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온라인이슈팀] 학생들이 사용하는 학용품에 '대학가서 미팅할래, 공장가서 미싱할래' 등의 문구를 새겨 인권침해 논란을 부른 문구류 업체 '반8'이 공식 사과했다.

 

업체는 광주지역 4개 인권단체가 국가인권조사위원회에 조사를 요구한지 하루 만에 이 같은 견해를 밝히고 판매도 중단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

 

반8은 10일 홈페이지에 사과문을 올리고 "해당 제품에 대해서는 즉시 판매를 중지했으며 유통된 제품에 대해서도 빠르게 회수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이 업체는 "업체에서 출시한 제품 중 몇 가지 제품이 성별, 학력, 직업 등에 대한 인권침해 소지가 있다는 지적을 받았다"며 "물의를 일으켜 대단히 죄송하다"고 사과했다.
 
이 업체는 해당제품을 출시한 배경도 설명하고 이해를 구했다. 대표는 "공부를 열심히 하자라는 취지로 인터넷에서 학생들 사이에 유행했던 학교 급훈을 가지고 디자인을 했다"면서 "성별, 학력, 직업 등을 비하할 의도는 전혀 없었다"고 해명했다.

 

이어 대표는 "의도와 다르게 해당 제품들이 부정적인 의미로 전달된다는 점을 느꼈다"면서 "앞으로 신중하게 제품을 만들고 좋은 메시지를 담도록 노력하겠다"고 설명했다.

 

앞서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 등 광주지역 4개 인권단체는 지난 9일 문구류 판매업체가 온라인과 대형마트를 통해 "'10분 만 더 공부하면 아내, 남편의 얼굴·직업이 바뀐다' '대학가서 미팅할래? 공장가서 미싱할래?' '열공해서 성공하면 여자들이 매달린다' 등의 문구가 삽입된 공책을 판매하고 있다"며 국가인권위원회에 조사를 요구하는 진정서를 제출했다.

아시아경제 http://view.asiae.co.kr/news/view.htm?idxno=2015021015571997346

,
학력과 성별, 노동 차별을 부추기는 글귀가 들어간 문구를 판매해 논란이 된 업체가 사과하고 해당 제품에 대한 판매를 중지한다고 10일 밝혔다.

해당 문구 업체 대표는 이날 오전 자사 홈페이지에 사과문을 내어 "물의를 일으켜 대단히 죄송하다"고 사과했다.

이 대표는 이어 "몇 가지 제품이 성별, 학력, 직업 등에 대한 인권침해 소지가 있다는 지적을 받았다"며 "'공부를 열심히 하자'는 취지로 인터넷에서 학생들 사이에 유행했던 학교 급훈을 가지고 디자인하였을 뿐 성별, 학력, 직업 등을 비하할 의도는 전혀 없었다"고 해명했다.

이어 "저희 업체 의도와 다르게 해당 제품들이 부정적인 의미로 전달된다는 점에 진심으로 사과 말씀 드린다"며 "해당 제품에 대해서는 즉각 판매중지를 했으며 오프라인 몰은 빠르게 회수하도록 조치했다"고 밝혔다.

학벌없는 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 등 광주지역 4개 인권단체는 9일 "일부 업체의 학용품이 청소년 등 소비자를 상대로 성별ㆍ직업ㆍ학력을 차별하는 문구가 들어가 있다"며 국가인권위원회와 공정거래위원회에 진정서를 제출했다.

이들 단체가 문제를 제기한 글귀 등은 '10분 만 더 공부하면 아내의 얼굴이 바뀐다', '10분만 더 공부하면 남편의 직업이 바뀐다', '대학가서 미팅할래? 공장가서 미싱할래?', '열공해서 성공하면 여자들이 매달린다' 등으로 공책 등에 디자인 돼 판매됐다.

김훈 기자 kimhoon@ 

 

광남일보 http://www.gwangnam.co.kr/read.php3?aid=1423563957204614023

,

(팝콘뉴스=신상인 기자)

학용품에 '대학가서 미팅할래, 공장가서 미싱할래' 등의 문구를 새겨 판매해 '인권침해' 논란을 빚은 문구류 판매업체 '반8(대표 유강열)'이 해당제품에 대해 판매를 중지하고 공식 사과했다.

