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인터넷신문 http://jnnews.co.kr/news/view.php?idx=206023

,

광주지역 방과후학교가 '다양한 교육 제공'이라는 본래 취지에 맞지 않게 운영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2일 '학벌없는사회를위한광주시민모임'이 광주시교육청으로부터 받아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광주지역 고등학교는 국·영·수 등 교과 관련 위주로, 사립초등학교는 영어 교육 위주로 운영되고 있는 것.

광주는 313개 초·중·고 가운데 2곳을 제외한 311곳에서 방과후학교를 운영하고 있다. 고등학교는 67곳에서 총 5678강좌, 국·공립 초교는 152곳에서 총 6246강좌, 사립 초교는 3곳에서 426강좌를 개설했다. 

고등학교는 전체의 94.3%가 교과 관련 강좌이고 특기적성 관련 강좌는 5.7%에 불과했다. 참여자 숫자도 고교생 15만1000명 중 교과 관련 강좌는 14만4530명이 참여해 95.7%, 특기적성 참여자는 6470명으로 4.3% 수준이었다. 

학벌없는사회는 "고등학교의 방과후학교는 정규수업의 연장선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라며 "광주시교육청은 고등학교의 경우 '학생 희망에 의해 반편성이 되는 수준별 심화·보충 학습'이 가능하다는 지침을 마련해 방과후학교가 입시교육을 부추기는 면죄부를 마련해줬다"고 지적했다.

초등학교의 경우 국·공립은 특기적성 관련 위주의 강좌 비중이 높았으나 사립은 교과 관련 강좌가 더 많고 특히 영어 교과 비율이 절반에 가까웠다. 

국·공립은 특기적성이 4806개로 76.9%, 교과 관련 강좌는 1440개로 23.1%였고 사립은 특기적성 195개 45.8%, 교과 관련 강좌 231개 54.2%였다. 

사립 초교의 전체 강좌 중 영어교과 비율은 44.4%로 국·공립의 8.2%보다 높았다.

학벌없는사회는 "방과후학교는 단순히 사교육비 경감이란 정책으로 접근해서는 안 되고 학생들에게 창의적이고 다양한 교육의 경험을 제공하는 것이 기본전제가 돼야 한다"며 "참여율, 강좌수 등 양적 성과를 내기보다 우수사례 발굴, 특색사업 운영 등 내실을 기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머니S http://moneys.mt.co.kr/news/mwView.php?no=2017080213218070455&outlink=1

,

학벌없는사회, 광주 관내 초중고 방과후학교 현황 분석결과 공개

광주 관내 초·중·고등학교의 방과후학교 수업이 고교는 입시 위주로, 사립초등학교는 영어 위주로 실시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내용은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이 광주시교육청으로 받은 '2017년 광주시 관내 초·중·고등학교의 방과후학교 현황(2017.4.30. 교육통계 기준)'을 분석한 결과에서 밝혀졌다.

광주관내 고교의 방과후학교는 국·영·수 등 교과관련 위주의 강좌로 운영되면서 '다양한 교육 제공'이란 방과후학교의 본래 취지를 살리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대다수 현직교원이 방과후학교 강사로 활동하는 등 입시교육의 팽배함을 동시에 드러냈다.

실제로 관내 고교 67개교는 총 5678 강좌의 방과후 수업에서, 교과 관련 강좌는 5355 강좌로 94.3% 차지했고, 반면 특기적성 강좌수는 323개로 5.7%에 불과했다.

학벌없는사회에 따르면 광주시교육청은 방과후학교를 고교의 경우 '학생 희망에 의해 반편성이 되는 수준별 심화·보충 학습'이 가능하다는 지침을 마련, 방과후학교가 입시교육을 부추기며 면죄부를 주고 정규수업 연장인 것으로 판단했다.

초등학교의 경우 국·공립초교는 특기적성 관련 위주의 강좌로 방과후학교를 운영했다. 관내 초교의 경우는 152개교가 총 6246 강좌수에서 교과관련 강좌는 23.1%인 1440개인 반면, 특기적성 강좌수는 4806개로 76.9%를 차지했다.

