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대 42.3%, 광주교대 35.8% 등 평균 39.1%

교육공무원 임용령 개정...지역할당제 도입 시급


광주지역 국립대 교수 10명 중 4명이 수도권 대학 출신인 것으로 나타나 대학교수 임용의 지역할당제 도입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30일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이 정보공개를 통해 ‘전남대·광주교대·광주과학기술원 등 광주지역 국립대 교수의 출신학교 현황’을 분석한 결과 수도권대학 출신 교수 임용 비율이 39.1%로 높게 나타났다.



   

▲ 전남대학교 정문 전경. ⓒ광주인


전남대는 전체 교원 1191명 중 수도권 출신이 42.3%인 504명으로 가장 많았고 광주교육대는 78명 중 28명(35.8%), 광주과기원은 154명 중 25명(16.2%)이었다.

 

특히 광주과기원은 전체 교원 154명 중 국외대학 출신이 125명(81.1%)으로 다수를 차지했다. 국내대학 출신 교수임용자도 29명 중 수도권(SKY)대학이 차지하는 비중이 25명(SKY 23명)에 달했다. 

 

광주시민모임은 “수도권·국외 대학 출신이 대학가의 교수임용을 독차지하는 폐단은 그간 국정감사 등을 통해 여러 차례 지적됐다”며 “현행 교육공무원 임용령에는 ‘특정대학의 학사학위 소지자가 임용인원의 3분의 2를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는 규정이 있지만 규정이 미비하고 강제성이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또 “특정대학 출신이 아니고선 교수 임용이 하늘의 별따기보다 어려운 상황”이라며 “교육부와 각 대학은 ‘지방대학 출신의 교수 임용 확대·개선방안’을 강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은 교육부에게 교육공무원 임용령 개정을 통한 대학교수 임용의 지역할당제 도입을 촉구했다.

,

(광주=연합뉴스) 형민우 기자 = 광주지역 주요 국립대학에 임용된 교수의 출신학교가 수도권대 졸업자의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30일 학벌없는 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이하 시민모임)이 정보공개를 통해 입수한 '광주소재 국립대 교수의 출신학교 현황'을 분석한 결과, 수도권대학 출신 교수 임용 비율이 39.1%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전남대는 전체 교원 1천191명 중 수도권 출신이 42.3%인 504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서울대·고려대·연세대 등 소위 'SKY'대 출신은 315명으로 26.4%에 달했다.


 

광주교대는 78명 중 28명(35.8%)이 수도권 출신이었으며 'SKY'대 출신은 14명(18%)으로 나타났다. 


광주과학기술원은 154명 중 25명(16.2%)이이 수도권 출신으로 낮았지만, 국외대학 출신이 125명(81.1%)으로 다수를 차지했다. 


시민모임은 현재 교육공무원 임용령에 '특정대학 학사학위 소지자가 임용 인원의 3분의 2를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는 조항이 있지만, 강제성이 부족해 대학들이 크게 개의치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시민모임은 보도자료에서 "지방에서 열심히 연구 활동에 임하는 연구생들에게 힘을 주고, 지역균형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지방대학 출신의 교수 임용 확대·개선방안'을 강구해야 한다"며 "교육공무원 임용령 개정을 통한 대학교수 임용의 지역할당제를 도입해야한다"고 촉구했다. 


minu21@yna.co.kr 


연합뉴스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4/12/30/0200000000AKR20141230060500054.HTML?input=1179m

,

【광주=뉴시스】류형근 기자 = 광주지역 국립대학교 교수 10명 중 4명이 수도권의 특정 대학 출신 인 것으로 나타나 '지역 할당제 도입 방안'이 마련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30일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이 '전남대·광주교대·광주과학기술원 교수의 출신학교 현황'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수도권대학 출신 교수 임용 비율이 약 39.1%로 매우 높았다. 


전남대는 전체 교원 1191명 중 수도권 출신이 42.3%인 504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광주교육대는 78명 중 28명(35.8%), 광주과학기술원은 154명 중 25명(16.2%)이다. 


광주과학기술원은 전체 교원 154명 중 국외대학 출신이 125명(81.1%)으로 다수를 차지했으며 국내대학 출신 교수임용자 29명 중 수도권(SKY)대학 비중이 25명에 달했다.