 

학벌없는 사회 광주시민모임 등은 "'반8'이라는 업체의 상품 판매문구는 심각한 인권 침해적 요소를 담고 있다"며 "상품판매를 제한할 것을 요청한다"고 밝혔다.

 

9일 이들 단체에 따르면 문구류 판매업체 '반8'은 니 얼굴이면 레알 열심히 해야 해' 등 인권 침해적 요소가 있는 문구를 삽입한 학용품을 판매하고 있다.

 

이에 바로 다음날인 10일 '반8' 유강열 대표는 공식홈페이지에 사과문을 게시하고 "해당 제품에 대해서 즉시 판매를 중지했으며 유통된 제품에 대해서도 빠르게 회수하겠다"고 밝혔다.


이들 시민단체는 "최근 인터넷 홈페이지를 통해 '10분 만 더 공부하면 아내의 얼굴이 바뀐다', '10분만 더 공부하면 남편의 직업이 바뀐다', '대학가서 미팅할래? 공장가서 미싱할래?', '열공해서 성공하면 여자들이 매달린다' 등의 문구가 삽입된 공책을 판매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또 "이 같이 공책 등에 쓰여진 문구는 성별ㆍ학력ㆍ직업 등을 차별하는 인권침해적 요소를 담고 있으며 청소년들에게 특정집단에 대한 편견과 혐오 의식을 심어줄 수 있어 판매 중지를 요청했다"고 밝혔다.

 

이어 "이 같은 문구는 시민정치적 권리에 관한 국제협약 19조 3항과 국가인권위원회법 2조3항에 명시돼 있는 '심각하게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고 편견과 부정적 평판을 조장, 확산시킴으로서 공공질서와 공공복리를 저해하는 선동 행위를 하지 말아야 한다'는 법률을 위반한 것이다"고 덧붙였다.

 

단체는 이와 함께 "업체가 상품 판매를 극대화 하기 위해 허위ㆍ과장 광고를 하고 있다"며 "판매를 중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또한 이들은 "상품에 표시된 문구는 사실과 다르거나 지나치게 부풀려져 공정한 거래질서를 저해할 우려가 있다"며 "정당한 방법으로 상품을 판매하는 다른 업체도 타격을 줄 수 있으며 기업의 인권 존중과 사회적 의무를 다하지 않은 광고이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업체는 스스로 인권 존중에 대한 책임을 다해야 한다"며 "업체가 문제를 자각하지 못하고 있어 법률에 의한 제한 조치를 하기 위해 국가인권위원회와 공정거래위원회에 진정서를 제출했다"고 설명했다.

 

이에 해당 업체 '반8'은 공식홈페이지에 사과문을 게시하고 "해당 제품에 대해서는 즉시 판매를 중지했으며 유통된 제품에 대해서도 빠르게 회수하겠다"고 밝혔다.

 

10일 '반8' 측은 "업체에서 출시한 제품 중 몇 가지 제품이 성별, 학력, 직업 등에 대한 인권침해 소지가 있다는 지적을 받았다"며 "물의를 일으켜 대단히 죄송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유 대표는 "공부를 열심히 하자라는 취지로 인터넷에서 학생들 사이에 유행했던 학교 급훈을 가지고 디자인을 했다"며 "성별, 학력, 직업 등을 비하할 의도는 전혀 없었다"고 해명하며 해당제품의 출시 배경에 대해 설명했다.

 

유 대표는 이어 "의도와 다르게 해당 제품들이 부정적인 의미로 전달된다는 점을 느꼈다"며 재차 사과한 뒤 "앞으로 신중하게 제품을 만들고 좋은 메시지를 담도록 노력하겠다"고 설명했다.

 

한편, '반8'은 2003년 6월 동대문에서 한글 티셔츠 사업으로 출발했다. 2009년 웹툰 티셔츠로 인기몰이를 하면서 '꽃미남', '미친 존재감', 직급 티셔츠 등으로 전성기를 맞았다.

최근에는 '반8 마니아층'까지 확보하며 동해를 표기한 티셔츠 등 진지한 내용의 한글 그래픽 티셔츠로 해외진출도 준비하고 있다고 전해진다.

