채용 과정에서 주요 대학에 인원을 차등 할당하는 방식으로, 대학 추천을 받아 행원 채용을 진행하고 있는 것은 대학 서열화를 부추긴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은 8일, ‘광주은행 행원 채용의 대학별 추천제’가 고졸자·취업준비생·미추천 대학구성원의 채용기회를 박탈한 것이자, 학력 차별·대학 서열화·채용 불공정성 등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단해 국가인권위원회에 진정서를 제출했다고 밝혔다.
학벌없는사회에 따르면, 광주은행은 정규직원은 4년제 대학 이상 졸업자로, 계약직원은 2년제 대학 이상 졸업자로 채용대상의 학력을 제한하고 있다.
또, 채용관련 공통 제출서류로 광주은행은 학교추천서 등을 요구하는데, 학교추천서는 각 대학의 추천방식에 근거해 선발된 자에게 한정 발급되며, 대학별 추천인원은 광주은행이 정한 별도의 규정에 따라 할당하고 있다.
대학별 추천인원은 광주은행이 내부규정상을 이유로 비공개하고 있으나, 학벌없는사회가 입수한 ‘2017학년도 광주 소재 일부 대학의 광주은행 행원 추천공고’에 따르면 전남대 52명, 조선대 45명이 추천서를 할당받은 반면, 호남대 5명, 광주대 3명 등 여러 대학은 이에 훨씬 못 미치고 있다.
대학추천서는 광주·전남 소재 대학에 주로 배정하고, 나머지는 수도권 주요대학에 할당하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광주‧전남 소재 일부 대학교는 광주은행으로부터 대학추천조차 협조 받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광주은행은 은행권 최초로 2010년 고졸자 행원을 채용한 것을 시작으로 2013년까지 고졸자(특성화고 학생)에게 취업문을 열어준 바가 있으며, 현재 국민‧신한‧하나은행 등 대다수 시중은행이 응시자격의 학력제한을 없애 행원을 채용하고 있다.
하지만 광주은행은 시중은행의 행보와는 달리, JB금융이 광주은행을 인수한 2014년부터 최근까지 고졸자를 단 한 명도 채용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학벌없는사회는 “광주은행 행원 채용의 대학별 추천제는 지역인재 선발을 위한 것이라고 인정할지언정, ‘대학 간의 추천인원 격차’와 ‘응시 학력제한’은 아무리 생각해도 납득할 수 없고 객관성을 인정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이어 “비록 기업의 직원채용이 사적 영역이라고는 하나, 광주지역을 대표하는 오랜 향토기업으로서의 사회적 책임과 사회 전반에 미치는 상징성과 영향을 감안한다면 결코 묵과할 수 없는 심각한 문제가 아닐 수 없다”고 강조했다.
박강복 기자 pkb7657@hanmail.net
KNS뉴스통신 http://www.kns.tv/news/articleView.html?idxno=373019
'각종 매체 > 언론보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광주시민단체, JB '행원 채용 대학 추천제' 인권위 진정 (0) | 2017.11.09 |
---|---|
시민단체 "광주은행 대학별 추천제 철회돼야" (0) | 2017.11.09 |
"광주은행 행원 채용 대학별 추천제 철회하라" (0) | 2017.11.09 |
“광주은행도 ‘채용차별’? 대학별추천제 철회해야” (0) | 2017.11.09 |
광주은행 "대학별 추천서 매수 차이…차별 아냐" (0) | 2017.1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