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학 중, 자율학습 중단 및 지침 재마련을 요구하는 일인시위를 진행했습니다. 학생들과 교사들의 적절한 휴식권을 보장받고, 자기계발을 할 수 있도록 노력해달라는 것이 주요한 요구사항입니다.

 

그런데 광주광역시교육청은 방학 중 (야간)자율학습을 허용하는 현행 지침을 그대로 유지하겠다는 입장을 펴고 있네요.ㅠㅠ

 

앞으로 학벌없는사회 광주시민모임은 일인시위(매일 오전8~9시, 광주광역시교육청 정문 앞), 단체들 간의 연대을 통해 자율학습 문제를 꾸준히 제기해나갈 예정입니다. 많은 관심과 일인시위의 참여를 바랄께요.

 

 

 

,

[프라임경제] 광주광역시 다수 사립학교들이 시교육청 지침을 위반하며 야간자율학습을 강행해온 것으로 파악됐다.

특히 이들 사립학교들의 야간자율학습 강행은 교육청·전교조 간 맺은 단체협약에 위배되는 것으로 교육청의 느슨한 지침이 현장에서 무시되고 있다는 빈축이 나온다.

 

교육청의 겨울방학 중 자율학습 운영지침에 따르면, 현재 고등학교 1·2학년의 경우 희망자에 한해 오후 6시까지 방과후 학교 및 자율학습이 가능하다. 다만, 고등학교 2학년의 경우 희망자에 한해 밤10시까지 학내 도서관에서 자율학습이 가능하며, 학생의 건강권을 위해 적정일수의 방학을 보장해야 한다.

 

그러나 '학벌없는사회 광주시민모임'이 동구 관내 고등학교를 조사한 결과, 총 5개교 중 사립학교인 3개교가 도서관이 아닌 교실에서 야간자율학습을 강행하고 있었다. 더불어 일부 고등학교에서는 법정공휴일인 설 명절에도 학생들이 등교한 사실이 확인됐다.

 

이는 그 자체로 교육청 지침 위반일 뿐 아니라 학생의 자율적 선택권을 무시한 채 '교사의 강압' 또는 '관리자 지시'에 의해 방학 중 자율학습이 강행되는 게 않은지 의심되는 부분이다.

 

특히 문제가 되는 것은 이번 자율학습 관련 교육청 지침이 교육청과 전교조 광주지부 간에 맺은 단체협약안을 일방적으로 파기하고 있다는 부분이다. 단체협약 63조(방학 중 보충수업과 자율학습 운영)에는 '고 3학년의 자율학습은 희망자에 한해 오후6시까지 실시, 고1·2학년은 실시하지 않는다'고 적시돼 있다.

 

그런데 교육청은 이를 무시하고 고1·2학년의 자율학습을 전면 허용한 것은 물론, 고 2학년의 경우 밤 10시까지 도서실에서 자율학습을 할 수 있도록 지침을 내린 것이다.

 

자율학습 관련 단체협약 규정은 방학 중 학생들이 정서적, 신체적 건강을 회복할 기회를 보장하고 방학 중 최소한의 기간이라도 자율적으로 자기 계발을 할 기회를 보장하기 위한 기본권 가이드라인이다.

 

단체협약안에서 방과 후 수업을 운영할 수 있는 날과 시간을 명시하되 '고 1, 2학년은 (자율학습을) 실시하지 않는다'고 못 박은 이유는 예외규정을 악용하는 사례를 엄격하게 경계해 최소한의 기본권은 지켜주자고 합의한 결과다. 

 

소위 전교조 교육감 체제 안에서 학력지상주의에 적극 편승해 노골적으로 단체협약의 정신을 위반하는 지침을 내리고, 이마저도 방관하는 현실은 진보교육감 체제의 이중성을 자백한 것이라는 지적이다.

 

더욱이, 지난 진보 교육감 선거 시기부터 단체협약안 점검 거부, 주말 자율학습이나 동아리 형태의 심화반 운영 등 진보교육감의 철학을 비웃는 듯 학교를 파행적으로 운영한 사례들이 다수 보고되고 있다.

 

현재 일어나는 사례들을 보면 교육청이 뒷걸음질하는 정도가 아니라 명문대 입시성과를 교육의 자랑으로 삼는 왜곡된 학력주의를 위해 이 같은 파행사례들을 지원한다는 인상마저 들 지경이다.