 

팝콘뉴스 http://www.popcorn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9104

,

“물의를 일으켜 죄송하다”

 

학용품에 ‘대학가서 미팅할래, 공장가서 미싱할래’ 등의 문구를 새겨 인권침해 논란을 부른 문구류 업체 ‘반8’이 공식 사과했다.

 

광주지역 4개 인권단체가 국가인권조사위원회에 조사를 요구한지 하룻만에 이같은 견해를 밝히고 판매도 중단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

 

반8은 10일 홈페이지에 사과문을 올리고, “해당 제품에 대해서는 즉시 판매를 중지했으며 유통된 제품에 대해서도 빠르게 회수하겠다”고 덧붙였다.

 

이 업체는 또 “업체에서 출시한 제품 중 몇 가지 제품이 성별, 학력, 직업 등에 대한 인권침해 소지가 있다는 지적을 받았다”며 “물의를 일으켜 대단히 죄송하다”고 강조했다.

 

이 업체는 해당제품을 낸 배경도 설명하고 이해를 구했다.

 

회사 대표는 “공부를 열심히 하자라는 취지로 인터넷에서 학생들 사이에 유행했던 학교 급훈을 가지고 디자인을 했다”면서 “성별, 학력, 직업 등을 비하할 의도는 전혀 없었다”고 해명했다.

 

회사 대표느이어 “의도와 다르게 해당 제품들이 부정적인 의미로 전달된다는 점을 느꼈다”면서 “앞으로 신중하게 제품을 만들고 좋은 메시지를 담도록 노력하겠다”고 설명했다.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 등 광주지역 4개 인권단체는 9일 문구류 판매업체가 온라인과 대형마트를 통해 “‘10분 만 더 공부하면 아내, 남편의 얼굴·직업이 바뀐다’ ‘대학가서 미팅할래? 공장가서 미싱할래?’ ‘열공해서 성공하면 여자들이 매달린다’ 등의 문구가 삽입된 공책을 판매하고 있다”며 국가인권위원회에 조사를 요구하는 진정서를 냈다.

 

경향신문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502101140461&code=940100

,

'대학 가서 미팅할래, 공장가서 미싱할래' 등의 문구를 담은 상품을 제작했다가 학벌 조장·성 차별이라는 비판을 받은 업체가 사과후 물품 수거에 들어간 가운데(본보 2월 9일자), 최초 이 문제를 제기한 광주 인권단체들이 10일 일제히 환영 의사를 밝혔다.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 광주인권운동센터, 광주여성민우회, 참교육을 위한 전국학부모회 광주지부 등은 이날 보도자료를 내 “ 언론을 통해 논란이 된 문구업체 '반8' 대표가 홈페이지를 통해 사과하고 해당상품의 판매를 중지하겠다고 발표했다”며 “손해를 감수하고 사과문을 발표한 해당업체 대표의 용기있는 결단을 환영하며 앞으로는 더 신중하게 제품을 만들고 좋은 메시지를 담아줄 것을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들은 “하지만 한국 교육은 오로지 대학 입시 위주의 구조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고, 학생들은 경쟁을 의무감처럼 받아들이며 학교·사회에서 버젓이 차별이 빚어지고 있다”면서 “근본적인 구조를 바꾸지 않는다면 입시조장 상품 판매나 학교 안에서 일상적인 차별적인 급훈, 발언은 사라지지 않을 것이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광주인권단체들은 학교·사회에서 무심코 벌어지는 입시 조장·차별적인 급훈이나 발언에 대해서도 적극 대응하고 각종 교육현안에 적극 연대해 나가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이호행 기자 gmd@gjdream.com

 

광주드림 http://www.gjdream.com/v2/news/view.html?uid=463033

,

‘대학가서 미팅할래? 공장가서 미싱할래?’라는 글귀를 상품에 새긴 문구류 생산업체가 하루 만에 공식 사과했다.

 

‘반8’이라는 10일 자사 홈페이지에 “물의를 일으켜 죄송하다”는 ‘사과문’을 게제하고 즉각 판매중지 조치와 오프라인몰 회수조치를 했다고 밝혔다.

