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마이뉴스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773028&CMPT_CD=P0010&utm_source=naver&utm_medium=newsearch&utm_campaign=naver_news 

 

차별금지법, 광주 시민에게 왜 필요한데?

차별금지/평등법 제정을 촉구하는 국회 10만 동의 청원이 성사된 지 두 달이 넘었다. 2020년 6월 장혜영 정의당 의원이 차별금지법을 발의하고 2021년 이상민, 박주민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각각 평

www.ohmynews.com

 

,

광주매일뉴스 http://www.kjdaily.com/article.php?aid=1631623215556168005 

 

“사립유치원 교원 유아휴직제도 안착화해야”

광주 지역 사립유치원 교원들의 근무여건을 개선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학벌없는사회를 위한 시민모임은 14일 보도자료를 통해 “교육부는 지난 3월 육아휴직을 하는 사립유치원 교원에

www.kjdaily.com

 

,

노컷뉴스 https://www.nocutnews.co.kr/news/5626676

 

광주 모 고등학교 유령직원 수사 '지지부진'···50일 지났지만 피의자 조사 안돼

경찰이 광주 한 고등학교 행정실 직원의 수억 원대 급여 착복 의혹에 대해 두 달이 다 되도록 결론을 내지 않고 있어 늑장·축소 수사 논란이 일고 있다. 교육시민단체인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시

www.nocutnews.co.kr

 

,

광주KBS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5284830&ref=A 

 

“광주시교육청, 광주교육 제안 제도 내실 기해야”

광주시교육청이 광주교육 제안 제도를 더 내실 있게 운영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됐습니다. 학벌 없는 사회...

news.kbs.co.kr

 

,

뉴시스 https://newsis.com/view/?id=NISX20210923_0001590615&cID=10201&pID=10200 

 

광주 교육시민단체 "병설유치원 통폐합하면 법적 대응"

[광주=뉴시스] 구용희 기자 = 광주 지역 교육시민단체가 소규모 병설유치원 통폐합 정책을 계속해 추진할 경우 광주시교육청을 상대로 법적 대응에 나서겠다는 뜻을 밝혔다

www.newsis.com

 

,

뉴시스 https://newsis.com/view/?id=NISX20210929_0001597222&cID=10201&pID=10200 

 

광주교육청 매입형 유치원사업 '잡음'…시민단체, 공무원 등 고발

[광주=뉴시스] 구용희 기자 = 광주시교육청이 사립유치원을 매입, 공립으로 전환하는 사업을 추진 중인 가운데 특정 사립유치원이 이 사업에 선정되기 위해 시교육청에 허위서류를 제출했다는

www.newsis.com

 

,

 

 

[보도자료] 허울뿐인 사학 개방이사 제도, 광주시교육청은 개선책을 마련하라!

○ 개방 이사‧감사(이하, 개방이사)제도는 사립학교 운영의 공공성‧투명성을 높이기 위해 도입됐으며, 2007년 사립학교법 개정 이후 헌법재판소 합헌 결정을 거쳐 시행 중이다. 그런데 광주광

antihakbul.jinbo.net

,

 

 

[보도자료] 광주시교육청은 학교 내 채식급식을 점검하고, 채식선택권을 보장하라.

○ 복날은 더위에 지친 이들이 원기를 회복하려고 삼계탕 등 고기를 먹는 날이다. 하지만 고기 수요를 맞추기 위해 공급 현장은 기후위기, 환경파괴, 동물학대 등 상상을 훨씬 넘어서는 폐해로

antihakbul.jinbo.net

,

2021년 7~9월 살림살이

from 살림살이 2021. 10. 5. 10:25
구분 7월 8월 9월
회비 CMS 후원금 2,878,660 2,774,710 2,862,720
자동이체 후원금 40,000 40,000 40,000
연 후원금      
일시 후원금   50,000 350,000
사업비 연대사업 기금      
사업 후원금      
기타 수입 판매기금      
결산이자      
부채      
일자리 안정자금      
기타 257,140    
합계 금액 3,175,800 2,864,710 3,252,720
구분 7월 8월 9월
인건비 4대 보험비   780,540 390,270
급여 2,198,680 4,397,360 2,198,680
역량기금 50,000   50,000
상여금     549,670
퇴직금 적립 183,223   183,223
운영비 물품구입비 115,200   11,740
정수기 렌탈비 32,900 32,900 32,900
사무실 관리비 22,120 37,120 35,500
임대료 200,000 200,000 200,000
문자발송비      
통신비 33,830 32,370 35,560
홈페이지 관리비 10,000 10,000 10,000
사업비 내부사업비 100,000 170,900 114,000
연대사업비 90,000 21,000  
기타 세금 및 수수료      
기타      
합계 금액 3,035,953 5,682,190 3,811,543

'살림살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년 살림살이  (0) 2023.01.12
2021년 10~12월 살림살이  (0) 2022.01.12
2021년 3~6월 살림살이  (0) 2021.07.09
2021년 1~2월 살림살이  (0) 2021.03.16
2020년 12월 살림살이  (0) 2020.12.31
,

 

 

학교 비위에 무딘 칼, 광주시교육청 결자해지하라 - 광주드림

지난 7월, 필자가 속한 시민단체는 ‘광주D고교가 출근도 하지 않은 A씨를 정규직 사무직원으로 등록하여 10여 년 간 급여를 지급한 의혹’을 제기한 바 있다.의혹 제기 당시, 광주시교육청 사학

www.gjdream.com

 

- "비위 일벌백계 아닌 감싸기" 지적

지난 7월, 필자가 속한 시민단체는 ‘광주D고교가 출근도 하지 않은 A씨를 정규직 사무직원으로 등록하여 10여 년 간 급여를 지급한 의혹’을 제기한 바 있다.