광주시민모임은 "수도권·국외 대학 출신이 대학가의 교수임용을 독차지하고 있는 폐단은 국정감사 등을 통해 여러 차례 지적됐다"며 "현행 교육공무원 임용령에는 '특정대학의 학사학위 소지자가 임용인원의 3분의 2를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는 규정이 있지만 강제성이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또 "특정대학 출신이 아니고선 교수에 임용되는 것은 하늘의 별따기 보다도 어려운 상황이다"며 "교육부와 각 대학은 '지방대학 출신의 교수 임용 확대·개선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며 "교육공무원 임용령 개정을 통해 대학교수 임용시 지역 할당제 도입 필요하다"고 촉구했다.


hgryu77@newsis.com


뉴시스 http://www.newsis.com/ar_detail/view.html?ar_id=NISX20141230_0013385313&cID=10201&pID=10200

,

학벌없는사회 광주시민모임 조사결과, 수도권(SKY)대학 출신 교수 임용률 높아


(광주=국제뉴스) 김정란 기자 = 대학사회에서 학벌 장벽은 여전히 견고했다.


30일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에서 정보공개를 통해 입수한 ‘광주소재 국립대 교수의 출신학교 현황’을 분석한 결과, 수도권대학 출신 교수 임용 비율은 약 39.1%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전남대학교는 전체 교원 1191명 중 수도권 출신이 42.3%인 504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광주교육대학교는 78명 중 28명(35.8%), 광주과학기술원은 154명 중 25명(16.2%)이었다.


광주과학기술원은 상대적으로 수도권대학 출신 비중이 낮은 것처럼 보이지만, 전체 교원 154명 중 국외대학 출신이 125명(81.1%)으로 절대 다수를 차지하고 있으며, 국내대학 출신 교수임용자 29명 중 수도권(SKY)대학이 차지하는 비중이 25(23)명에 달하는 것이다.


이처럼 수도권·국외 대학 출신이 대학가의 교수임용을 독차지하고 있는 폐단은 그간 국정감사 등을 통해 여러 차례 지적되어온 문제다.


현행 교육공무원 임용령에는 ‘특정대학의 학사학위 소지자가 임용인원의 3분의 2를 초과하지 아니하도록 하여야 한다’라는 규정이 있지만, 규정이 미비하고, 강제성이 부족해서 대학들은 특정대학 출신을 뽑는 데 크게 개의치 않고 있다.


결국 특정대학 출신이 아니고선 교수에 임용되는 것은 하늘의 별따기 보다도 어려운 상황이다.


고학력 시대에 따라 대학원생들이 교수를 지망하게 되는 경우가 많아질 수밖에 없지만, 특정대학 출신의 독점으로 수많은 연구생들이 다른 취업현장을 찾아 발길을 돌리고 있는 것이다.


학벌없는사회 관계자는 "교육부와 각 대학에서는 지방에서 열심히 연구 활동에 임하는 연구생들에게 힘을 주고, 지역균형발전을 도모하며, 치열한 연구를 통해 학문의 발전을 이뤄낼 수 있도록 ‘지방대학 출신의 교수 임용 확대·개선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이라고 주장해다.


한편,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은 교육부에게 교육공무원 임용령 개정을 통한 대학교수 임용의 지역할당제 도입을 촉구했다.


국제뉴스 http://www.gukje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84051

,

학벌없는사회 "특정대 출신이 대다수…지역할당제 필요"


광주지역 국립대학교 교수 10명 중 4명이 수도권의 특정 대학 출신인 것으로 나타나 '지역 할당제 도입 방안'이 마련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30일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이 '전남대·광주교대·광주과학기술원 교수의 출신학교 현황'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수도권대학 출신 교수 임용 비율이 약 39.1%로 매우 높았다. 


전남대는 전체 교원 1191명 중 수도권 출신이 42.3%인 504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광주교육대는 78명 중 28명(35.8%), 광주과학기술원은 154명 중 25명(16.2%)이다. 


광주과학기술원은 전체 교원 154명 중 국외대학 출신이 125명(81.1%)으로 다수를 차지했으며 국내대학 출신 교수임용자 29명 중 수도권(SKY)대학 비중이 25명에 달했다.


광주시민모임은 "수도권·국외 대학 출신이 대학가의 교수임용을 독차지하고 있는 폐단은 국정감사 등을 통해 여러 차례 지적됐다"며 "현행 교육공무원 임용령에는 '특정대학의 학사학위 소지자가 임용인원의 3분의 2를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는 규정이 있지만 강제성이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또 "특정대학 출신이 아니고선 교수에 임용되는 것은 하늘의 별따기 보다도 어려운 상황이다"며 "교육부와 각 대학은 '지방대학 출신의 교수 임용 확대·개선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며 "교육공무원 임용령 개정을 통해 대학교수 임용시 지역 할당제 도입 필요하다"고 촉구했다.