 

전날 ‘학벌없는 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 등 광주지역 4개 인권단체가 반8이 이런 문구로 인권침해를 했다며 국가인권위원회에 조사를 요구하는 진정서를 낸지 하루 만에 나온 조치다.

 

반8은 이날 대표 명의의 사과문에서 “‘공부를 열심히 하자’라는 취지로 인터넷에서 학생들 사이에 유행했던 학교 급훈을 가지고 디자인하였을 뿐 성별, 학력, 직업 등을 비하할 의도는 전혀 없었다”며 “의도와 달리 부정적 의미로 전달된다는 점에서 진심으로 사과말씀 드린다”고 밝혔다.

 

이어 “해당 제품에 대해서는 즉각 판매 중지했고 오르라인몰은 빠르게 회수하도록 조치했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 회사가 판매하는 노트에는 남녀를 구별해 위의 글귀 외에도 “열공해서 성공하면 여자들이 매달린다” “기다려요 OO오빠” “10분만 더 공부하면 남편의 직업이 바뀐다” “니 얼굴이면 공부 열심히 해야 해”라는 문구를 표시해 인권침해 논란이 일었다.

 

국민일보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009130820&code=61121111&cp=du

,

학력과 성 차별을 부추기는 글귀가 들어간 문구류를 판매한 업체에 대해 광주지역의 시민단체가 공정거래위원회 등에 진정서를 제출한 가운데, 논란이 된 업체가 오늘 사과하고 해당 제품의 판매를 중지하겠다고 밝혔습니다.

 

해당 문구 업체 대표는 오늘 홈페이지에 사과문을 내고, "몇 가지 제품이 성별, 학력, 직업 등에 대한 인권침해 소지가 있다는 지적을 받았다"며 "해당 제품은 판매를 중지하고 회수조치를 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또 "'공부를 열심히 하자'는 취지로 인터넷에서 학생들 사이에 유행했던 학교 급훈을 가지고 디자인했을 뿐, 성별이나 학력을 비하할 의도는 없었다"고 해명했습니다.

 

이에 앞서 학벌없는 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 등 광주지역 4개 인권단체는 어제, 해당 제품에 "'10분만 더 공부하면 아내의 얼굴이 바뀐다'는 등의 학력과 성 차별 문구가 들어있다"며, 국가인권위원회와 공정거래위원회에 진정서를 제출했습니다.

 

KBS http://news.kbs.co.kr/news/NewsView.do?SEARCH_NEWS_CODE=3018110&ref=D

,

해당 제품은 온·오프라인서 판매 중지

[천지일보=이혜림 기자] 학용품에 학력 및 성별, 노동 차별의 글귀를 인쇄해 판매하다가 논란이 된 업체가 공식 사과문을 게재했다.

10일 해당 문구 업체 ‘반8’ 대표는 이날 오전 자사 홈페이지에 사과문을 올리고 “물의를 일으켜 대단히 죄송하다”고 밝혔다.

지난 9일 광주지역의 4개 시민단체가 국가인권조사위원회에 조사를 요구한지 하루 만이다. ‘학벌없는 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 등 인권단체는 전날 “일부 업체의 학용품에 청소년 등 소비자를 상대로 성별·직업·학력을 차별하는 문구가 들어가 있다”며 국가인권위원회와 공정거래위원회에 진정서를 제출했다.

반8 대표는 사과문에서 “공부를 열심히 하자는 취지로 인터넷에서 학생들 사이에 유행했던 학교 급훈을 가지고 디자인을 했다”면서 “성별, 학력, 직업 등을 비하할 의도는 전혀 없었다”고 해명했다.

이어 “의도와 다르게 해당 문구가 부정적인 의미로 전달됐고, 이 점에 대해 진심으로 사과한다”면서 “앞으로 신중하게 제품을 만들고 좋은 메시지를 담도록 노력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업체는 해당 제품의 판매를 중지하고, 오프라인몰에서도 제품을 빨리 회수하겠다고 약속했다.