의혹 제기 당시, 광주시교육청 사학정책팀은 해당 학교를 방문해 사실관계를 확인하였고, 밝혀진 비위가 중하다고 판단되어 즉시 감사 요청을 하였다.

학교, 교육청 산하기관 등 공직사회 청렴이 강조되고 있는 상황 속에서 이러한 중대한 비위가 발생한 점을 고려했을 때 즉각적인 대처가 필요했던 상황.

이 문제를 제기한 시민단체가 광주시교육청 감사요청 내용을 토대로 광주D학교 관계자들을 고발할 수 있었지만 교육청에 공을 넘기기로 결정했다.

광주시교육청이 직접 수사를 의뢰하는 등 강력한 부패척결 의지를 발휘해 공직사회에 대한 시민들의 신뢰를 회복하는 길을 열어주기로 한 것이다.

출근 안한 직원 10년간 급여 지급 솜방망이 처벌

그런데 광주시교육청은 ‘감사 중’이라는 이유로 공익제보자와 시민단체를 사건에서 철저히 배제하였고, 공익제보자 보호조치에 대한 의지도 보이지 않았다.

오히려 광주시교육청 사학정책팀이 명백한 비위 사실을 확인했음에도 감사 착수 1달 여 만에 뒷북 수사의뢰를 하여, 사건 관련자들이 입을 맞추거나 증거 인멸할 시간을 제공하였다.

또한, 수사 결과 이후 징계 수위를 정하는 일반적인 감사규칙을 깨고, 광주D고교 교장과 행정실장에 대해 정직 3개월 징계 요구하는 등 솜방망이 처벌을 하였다.

참고로 이 사건 핵심인물로 알려진 광주D고교 법인 이사장은 광주시교육청의 수사의뢰 대상에서 배제되었고 사무직원 A씨에게만 해임 징계 요구하는 등 개인에게 모든 책임을 돌리고 있는 실정이다.

이처럼 광주시교육청은 시민단체의 바람과 달리, 시간을 끌며 일방적으로 사건처리를 할 뿐 만 아니라 사건을 축소·은폐하려는 정황까지 보이고 있다.

비위를 일으킨 일선 학교 관계자들을 보호하는 광주시교육청의 이해하기 힘든 행태는 최근 한 사립유치원 사례를 통해서도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올해 광주시교육청 행정예산과는 유아교육의 공공성을 강화하고자, 기존 사립유치원을 공립으로 전환하는 방식의 매입형 유치원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그런데 비리 원장(장휘국 교육감 배우자에게 금품을 제공한 자)이 운영하는 곳을 매입형 유치원으로 선정한 것도 모자라, 선정과정에서 비위 의혹을 일으킨 S유치원을 감싸주고 있어 논란에 있다.

매입형 유치원 사업 신청을 위해 사업 동의를 구한 S유치원 운영위원회 회의록이 위조되었으며, 운영위원회 개최 사실 조차 거짓으로 드러난 것.

그 이후 매입형 유치원 관련 일련의 사태에 충격을 받은 교사들이 사직하는 등 전반적인 유치원 운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그 피해는 고스란히 원아에게 돌아가고 있다.

하지만 정작 이 사태를 책임져야 할 광주시교육청은 S유치원의 비위 의혹에 대해 함구하고, 학부모들의 지속적인 문제 제기에도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고 있다.

광주시교육청 공무원들의 실적주의 때문인지, 아니면 교육청 간부들의 무언의 압박 때문인지 모르지만, 모든 뒷감당은 지시대로 실행한 공무원들에게 향하고 있다.

매입형 유치원 사태는 하위직 책임 전가

시민단체가 매입형 유치원 사업 관련 공무원들을 직무유기로 고발하는 등 교육행정 불신으로 이어져 힘없는 하위직 공무원들에게만 책임이 전가되고 있는 것이다.

한편, 올해 화요정책회의 석상에서 장휘국 교육감은 ‘합리적이지 못한 지시에 대해서는 굴하지 말라.’고 발언한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매입형 유치원 사업, 광주D고교 관련 비위를 보며, 올바른 행정이 되도록 어느 누가 이의를 제기하고 장휘국 교육감에게 충언했을지 의문이 든다.

국·공립 취원율 확대라는 공익적 성과를 내기에 급급한 채 매입형 유치원 사업 관련 비위를 감싸주는 광주시교육청은 각성하고 교육감은 사과하길 바란다.

더불어, 그동안 시민들이 광주시교육청에게 보내온 신뢰를 원상회복하기 위해서라도 지금 당장 결자해지의 자세를 보여주길 바란다.

박고형준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시민모임 상임활동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