 

이에 대해 학벌없는사회 광주시민모임은 재(방학 중) 학교에서 실시 중인 방학 중 자율학습을 전면 금지하고, 단협안에 근거한 자율학습 지침을 각급 학교에 즉시 하달할 것을 촉구했다.

 

아울러, 광주광역시교육청은 학생들의 방학 중 기본권이 침해된 것에 대해 학생들과 교사에게 사과하는 동시에 재발방지 대책을 마련·관리감독을 강화하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프라임경제 http://www.newsprime.co.kr/news/article.html?no=299898

 

,

(광주=연합뉴스) 형민우 기자 = 학벌없는 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이하 광주시민모임)은 "일부 학교에서 실시 중인 방학 중 자율학습을 전면 금지하고, 단협에 근거한 자율학습 지침을 각급 학교에 하달 하라"고 23일 촉구했다.

 

광주시민모임은 이날 낸 보도자료에서 "동구 관내 고등학교를 조사한 결과, 5개교 중 사립 3개교가 도서관이 아닌 교실에서 야간자율학습을 강행하고 있었다"며 "일부 고등학교에서는 법정공휴일인 설 명절에도 학생들이 등교한 사실을 확인했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이어 "교육청 지침 위반일 뿐 아니라, 학생의 자율적 선택권이 무시된 채 '교사의 강압' 또는 '관리자 지시'에 의해 방학 중 자율학습이 강행되고 있지 않은지 의심되는 부분"이라며 "학생들의 방학 중 기본권이 침해된 것에 대해 학생들과 교사에게 사과하고, 재발방지 대책을 마련, 관리감독을 강화하라"고 강조했다. 

 

시교육청과 전교조 광주지부가 맺은 단체협약에 따르면 '고3학년의 자율학습은 희망자에 한해 오후 6시까지 실시하고 고1·2학년은 실시하지 않는다'고 돼 있다.

 

minu21@yna.co.kr 

 

연합뉴스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5/02/23/0200000000AKR20150223077200054.HTML?input=1195m

,

학벌없는광주시민모임 "야간자율학습 금지해야"

【광주=뉴시스】류형근 기자 =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은 23일 "광주지역 일부 사립학교들이 설 명절에도 야간 자율학습을 강행했다"며 "광주시교육청의 강력한 지침 마련과 함께 기본권을 침해당한 학생들에 대해 공식 사과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광주시민모임은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최근 동구지역 고등학교를 조사한 결과 총 5개교 중 사립학교 중 3개교가 도서관이 아닌 교실에서 야간자율학습을 강행하고 있었다"며 "일부 고교에는 설 명절에도 학생들이 등교했다"고 주장했다.

이는 "교육청 지침 위반 일뿐 아니라 학생의 자율적 선택권이 무시된 채 '교사의 강압' 또는 '관리자 지시'에 의해 방학 중 자율학습이 강행되고 있지 않은지 의심되는 부분이다"고 지적했다.

또 "고1·2학년의 경우 희망자에 한해 오후 6시까지 방과후학교 및 자율학습이 가능하고 2학년의 경우 희망자에 한해 밤 10시까지 학내 도서관에서 자율학습 가능, 학생의 건강권을 위해 적정일수의 방학을 보장해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는 광주시교육청의 겨울방학 중 자율학습 운영지침을 위반한 것이다"고 덧붙였다.

이어 "교육청과 전교조 광주지부 간에 맺은 학생들의 정서적, 신체적 건강을 회복할 기회와 자율적으로 자기 계발을 할 기회를 보장하기 위한 가이드라인을 무시한 것이다"며 "시교육청은 학교에서 실시 중인 방학 중 자율학습을 전면 금지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아울러 "시교육청은 학생들의 방학 중 기본권이 침해된 것에 대해 학생들과 교사에게 사과하고 재발방지 대책을 마련하고 관리감독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hgryu77@newsis.com

 

뉴시스 http://www.newsis.com/ar_detail/view.html?ar_id=NISX20150223_0013492662&cID=10809&pID=10800

,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은 23일 "광주시교육청은 방학중 야간자율학습을 즉각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광주시민모임은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자체 실태 조사 결과, 대다수 사립학교들이 교육청 지침을 위반해 가며 야간자율학습을 강행해온 것으로 파악됐다"면서 "교육청과 전국교직원노동조합간 맺은 단체협약에 위배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 단체가 동구지역 고교를 조사한 결과, 총 5개교 중 사립학교인 3개교가 도서관이 아닌 교실에서 야간자율학습을 강행하고 있었다.  일부 고교에서는 법정공휴일인 설 명절에도 학생들이 등교한 사실이 확인됐다.

