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광역시 관내 방과후 학교가 고등학교의 경우 국·영·수 등 교과관련 위주로 운영돼 ‘다양한 교육 제공’이란 방과후학교의 본래 취지를 살리지 못하고 또 대다수 현직교원이 방과후학교 강사로 활동하는 등 입시교육 위주로 진행되는 것으로 드러났다.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이 분석한 ‘2017년 광주광역시 관내 초·중·고등학교의 방과후학교 현황(2017.4.30. 교육통계 기준)’에 따르면, 국공립 초등학교는 특기적성 관련 위주로 방과후 학교가 운영됐다. 하지만 사립초등학교의 경우 교과관련 위주의 강좌 비중이 높았으며 사립초교의 전체강좌 중 영어교과가 44.4%로 절반에 가까운 것으로 드러나는 등 영어몰입교육이 심각한 것으로 드러났다. 국공립 초등학교의 영어교과 비율은 8.2%에 그쳤다.
특히 고등학교의 경우 ‘학생 희망에 의해 반편성이 되는 수준별 심화·보충 학습’이 가능하다는 지침을 마련해 방과후학교가 입시교육을 부추기는 것으로 조사됐다. 교과 관련 강좌수 94.3%에 달했고 현직교원들의 강사 참여율도 89.5%에 달했다.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은 "지나친 교과위주의 방과후학교 운영을 지양해야 한다"면서 ▲ 교과과목 강좌 지양 ▲ 특기적성 등 다양한 강좌 마련 ▲ 학습 선택권 보장 등 방과후학교 개선책 마련을 요구했다.
뉴스포털1 http://www.civilreporter.co.kr/news/articleView.html?idxno=50988
'각종 매체 > 언론보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광주 관내 초·중·고교, 방과후학교 현황 분석결과 공개 (0) | 2017.08.03 |
---|---|
광주 초·고교 방과후학교 교과위주 편중 (0) | 2017.08.03 |
광주 고교, 방과후학교 본래 취지 ‘무색’ (0) | 2017.08.03 |
블라인드 채용 지역 대다수 공공기관 외면 (0) | 2017.08.01 |
광주 공공기관 채용, 학력 기재 여전 (0) | 2017.07.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