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신문] '대학가서 미팅할래? 공장가서 미싱할래?' 등의 글귀를 상품에 새겨 논란을 일으킨 문구류 생산업체가 논란이 불거진 지 하루 만에 사과문을 게재했다.
문구류 업체 '반8'(대표 류강렬)은 홈페이지에 올린 사과문을 통해 "출시한 제품들 중 몇 가지 제품이 성별, 학력, 직업 등에 대한 인권침해 소지가 있다는 지적을 받았다"며 "'공부를 열심히 하자'라는 취지로 인터넷에서 학생들 사이에 유행했던 학교 급훈을 가지고 디자인했을 뿐 성별과 학력, 직업 등을 비하할 의도는 전혀 없었다"고 해명했다.
반8은 이어 "해당제품에 대해서는 즉각 판매중지를 했으며 오프라인몰 빠르게 회수조치를 했다"며 빠르게 논란을 불식시켰다.
앞서 '학벌 없는 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 등 광주지역 4개 인권단체가 반8이 이런 문구로 인권침해를 했다며 국가인권위원회에 조사를 요구하는 진정서를 냈다.
이 회사가 판매하는 노트에는 "열공해서 성공하면 여자들이 매달린다" "기다려요 OO오빠" "10분만 더 공부하면 남편의 직업이 바뀐다" "니 얼굴이면 공부 열심히 해야 해"라는 문구를 표시해 인권침해 논란이 일었다.
해당 논란에 대해 네티즌들은 "이 문구가 웃기다고? 이건 솔직히 웃을 수가 없는 일" "디자인도 복고풍인데 이념도 더이상 현실세대에 맞지 않는 듯" "지금은 대학 가서 방황할래, 공장 가서 취업할래가 맞다"는 비판과 함께 "그래도 발빠른 대처에 점수를 주고 싶다" "다른 것들은 아이디어가 톡톡 튀던데" 등 반응을 보였다.
[아시아경제 온라인이슈팀] 학생들이 사용하는 학용품에 '대학가서 미팅할래, 공장가서 미싱할래' 등의 문구를 새겨 인권침해 논란을 부른 문구류 업체 '반8'이 공식 사과했다.
업체는 광주지역 4개 인권단체가 국가인권조사위원회에 조사를 요구한지 하루 만에 이 같은 견해를 밝히고 판매도 중단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
반8은 10일 홈페이지에 사과문을 올리고 "해당 제품에 대해서는 즉시 판매를 중지했으며 유통된 제품에 대해서도 빠르게 회수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이 업체는 "업체에서 출시한 제품 중 몇 가지 제품이 성별, 학력, 직업 등에 대한 인권침해 소지가 있다는 지적을 받았다"며 "물의를 일으켜 대단히 죄송하다"고 사과했다.
이 업체는 해당제품을 출시한 배경도 설명하고 이해를 구했다. 대표는 "공부를 열심히 하자라는 취지로 인터넷에서 학생들 사이에 유행했던 학교 급훈을 가지고 디자인을 했다"면서 "성별, 학력, 직업 등을 비하할 의도는 전혀 없었다"고 해명했다.
이어 대표는 "의도와 다르게 해당 제품들이 부정적인 의미로 전달된다는 점을 느꼈다"면서 "앞으로 신중하게 제품을 만들고 좋은 메시지를 담도록 노력하겠다"고 설명했다.
앞서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 등 광주지역 4개 인권단체는 지난 9일 문구류 판매업체가 온라인과 대형마트를 통해 "'10분 만 더 공부하면 아내, 남편의 얼굴·직업이 바뀐다' '대학가서 미팅할래? 공장가서 미싱할래?' '열공해서 성공하면 여자들이 매달린다' 등의 문구가 삽입된 공책을 판매하고 있다"며 국가인권위원회에 조사를 요구하는 진정서를 제출했다.
【서울뉴스통신】나형원 기자 = 학용품에 '대학가서 미팅할래, 공장가서 미싱할래' 등의 문구를 새겨 판매해 '인권침해' 논란을 빚은 판매 업체가 10일 해당제품을 판매중지하고 공식사과했다.
이 업체는 이날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대표 사과문을 게재하고 "해당 제품에 대해 즉각 판매 중지했으며, 오프라인몰은 빠르게 회수하도록 조치하였다"고 전했다.
이어 "물의를 일으켜 죄송하다. '공부를 열심히 하자'는 취지로 인터넷에서 학생들 사이에 유행했던 학교 급훈을 가지고 디자인 했다"며 "성별, 학력, 직업 등을 비하할 의도는 전혀 없었다"고 해명해다.
또한 "의도와 다르게 부정적인 의미로 전달 된다는 점에 진심으로 사과 드린다"며 "이번 기회를 통해 더 신중하게 제품을 만들고 좋은 메시지를 담도록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한편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 등 광주지역 4개 인권단체는 지난 9일 "이 업체가 '10분 만 더 공부하면 아내, 남편의 얼굴·직업이 바뀐다', '대학가서 미팅할래? 공장가서 미싱할래?' 등의 문구가 삽입된 공책을 판매하고 있다"며 국가인권위원회에 조사를 요구하는 진정서를 제출한 바 있다.