시민모임은 "이는 그 자체로 교육청 지침 위반 일뿐 아니라, 학생의 자율적 선택권이 무시된 채 '교사의 강압' 또는 '관리자 지시'에 의해 방학 중 자율학습이 강행되고 있지 않은지 의심되는 부분"이라고 말했다.

이어 "더욱 기막힌 것은 교육청이 전교조 광주지부와 맺은 '고3학년의 자율학습은 희망자에 한해 오후 6시까지 실시, 고1·2학년은 실시하지 않는다'고 적시한 단체협약을 무시하고 고 1·2학년의 자율학습을 전면 허용한 것은 물론 고 2학년의 경우 밤 10시까지 도서실에서 자율학습을 할 수 있도록 지침을 내려 보낸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 단체는 "자율학습 관련 단체협약 규정은 방학 중 학생들이 정서적, 신체적 건강을 회복할 기회를 보장하고, 방학 중 최소한의 기간만이라도 자율적으로 자기 계발을 할 기회를 보장하기 위한 기본권 가이드라인"이라면서 "소위 진보교육감 체제 안에서 학력지상주의에 적극 편승해 노골적으로 단협안의 정신을 위반하는 지침을 내리고, 이마저도 방관하고 있는 현실은 매우 통탄할만한 일"이라고 강조했다. 

광주시민모임은 이날 오전부터 교육청 정문 앞에서 방학중 자율학습 전면 금지와 해당 학교 및 교사의 사과, 재발방지 대책이 마련될 때까지 무기한 1인시위를 진행하기로 했다.


hskim@

 

뉴스1 http://news1.kr/articles/?2104208

,

광주광역시교육청은 방학 중 야간자율학습을 즉각 중단하라!
- 실태조사 결과, 대다수 사립학교에서 불법 야간자율학습 실시!
- 일선학교, 야간자율학습 학급 단위 편성하는 등 광주시교육청 지침 위반!
- 광주시교육청, 방학 중 자율학습에 관한 노사 단체협약 사항 위반!
- 야간자율학습 중단 일인시위 진행, 방치할 경우 관련기관에 고발!

○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이하 학벌없는사회 광주시민모임)이 확인 결과, 광주 관내 다수 사립학교들이 광주광역시교육청(이하 교육청) 지침을 위반해가며 야간자율학습을 강행해온 것으로 파악됐다. 게다가 이들이 위반하고 있는 교육청 지침조차 이미 교육청-전교조간 맺은 단체협약에 위배되는 것이었다. 단체협약에 위반되는 교육청의 느슨한 지침마저 현장에서 무시되고 있는 것이다.

○ 교육청의 겨울방학 중 자율학습 운영지침에 따르면,
- 현재 고1·2학년의 경우 희망자에 한해 오후 6시까지 방과후학교 및 자율학습 가능
- 단, 고2학년의 경우 희망자에 한해 밤10시까지 학내 도서관에서 자율학습 가능
- 학생의 건강권을 위해 적정일수의 방학을 보장해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다.

○ 그런데, 학벌없는사회 광주시민모임이 동구관내 고등학교를 조사한 결과, 총 5개교 중 사립학교인 3개교가 도서관이 아닌 교실에서 야간자율학습을 강행하고 있었다. 또한, 일부 고등학교에서는 법정공휴일인 설 명절에도 학생들이 등교한 사실을 확인하였다. 이는 그 자체로 교육청 지침 위반 일뿐 아니라, 학생의 자율적 선택권이 무시된 채 ‘교사의 강압’ 또는 ‘관리자 지시’에 의해 방학 중 자율학습이 강행되고 있지 않은지 의심되는 부분이다.

○ 게다가 더욱 기막힌 것은 이번 자율학습 관련 교육청 지침이 교육청과 전교조 광주지부 간에 맺은 단체협약안을 일방적으로 파기하고 있다는 것이다. 단체협약 63조(방학 중 보충수업과 자율학습 운영)에 따르면, “고3학년의 자율학습은 희망자에 한해 오후6시까지 실시, 고1·2학년은 실시하지 않는다.”고 적시되어 있다. 그런데 교육청은 이를 무시하고, 고1·2학년의 자율학습을 전면 허용한 것은 물론, 고2학년의 경우 밤 10시까지 도서실에서 자율학습을 할 수 있도록 지침을 내려 보낸 것이다.