이윤주기자 zmd@chol.com  


무등일보 http://www.honam.co.kr/read.php3?aid=1419951600457462011

,

"지역할당제 도입 필요"


광주지역 국립대학교 교수 10명 중 4명이 수도권의 특정 대학 출신 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지역 할당제 도입 방안'이 마련돼야 한다는 목소리다.


30일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이 '전남대ㆍ광주교대ㆍ광주과학기술원 교수의 출신학교 현황'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수도권대학 출신 교수 임용 비율이 약 39.1%로 매우 높았다. 


전남대는 전체 교원 1191명 중 수도권 출신이 42.3%인 504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광주교육대는 78명 중 28명(35.8%), 광주과학기술원은 154명 중 25명(16.2%)이다. 


광주과학기술원은 전체 교원 154명 중 국외대학 출신이 125명(81.1%)으로 다수를 차지했으며 국내대학 출신 교수임용자 29명 중 수도권(SKY)대학 비중이 25명에 달했다.


광주시민모임은 "현행 교육공무원 임용령에는 '특정대학의 학사학위 소지자가 임용인원의 3분의 2를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는 규정이 있지만 강제성이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또 "특정대학 출신이 아니고선 교수에 임용되는 것은 하늘의 별따기 보다도 어려운 상황이다"며 "교육부와 각 대학은 '지방대학 출신의 교수 임용 확대ㆍ개선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이며, 교육공무원 임용령 개정을 통해 대학교수 임용시 지역 할당제 도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기중 기자


전남일보 http://www.jnilbo.com/read.php3?aid=1419951600459514004

,

전남대·교육대·지스트 수도권대 출신 40% 육박

광주시민모임 “교수 임용 지역할당제 도입해야”


대학사회에 학벌 장벽이 여전히 견고한 것으로 드러나 대책마련이 요구된다는 지적이다.


광주지역 주요 국립대학에 임용된 교수의 출신학교가 수도권대 졸업자의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30일 학벌없는 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이하 광주시민모임)이 정보공개를 통해 입수한 ‘광주소재 국립대 교수의 출신학교 현황’을 분석한 결과, 수도권대학 출신 교수 임용 비율이 39.1%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10명 중 4명이 수도권의 특정 대학 출신인 셈이다.


전남대는 전체 교원 1천191명 중 수도권 출신이 42.3%인 504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서울대·고려대·연세대 등 소위 ‘SKY’대 출신은 26.4%로 315명을 나타났다. 광주교대는 78명 중 28명(35.8%)이 수도권 출신이었으며 ‘SKY’대 출신은 14명(18%)으로 나타났다.


광주과학기술원(지스트)은 154명 중 25명(16.2%)이 수도권 출신으로 비교적 낮은 비율을 보이지만, 국외대학 출신이 125명인 것을 감안하면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셈이다. 또 수도권 출신 대학 25명 중 ‘SKY’대 출신은 23명인 반면, 광주·전남지역 대학과 모교 출신은 단 한명도 없었다.


광주시민모임은 “현행 교육공무원 임용령에 ‘특정대학 학사학위 소지자가 임용 인원의 3분의 2를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는 조항이 있지만, 규정이 미비하고 강제성이 부족해 대학들이 특정대학 출신을 뽑는데 크게 개의치 않고 있다”면서 “교육공무원 임용령 개정을 통한 대학교수 임용의 지역할당제를 도입해야 한다”고 촉구했다./박은성 기자 pes@kjdaily.com


박은성 기자 pes@kjdaily.com


광주매일뉴스 http://www.kjdaily.com/read.php3?aid=1419932665338158005

,

광주지역 국립대학교 교수들의 수도권 대학 출신 비율이 지나치게 높다는 지적이 제기됐습니다.


학벌없는 사회를 위한 시민모임이 전남대와 광주교대, 광주과학기술원 등 광주지역 국립대 교수들의 출신 현황을 분석한 결과 임용된 교수의 39.1%가 수도권 대학 출신으로 나타났습니다.


시민모임은 수도권과 국외 대학 출신이 대학교수 임용을 독차지하고 있는 현상이 이미 국정감사 등을 통해 폐단으로 지적된 만큼 교수 임용에 대한 지역 할당제 도입이 필요하다고 주장했습니다.

,

광주지역 국립대 교수 가운데 수도권 대학 출신이 40%에 가까운 것으로 나타났다.


'학벌없는 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이 광주소재 국립대 교수의 출신학교 현황을 분석해 30일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전남대와 광주교육대, 광주과학기술원 등 광주지역 3개 국립대의 수도권대학 출신 교수 임용 비율은 39.1%였다.