하지만 사립초교의 경우 교과관련 위주의 강좌 비중이 높았고, 사립초교의 전체강좌 중 영어교과가 절반에 가까운 것으로 드러나는 등 영어몰입교육이 날로 심각해지는 것으로 밝혀졌다.

학벌없는사회는 "방과후학교는 학생들에게 창의적이고 다양한 교육의 경험을 제공하는 것이 기본전제가 돼야 한다"면서 "참여율, 강좌수 등 양적 성과를 내기보다 우수사례 발굴, 특색사업 운영 등 내실을 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들은 아울러 시교육청을 향해 현재 방과후학교 운영이 지나친 교과위주로 운영되는 문제점을 제시하면서 △교과과목 강좌 지양 △특기적성 등 다양한 강좌 마련 △학습 선택권 보장 등 방과후학교 개선책 마련을 요구했다.

신홍관 기자  hksnews@ifocus.kr


포커스데일리 http://www.ulsanfocus.com/news/articleView.html?idxno=76354

,

플러스코리아 타임즈 http://www.pluskorea.net/sub_read.html?uid=94006

,

[투데이광주=문상준 기자] 광주 관내 초·고교에서 운영하는 방과후학교가 교과위주로 운영되고 있어 ‘다양한 교육 제공‘이란 당초 취지를 살리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일 학벌없는 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이하 학벌없는사회)에 따르면, 2017년 광주지역 초·중·고의 방과후학교 현황을 분석한 결과 고등학교는 국·영·수 위주의 강좌를 운영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고등학교 67개에서 5,678개의 강좌를 운영하고 있으며 94.3%(5355개)가 국·영·수 등 교과 관련 강좌로 나타났으며, 특기적성 관련 강좌는 5.7%(323개)에 불과했다.

고등학교 방과후학교 강사는 현직 교원이 대다수 활동하고 있어 입시교육의 폐해가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광주시교육청 내부 지침에는 고등학교의 경우 '학생 희망에 의해 반편성이 되는 수준별 심화·보충학습이 가능하다'고 규정해 입시교육을 부추기고 있다는 지적이다.

또한 초등학교의 경우 국·공립초는 총 강좌수 6,246개 중 특기적성 관련 강좌가 76.9%(4806개)를 차지했으나, 사립초교는 교과 관련 강좌가 54.2%로 더 큰 비중을 나타냈다.

한편 전체 강좌 중 영어교과 비율은 국·공립초가 8.2%에 불과한 반면, 사립초는 44.4%로 영어몰입교육이 심각한 것으로 조사됐다.

학벌없는사회는 "방과후학교는 단순히 사교육비 경감이라는 정책으로 접근해서는 안된다"며 "학생들에게 창의적이고 다양한 교육의 경험을 제공하는 것이 전제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현재 방과후학교 운영이 지나친 교과위주의 운영을 문제 제기하였으며, ▲ 교과과목 강좌 지양 ▲ 특기적성 등 다양한 강좌 마련 ▲ 학습 선택권 보장 등 방과후학교 개선책 마련을 요구하였다.고 밝혔다.

문상준 기자  oksan062@naver.com


투데이광주 http://www.todaygwangju.com/news/articleView.html?idxno=470503

,

광주광역시 관내 방과후 학교가 고등학교의 경우 국·영·수 등 교과관련 위주로 운영돼 ‘다양한 교육 제공’이란 방과후학교의 본래 취지를 살리지 못하고 또 대다수 현직교원이 방과후학교 강사로 활동하는 등 입시교육 위주로 진행되는 것으로 드러났다.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이 분석한 ‘2017년 광주광역시 관내 초·중·고등학교의 방과후학교 현황(2017.4.30. 교육통계 기준)’에 따르면, 국공립 초등학교는 특기적성 관련 위주로 방과후 학교가 운영됐다. 하지만 사립초등학교의 경우 교과관련 위주의 강좌 비중이 높았으며 사립초교의 전체강좌 중 영어교과가 44.4%로 절반에 가까운 것으로 드러나는 등 영어몰입교육이 심각한 것으로 드러났다. 국공립 초등학교의 영어교과 비율은 8.2%에 그쳤다.