[중앙뉴스=문상혁기자]'대학가서 미팅할래? 공장가서 미싱할래?'라는 글귀를 상품에 새긴 문구류 생산업체가 하루 만에 공식 사과했다.
'반8'이라는 10일 자사 홈페이지에 "물의를 일으켜 죄송하다"는 '사과문'을 게제하고 즉각 판매중지 조치와 오프라인몰 회수조치를 했다고 밝혔다.
전날 '학벌없는 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 등 광주지역 4개 인권단체가 반8이 이런 문구로 인권침해를 했다며 국가인권위원회에 조사를 요구하는 진정서를 낸지 하루 만에 나온 조치다.
반8은 이날 대표 명의의 사과문에서" '공부를 열심히 하자'라는 취지로 인터넷에서 학생들 사이에 유행했던 학교 급훈을 가지고 디자인하였을 뿐 성별,학력,직업 등을 비하할 의도는 전혀 없었다"며 의도와 달리 부정적 의미로전달된다는 점에서 진심으로 사과말씀 드린다"고 밝혔다.
(광주=방상조 기자) 학용품에 '대학가서 미팅할래, 공장가서 미싱할래' 등의 문구를 새겨 판매해 '인권침해' 논란을 빚은 문구류 판매 업체가 해당제품에 대해 판매를 중지하고 공식사과했다.
업체는 대표의 이름으로 10일 공식홈페이지에 사과문을 게시하고 "해당 제품에 대해서는 즉시 판매를 중지했으며 유통된 제품에 대해서도 빠르게 회수하겠다"고 밝혔다.
또 "업체에서 출시한 제품 중 몇 가지 제품이 성별, 학력, 직업 등에 대한 인권침해 소지가 있다는 지적을 받았다"며 "물의를 일으켜 대단히 죄송하다"고 강조했다.
대표는 해당제품의 출시 배경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대표는 "공부를 열심히 하자라는 취지로 인터넷에서 학생들 사이에 유행했던 학교 급훈을 가지고 디자인을 했다"며 "성별, 학력, 직업 등을 비하할 의도는 전혀 없었다"고 해명했다.
이어 "의도와 다르게 해당 제품들이 부정적인 의미로 전달된다는 점을 느꼈다"며 재차 사과한 뒤 "앞으로 신중하게 제품을 만들고 좋은 메시지를 담도록 노력하겠다"고 설명했다.
한편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 등 광주지역 4개 인권단체는 지난 9일 문구류 판매업체가 온라인과 대형마트를 통해 "'10분 만 더 공부하면 아내, 남편의 얼굴·직업이 바뀐다', '대학가서 미팅할래? 공장가서 미싱할래?', '열공해서 성공하면 여자들이 매달린다' 등의 문구가 삽입된 공책을 판매하고 있다"며 국가인권위원회에 조사를 요구하는 진정서를 제출했다.
[헤럴드경제=소셜미디어섹션] ‘대학가서 미팅할래? 공장가서 미싱할래?’ ‘니 얼굴이면 공부 열심히 해야 해’ 등의 글귀를 상품에 새겨 논란을 일으킨 문구류 생산업체가 10일 홈페이지에 사과문을 게재했다.
서울 중구 소재 문구류 판매업체 반8(대표 류강렬)은 사과문을 통해 “출시한 제품들 중 몇 가지 제품이 성별, 학력, 직업 등에 대한 인권침해 소지가 있다는 지적을 받았다”며 “‘공부를 열심히 하자’라는 취지로 인터넷에서 학생들 사이에 유행했던 학교 급훈을 가지고 디자인했을 뿐 성별과 학력, 직업 등을 비하할 의도는 전혀 없었다”고 해명했다.
반팔은 이어 “즉각 판매중지 조치와 오프라인몰 회수조치를 했다”고 밝혔다.
앞서 ‘학벌 없는 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 등 광주지역 4개 인권단체가 반8이 이런 문구로 인권침해를 했다며 국가인권위원회에 조사를 요구하는 진정서를 냈다.
이 회사가 판매하는 노트에는 남녀를 구별해 위의 글귀 외에도 “열공해서 성공하면 여자들이 매달린다” “기다려요 OO오빠” “10분만 더 공부하면 남편의 직업이 바뀐다” “니 얼굴이면 공부 열심히 해야 해”라는 문구를 표시해 인권침해 논란이 일었다.
<속보>학력과 성별, 노동 차별을 부추기는 글귀가 들어간 문구를 판매해 논란<남도일보 10일자 8면>이 된 업체가 10일 사과하고 해당 제품에 대한 판매를 중지한다고 밝혔다.
해당 문구 업체 대표는 이날 오전 자사 홈페이지에 사과문을 내어 "물의를 일으켜 대단히 죄송하다"고 사과했다.