전남대는 전체 교원 1191명 중 수도권 출신이 42.3%인 504명으로 가장 많았다. 광주교육대는 78명 중 28명으로 35.8%, 광주과학기술원은 154명 중 25명으로 16.2%였다.


광주과학기술원의 경우 상대적으로 수도권대학 출신 비중이 낮은 것처럼 보이지만 전체 교원 154명 중 국외대학 출신이 125명(81.1%)으로 절대 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국내 대학 출신 교수임용자 29명 중 수도권(SKY)대학이 차지하는 비중이 25명으로 86.2%에 달했다.


광주시민모임은 "이처럼 수도권·국외 대학 출신이 대학가의 교수임용을 독차지하고 있는 폐단은 그동안 국정감사 등을 통해 여러 차례 지적돼온 문제"라며 "현행 교육공무원 임용령에는 '특정대학의 학사학위 소지자가 임용인원의 3분의 2를 초과하지 아니하도록 해야 한다'는 규정이 있지만 미비하고 강제성이 부족해 대학들이 특정대학 출신을 뽑는 데 크게 개의치 않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결국 특정대학 출신이 아니고선 교수에 임용되는 것은 하늘의 별따기 보다도 어려운 상황"이라면서 "고학력 시대에 따라 대학원생들이 교수를 지망하게 되는 경우가 많아질 수밖에 없지만, 특정대학 출신의 독점으로 수많은 연구생들이 다른 취업현장을 찾아 발길을 돌리고 있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광주시민모임은 "교육부와 각 대학은 지방에서 열심히 연구 활동에 임하는 연구생들에게 힘을 주고 지역균형발전을 도모하며 치열한 연구를 통해 학문의 발전을 이뤄낼 수 있도록 '지방대학 출신의 교수 임용 확대·개선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교육부에 교육공무원 임용령 개정을 통한 대학교수 임용의 지역할당제 도입을 촉구했다. 


hskim@


뉴스1 http://news1.kr/articles/?2023886

,

광주소재 국립대학교 교수임용, 학벌장벽 심각하다!

- 광주소재 국립대학교, 수도권(SKY)대학 출신 교수 임용률 높아

- 광주과학기술원, 국외대학 출신이 교수 임용 독점하다시피,  

  나머지 국내대학 출신 교수 임용자 조차 대다수는 SKY대학 출신

- 교육공무원 임용령 개정을 통해 대학교수 임용의 지역할당제 도입 시급


○ 대학사회에서 학벌 장벽은 여전히 견고했다. 


○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에서 정보공개를 통해 입수한 ‘광주소재 국립대 교수의 출신학교 현황’을 분석한 결과, 수도권대학 출신 교수 임용 비율은 약 39.1%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전남대학교는 전체 교원 1191명 중 수도권 출신이 42.3%인 504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광주교육대학교는 78명 중 28명(35.8%), 광주과학기술원은 154명 중 25명(16.2%)이었다. 


○ 광주과학기술원은 상대적으로 수도권대학 출신 비중이 낮은 것처럼 보이지만, 전체 교원 154명 중 국외대학 출신이 125명(81.1%)으로 절대 다수를 차지하고 있으며, 국내대학 출신 교수임용자 29명 중 수도권(SKY)대학이 차지하는 비중이 25(23)명에 달하는 것이다. 


○ 이처럼 수도권·국외 대학 출신이 대학가의 교수임용을 독차지하고 있는 폐단은 그간 국정감사 등을 통해 여러 차례 지적되어온 문제다. 현행 교육공무원 임용령에는 “특정대학의 학사학위 소지자가 임용인원의 3분의 2를 초과하지 아니하도록 하여야 한다.”라는 규정이 있지만, 규정이 미비하고, 강제성이 부족해서 대학들은 특정대학 출신을 뽑는 데 크게 개의치 않고 있다.


○ 결국 특정대학 출신이 아니고선 교수에 임용되는 것은 하늘의 별따기 보다도 어려운 상황이다. 고학력 시대에 따라 대학원생들이 교수를 지망하게 되는 경우가 많아질 수밖에 없지만, 특정대학 출신의 독점으로 수많은 연구생들이 다른 취업현장을 찾아 발길을 돌리고 있는 것이다.  


○ 이에 교육부와 각 대학에서는 지방에서 열심히 연구 활동에 임하는 연구생들에게 힘을 주고, 지역균형발전을 도모하며, 치열한 연구를 통해 학문의 발전을 이뤄낼 수 있도록 ‘지방대학 출신의 교수 임용 확대·개선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한편,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은 교육부에게 교육공무원 임용령 개정을 통한 대학교수 임용의 지역할당제 도입을 촉구하였다. 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