특히 고등학교의 경우 ‘학생 희망에 의해 반편성이 되는 수준별 심화·보충 학습’이 가능하다는 지침을 마련해 방과후학교가 입시교육을 부추기는 것으로 조사됐다. 교과 관련 강좌수 94.3%에 달했고 현직교원들의 강사 참여율도 89.5%에 달했다.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은 "지나친 교과위주의 방과후학교 운영을 지양해야 한다"면서 ▲ 교과과목 강좌 지양 ▲ 특기적성 등 다양한 강좌 마련 ▲ 학습 선택권 보장 등 방과후학교 개선책 마련을 요구했다.


뉴스포털1 http://www.civilreporter.co.kr/news/articleView.html?idxno=50988

,

고교는 입시 위주…사립초교, 영어 위주 강좌 운영

[데일리모닝] 홍갑의 기자 = 광주지역 고등학교에서 운영되고 있는 방과후학교가 국어·영어·수학 등 교과위주로 운영, 본래 취지를 살리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2일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학벌없는사회)에 따르면 2017년 광주지역 초·중·고의 방과후학교 현황을 분석한 결과 고등학교는 국·영·수 위주의 강좌를 운영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광주지역 67개 고등학교에서 5678개의 방과후학교 강좌를 운영하고 있으며, 이중 94.3%(5355개)가 국·영·수 등 교과 관련 강좌로 나타났다. 특기적성 관련 강좌는 5.7%(323개)에 불과했다.

게다가 강좌 참여 학생 15만1000명 중 14만4530명(95.7%)이 국·영·수 등 교과 관련 강좌에 참여하고 특기적성 관련 강좌는 4.3%(6470명)에 불과했다.

방과후학교 활동 강사 2466명 중 22383명(96.7%)이 현직 교원으로 외부강사 참여율은 3.3%(83명)로 저조했다.

광주시교육청 내부 지침에는 고등학교의 경우 ‘학생 희망에 의해 반편성이 되는 수준별 심화·보충 학습’이 가능하다고 규정해 방과후학교가 입시교육을 부추기고 면죄부를 마련해 주었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초등학교의 경우 국·공립초는 총 강좌수 6246개 중 특기적성 관련 강좌가 76.9%(4806개)를 차지했으나, 사립초교는 교과 관련 강좌가 54.2%로 더 큰 비중을 나타냈다.

전체 강좌 중 영어교과 비율은 국·공립초가 8.2%에 불과한 반면, 사립초는 44.4%로 영어몰입교육이 심각한 것으로 조사됐다.

광주지역 초·중·고교생 19민5356명 중 10만8910명(55.75%)이 방과후학교 강좌를 수강하고 있다.

학벌없는사회는 "방과후학교는 단순히 사교육비 경감이라는 정책으로 접근해서는 안된다"며 "학생들에게 창의적이고 다양한 교육의 경험을 제공하는 것이 전제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데일리모닝 http://www.dmorning.kr/news/articleView.html?idxno=28463

,

(광주가톨릭평화방송) 심진석기자 = 정부가 최근 채용의 공정성과 평등성을 제고하기 위해 블라인드 채용 의무화를 추진하고 있는 가운데 정작 지역 관할 공공기관들은 블라인드 채용 기준을 준수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이 공공기관 경영정보 공개 시스템을 통해 지난 14일부터 25일까지 채용공고를 낸 광주광역시 관할 16개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블라인드 채용 기준을 준수하지 않는 기관은 모두 13개에 달하는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주된 위반사항으로는 학력 표기가 13건으로 가장 많았으며, 출신학교 12건, 학업성적 10건, 어학성적 9건, 사진 5건, 신체조건 1건 등이었습니다. 

특히, 어학능력을 필요로 하는 직무인 경우 사전에 그 사유를 채용공고 또는 직무기술서에 명시해야 하지만, 어학성적을 요구한 채용공고 9건 가운데 1건만 직무연관 사유를 명시한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각종 차별과 인권침해적 요소를 입사지원서에 표기하게 하는 것이 자칫 응시자들의 편견과 심리적 박탈감을 줄 수 있다는 점에서 개선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은 “블라인드 채용이 전 공공기관에 도입될 수 있도록 정부에 상시, 관리감독을 촉구하겠다”며 “향후 지역 공기업 및 지방자치단체 산하 출자, 출연기관에 대해서도 블라인드 채용 도입 여부 실태조사를 연이어 진행 할 예정이다”고 밝혔습니다.