○ 자율학습 관련 단체협약 규정은 방학 중 학생들이 정서적, 신체적 건강을 회복할 기회를 보장하고, 방학 중 최소한의 기간만이라도 자율적으로 자기 계발을 할 기회를 보장하기 위한 기본권 가이드라인이다. 단협안에서 방과 후 수업을 운영할 수 있는 날과 시간을 명시하되, “고 1, 2학년은 (자율학습을) 실시하지 않는다.”라고 못 박은 이유는 예외규정을 악용하는 사례를 엄격하게 경계하여 최소한의 기본권은 지켜주자고 합의한 결과다.

그런데, 소위 진보교육감 체제 안에서 학력지상주의에 적극 편승하여 노골적으로 단협안의 정신을 위반하는 지침을 내리고, 이마저도 방관하고 있는 현실은 매우 통탄할만한 일이다. 학생들 건강을 지키자며 9시 등교를 추진하던 마음과 단협안의 정신을 지키려는 마음이 별개란 말인가?

○ 이미 지난 진보교육감 선거 시기부터 단협안 점검 거부, 주말 자율학습이나 동아리 형태의 심화반 운영 등 진보교육감의 철학을 비웃기라도 하는 듯 학교를 파행적으로 운영한 사례들이 다수 보고되고 있다. 그런데, 현재 일어나고 있는 사례들을 보면, 교육청이 뒷걸음질 치는 정도가 아니라, 명문대 입시성과를 교육의 자랑으로 삼는 왜곡된 학력주의를 위해 이와 같은 파행사례들을 지원하고 있다는 인상마저 들 지경이다.

○ 이에 학벌없는사회 광주시민모임은 아래와 같이 광주시교육감과 교육청의 책임을 묻는 바이며, 2월23일(오전8시~9시)부터 교육청 정문 앞에서 학벌없는사회 광주시민모임의 요구가 해결될 때까지 무기한 일인시위를 진행할 것임을 경고하는 바이다.


  • 아 래 -

  • 광주광역시교육청은 현재(방학 중) 학교에서 실시 중인 방학 중 자율학습을 전면 금지하고, 단협안에 근거한 자율학습 지침을 각 급 학교에 즉시 하달하라!

  • 광주광역시교육청은 학생들의 방학 중 기본권이 침해된 것에 대해 학생들과 교사에게 사과하고, 재발방지 대책을 마련·관리감독을 강화하라!

  • 광주광역시교육청은 방학이 학생들에게 신체적, 정신적 건강을 회복하기 위한 실질적인 기회(진로탐색, 인문교양습득, 여행 등)가 될 수 있도록 지원하라!

2015.2.23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



TistoryM에서 작성됨
,

기존 살림위원

오창환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소 연구원

박고형준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 상임활동가

이동석 영화감독

윤영백 동성고등학교 국어교사

한상희 식품관리사

박은영 교육공간 오름 담임교사

임하성 불문과 재학생


신임 살림위원

임미연 광덕중학교 국어교사

정창호 LG전자 서비스센터 수리원

이소영 전남대학교 518연구소 연구원

문수영 광주청소년활동진흥센터 교류협력팀장


감사

김정희 변호사

'단체소개 > 함께 하는 사람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0년 조직 현황  (2) 2020.09.11
2019년 살림위원 현황  (2) 2019.04.05
2016년 살림위원 현황  (2) 2017.01.05
2014년 살림위원 소개  (0) 2014.05.29
2013년 살림위원회 소개  (0) 2014.03.07
,

"가는 곳을 달라도 평등한 명절, 명절만큼은 대학입시 얘기는 참아주세요" 

2015년 설 명절도 평등명절 현수막을 설치하였습니다. 광주역, 유스퀘어터미널, 송정리역 부근에서 찾아볼 수 있을거예요.



,

특정학교 합격 게시물에 의한 인권침해로 에이맥스미술학원을 재차 민원고발하였습니다. 민원 배정업무를 맡은 광주동부교육지원청은 관련규정이 없다며, 해당학원의 문제행위를 방치하고 있는데요. 다음주 월요일부터 일인시위를 통해 해당게시물 철거를 더욱 강하게 촉구할 예정입니다.




,

2015.2.17 JS영수아카데미를 특정학교 합격 및 성적 공개 게시물에 의한 인권침해로 광주광역시교육청에 민원을 제기했습니다. 명절 휴일을 앞두고, 금일 업무도 서서히 마무리 해야겠네요. 여러분, 성적이나 대학입시 얘기는 자제해주시고 평등한 명절 보내세요.

 

1_JS영수아카데미.hw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