문제가 된 노트에는 ‘10분만 더 공부하면 아내의 얼굴이 바뀐다’ ‘대학가서 미팅할래? 공장가서 미싱할래?’ ‘열공해서 성공하면 여자들이 매달린다’ ‘10분만 더 공부하면 남편의 직업이 바뀐다’ 등의 문구가 디자인으로 삽입돼 논란을 일으켰다.

 

뉴스천지 http://www.newscj.com/news/articleView.html?idxno=276596

,

[取중眞담] 문구업체 반8의 '책임있는 사과', 칭찬합니다

 

사과받기 참 어려운 세상입니다.

 

"내려" 한 마디로 승무원을 무릎 꿇린 분은 꾸깃꾸깃 접힌 '37글자 사과 쪽지' 한 장으로 상황을 모면하려더니, 법정에서도 여객기를 되돌린 잘못을 부인합니다. 대한민국의 국무총리가 되겠다는 분은 자신을 둘러싼 의혹이 연이어 제기되고 있는데도 "부덕의 소치" "청문회에서 해명할 것" 등의 말로 버팁니다.

 

물론, 사과의 진정성은 눈으로 확인할 수 없습니다. 누군가에게 '당신의 속내를 드러내'라고 강제할 수도 없고, 내 속내를 남에게 드러낼 필요도 없습니다. 다만 우리는 진정성을 평가할 순 있습니다. 특히 위 두 사례와 같이 공적인 상황, 책임있는 자리가 그 대상이라면 깐깐한 잣대를 들이대야 합니다.

 

사과는 적절한 후속 조치가 따를 때 비로소 사과로 인정받을 수 있습니다. 우린 그걸 '진정성 있다'고 말합니다. 그런 의미에서 '37자 사과 쪽지'와 "부덕의 소치" 발언은 사과라고 하기에는 많이 모자라 보입니다.

정말 1시간 뒤에 '해명 전화'가 왔다

 

지난 9일 '반8'이라는 문구업체의 공책이 인터넷을 달궜습니다. "대학 가서 미팅할래? 공장 가서 미싱할래?" "열공해서 성공하면 여자들이 매달린다" 등 성별·직업·학력 차별 문구를 담은 공책 생산 업체를 상대로 시민단체 네 곳이 국가인권위원회·공정거래위원회에 진정을 넣었습니다

 

기자는 시민단체의 보도자료를 토대로 취재에 들어갔습니다. 반8의 반론을 듣기 전, 인터넷 검색을 통해 보도 현황을 훑어봤습니다. 이미 보도자료의 내용대로 많은 기사가 출고돼 있었고, 포털 첫 화면에 배치돼 있기도 했습니다. 공통적으로 반8의 반론은 없었습니다.

 

통상 시민단체의 보도자료나 기자회견을 접하면, 보도 가치가 있는 경우 그들의 주장을 그대로 보도합니다. 특히 그곳이 공신력 있는 시민단체라면 비판 대상인 곳의 반론은 생략 혹은 이후로 기약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저 또한 그래왔습니다.

 

그런데 이날은 비판 대상 업체인 반8의 반론을 듣고 싶었습니다. 그동안 해당 시민단체가 비판했던 곳(시청·교육청 등 기관)에 비해 반8은 상대적으로 작은 집단이었습니다. 여느 공공기관처럼 보도 후 해명·반박자료 배포도 어려워 보였고, 해명·자료를 낸다 한들 언론이 조명하지 않을 것 같았습니다.

 

반8에 전화를 걸었습니다. 상황을 전해들은 직원은 "1시간 뒤에 다시 전화를 하겠다"라고 말했습니다. 그는 "이미 기사가 나온 줄도 몰랐다"라면서 당황한 기색을 내보였습니다.

 

전화를 끊고 1시간이 지났습니다. 일반적으로 기자들은 "1시간 뒤에 전화하겠다"는 취재원의 말을 곧이곧대로 듣지 않습니다. 사안에 따라 다르긴 하지만, 그들이 말하는 "1시간 뒤"는 "취재 거부"이란 말(특히 관공서·대기업)과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반8의 답변이 올 것이라는 기대를 접고, 시민단체의 보도자료를 토대로 쓴 기사를 편집부에 넘겼습니다.