광주카톨릭평화방송 http://www.kjpbc.com/xboard/nboard.php?mode=view&number=147363&tbnum=1

,

정부 '블라인드 채용'지침 불구

지역 공고 16건 중 3건만 적용


문재인 정부의 공공기관 블라인드 채용 방침에도 불구하고 광주지역 상당수 공공기관이 지침을 따르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류, 면접과정에서 학력, 출신학교(지역), 신체 조건, 가족관계 등 인적사항을 적시하도록 하거나 묻는 것을 금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해당 내용을 요구하고 있는 것이다. 


27일 학벌없는 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이하 학벌없는사회)에 따르면 정부의 블라인드 채용 가이드라인 발표 후인 지난 14일부터 25일까지 광주지역 근무지 기준 공공기관의 채용공고 현황을 조사한 결과 총 16건 중 정부 방침을 이행한 곳은 단 3곳으로 확인됐다.


해당 가이드라인을 도입하지 않은 13건은 직무능력과 연관이 없는 응시자의 개인정보를 입사지원서에 작성하도록 했다. 학력 기재가 13건으로 가장 많았고 출신학교 12건, 학업성적 10건, 어학성적 9건, 사진 5건, 신체조건 1건, 종교 1건 순으로 집계됐다. 


어학능력을 필요직무로 한 경우에만 사전에 사유를 채용공고 또는 직무기술서에 명시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어학성적을 요구한 채용공고 9건 중 단 1건만 사유를 명시했다.


학벌없는사회는 "각종 차별과 인권침해 요소를 입사지원서에 기재하게 하는 것은 특정 요소에 의해 차별하거나, 특정 출신자를 우대 또는 배제하는 사회적 편견으로 이어진다"며 "이는 개인의 능력에 따른 인재채용을 저해하고 응시자들의 심리적 박탈감과 열등감을 초래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블라인드 채용이 전 공공기관에 도입될 수 있도록 정부에 상시적인 관리·감독을 촉구했다"며 "향후 지역 공기업과 지방자치단체 산하 출연·출자기관에 대해서도 블라인드 채용 도입 여부 실태조사를 진행하겠다"고 밝혔다.


주현정기자 doit850@gmail.com


무등일보 http://honam.co.kr/read.php3?aid=1501167600531309011

,

광주 16건 중 3건만 도입


정부의 '블라인드 채용' 방침이 발표된 뒤에도 광주 지역 대부분의 공공기관들이 이를 따르지 않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시민단체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이 정부의 블라인드 채용 가이드라인 배포 다음 날인 지난 14일부터 25일까지 알리오(공공기관 경영정보 공개 시스템)를 통해 공공기관(광주광역시 근무지 기준) 채용공고 현황을 조사한 결과, 16건 중 3건만이 블라인드 채용을 도입했다는 것이다.


블라인드 채용은 입사지원서에 사진, 나이, 성별, 가족 관계, 출신 지역, 출신 학교, 전공, 성적을 적지 못하게 하는 것이다. 그런데 광주 지역 공공기관 13건의 채용공고엔 응시자의 개인 정보를 입사지원서에 작성하도록 요구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 가운데 가장 많이 요구한 인적사항은 학력으로 13건에 달했으며, 출신학교(12건), 학업성적(10건), 어학성적(9건), 사진(5건), 신체조건(1건), 종교(1건) 등의 순이었다.


블라인드 채용은 불필요한 선입견을 없애고 실력 위주로 채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문재인 대통령의 지시로 332개 공공기관에 도입한 제도다. 특히 입사 원서를 내도 서류 심사조차 통과하지 못하고 외면당하는 지방대 출신들은 크게 환영하며 반기고 있다. 취준생들이 업무와 무관한 자격증 따기 등으로 비용과 시간을 소비하는 일도 사라질 것으로 기대된다.


대부분의 지역 공공기관들이 정부의 블라인드 채용 방침을 외면하고 있는 것은 기강 해이가 아닐 수 없다. 정부가 철저한 관리 감독을 통해 조기에 안착되도록 해야 한다. 공공기관이 선도적으로 도입해야 민간기업에도 확산될 수 있다.


전남일보 http://www.jnilbo.com/read.php3?aid=15011676005288000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