이 대표는 이어 "몇 가지 제품이 성별, 학력, 직업 등에 대한 인권침해 소지가 있다는 지적을 받았다"며 "'공부를 열심히 하자'는 취지로 인터넷에서 학생들 사이에 유행했던 학교 급훈을 가지고 디자인하였을 뿐 성별, 학력, 직업 등을 비하할 의도는 전혀 없었다"고 해명했다.
이어 "저희 업체 의도와 다르게 해당 제품들이 부정적인 의미로 전달된다는 점에 진심으로 사과 말씀 드린다"며 "해당 제품에 대해서는 즉각 판매중지를 했으며 오프라인 몰은 빠르게 회수하도록 조치했다"고 밝혔다.
학벌없는 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 등 광주지역 4개 인권단체는 9일 "일부 업체의 학용품이 청소년 등 소비자를 상대로 성별·직업·학력을 차별하는 문구가 들어가 있다"며 국가인권위원회와 공정거래위원회에 진정서를 제출했다.
이들 단체가 문제를 제기한 글귀 등은 '10분 만 더 공부하면 아내의 얼굴이 바뀐다', '10분만 더 공부하면 남편의 직업이 바뀐다', '대학가서 미팅할래? 공장가서 미싱할래?', '열공해서 성공하면 여자들이 매달린다' 등으로 공책 등에 디자인 돼 판매됐다.
각종 차별을 부추기는 글귀가 새겨진 제품으로 논란이 된 문구업체가 해당 제품의 판매를 중지하기로 했습니다. 해당 업체는 의도와는 달리 몇몇 제품에 인권 침해 소지가 있다는 지적에 따라 해당 제품을 판매 중지했다고 밝혔습니다. 학벌없는 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은 이 업체가 판매한 제품에 새겨진 '10분만 더 공부하면 아내의 얼굴이 바뀐다'라는 등의 글귀가 차별을 조장한다며 최근 국가 인권위 등에 진정서를 제출했습니다.
[앵커] 곧 있으면 신학기가 시작되죠. 이맘때면 학용품 대란이 일어나기 마련인데요. 광주지역 인권단체가 한 업체의 학용품 판매 중지를 요구하고 있다고 합니다.
'대학 가서 미팅할래? 공장 가서 미싱할래', '10분만 더 공부하면 아내의 얼굴, 남편의 직업이 바뀐다', 이렇게 학력과 직업의 차별을 부추기는 문구 때문이라는데요. 국가인권위원회에도 진정이 들어간 이 학용품, 누리꾼들은 어떻게 볼까요, 댓글 보시죠.
"공장 4년 있으면 먹고살 기반 마련. 대학 가서 미팅하면 빚만 3천만 원." "요즘 '미싱'하는 분들 완전 능력자인데?" "그런데 공장 다니시는 분들도 '공부할걸'하면서 후회할 듯." "저거 만든 공장 직원들 심정이 어땠을까." "그냥 재미로 만든 거에 너무 진지하게 반응하시네." "'이태백'에 직업에 귀천이 어디 있어. 무슨 일이든 하면 좋은 거지."
문제가 되자 해당 업체는 바로 사과를 하고, 판매를 중단했다고 하는데요. 우리 사회의 단면을 보여준 것 같아, 씁쓸하네요.
학용품에 '대학가서 미팅할래, 공장가서 미싱할래' 등의 문구를 새겨 판매해 '인권침해' 논란을 빚은 문구류 판매 업체가 해당제품에 대해 판매를 중지하고 공식사과했다.
업체는 대표의 이름으로 10일 공식홈페이지에 사과문을 게시하고 "해당 제품에 대해서는 즉시 판매를 중지했으며 유통된 제품에 대해서도 빠르게 회수하겠다"고 밝혔다.
또 "업체에서 출시한 제품 중 몇 가지 제품이 성별, 학력, 직업 등에 대한 인권침해 소지가 있다는 지적을 받았다"며 "물의를 일으켜 대단히 죄송하다"고 강조했다.
대표는 해당제품의 출시 배경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대표는 "공부를 열심히 하자라는 취지로 인터넷에서 학생들 사이에 유행했던 학교 급훈을 가지고 디자인을 했다"며 "성별, 학력, 직업 등을 비하할 의도는 전혀 없었다"고 해명했다.
이어 "의도와 다르게 해당 제품들이 부정적인 의미로 전달된다는 점을 느꼈다"며 재차 사과한 뒤 "앞으로 신중하게 제품을 만들고 좋은 메시지를 담도록 노력하겠다"고 설명했다.
한편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 등 광주지역 4개 인권단체는 지난 9일 문구류 판매업체가 온라인과 대형마트를 통해 "'10분 만 더 공부하면 아내, 남편의 얼굴·직업이 바뀐다', '대학가서 미팅할래? 공장가서 미싱할래?', '열공해서 성공하면 여자들이 매달린다' 등의 문구가 삽입된 공책을 판매하고 있다"며 국가인권위원회에 조사를 요구하는 진정서를 제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