 

진정을 넣은 시민단체도 "해당 업체, 대단하다"

그런데 얼마 지나지 않아 반8로부터 전화가 왔습니다. 수화기 너머의 반8 관계자는 "반론을 듣고자 한다"라는 기자의 질문에 "반론을 하려는 게 아니다"라고 답했습니다.

 

그러더니 "물의를 일으키고, 오해를 산 점 대단히 죄송하다"라면서 "온·오프라인에서 해왔던 해당 공책의 판매를 중단할 것이고, 누리집에 사과문을 게시할 것이며, 앞으로 좋은 제품 만들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말했습니다. 그의 답변은 다소 어색하고, 어설펐지만 대신 명료하고, 단호했습니다.

 

전화를 끊고 해당 누리집에 접속했습니다. 정말 문제가 된 공책의 판매가 전면 중단됐습니다. 약속대로 곧이어 사과문도 올라왔습니다. 대표 명의의 사과문은 누리집의 절반을 가릴 정도로 누구나 볼 수 있게 배치했습니다. 식은땀이 났습니다. 곧바로 편집부에 알려 아직 출고되지 않은 기사를 보강했고, 독자와는 보강한 기사로 만날 수 있었습니다.

 

반8과 같은 후속조치가 나왔을 때 우리는 그들의 사과를 "진정성 있다"라고 평가할 수 있습니다.

 

이날 국가인권위원회에 진정을 넣은 시민단체 관계자도 "(반8 대표는) 정말 대단한 사람인 것 같다"라고 자신의 페이스북에 적었습니다. 이 관계자가 <오마이뉴스>와 한 통화에서는 "반8이 사과문에서 '인터넷에서 유행했던 학교 급훈을 갖고 디자인했다'고 밝혔듯 반8보다 그러한 급훈을 만든 일부 학교에 문제가 있어 보인다"라고 말했습니다.

 

누리꾼들은 "진정을 낸 것도 대단하지만 (반8의) 사과하고 책임지는 모습도 대단하다" "반8(의 다른 상품) 내가 팔아준다, 힘내라" 등의 댓글을 달기도 했습니다.

 

카메라 수십 대 앞에 서서 고개를 푹 숙이는 게, "부덕의 소치"라는 해명 한 마디 내놓는 게 사과가 아닙니다. 자신의 잘못에 납득할 만한 책임을 져야 푹 숙인 고개와 해명 한 마디가 사과로 인정받을 수 있습니다.

 

이완구 국무총리 후보자와 조현아 전 대한항공 부사장에게 반8의 사과 방식을 추천합니다.

오마이뉴스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080902&CMPT_CD=P0001

,

[쿠키뉴스=김민석 기자] ‘대학가서 미팅할래? 공장가서 미싱할래?’ ‘니 얼굴이면 공부 열심히 해야 해’ 등의 글귀를 상품에 새겨 논란을 일으킨 문구류 생산업체가 10일 홈페이지에 사과문을 게재했다.

 

서울 중구 소재 문구류 판매업체 반8(대표 류강렬)은 사과문을 통해 “출시한 제품들 중 몇 가지 제품이 성별, 학력, 직업 등에 대한 인권침해 소지가 있다는 지적을 받았다”며 “‘공부를 열심히 하자’라는 취지로 인터넷에서 학생들 사이에 유행했던 학교 급훈을 가지고 디자인했을 뿐 성별과 학력, 직업 등을 비하할 의도는 전혀 없었다”고 해명했다.

 

반팔은 이어 “즉각 판매중지 조치와 오프라인몰 회수조치를 했다”고 밝혔다.

 

앞서 ‘학벌 없는 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 등 광주지역 4개 인권단체가 반8이 이런 문구로 인권침해를 했다며 국가인권위원회에 조사를 요구하는 진정서를 냈다.

 

이 회사가 판매하는 노트에는 남녀를 구별해 위의 글귀 외에도 “열공해서 성공하면 여자들이 매달린다” “기다려요 OO오빠” “10분만 더 공부하면 남편의 직업이 바뀐다” “니 얼굴이면 공부 열심히 해야 해”라는 문구를 표시해 인권침해 논란이 일었다.

 

쿠키뉴스 http://news.kukinews.com/article/view.asp?arcid=0009131222&code=41121111&cp=du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