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블라인드 채용'지침 불구

지역 공고 16건 중 3건만 적용


문재인 정부의 공공기관 블라인드 채용 방침에도 불구하고 광주지역 상당수 공공기관이 지침을 따르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류, 면접과정에서 학력, 출신학교(지역), 신체 조건, 가족관계 등 인적사항을 적시하도록 하거나 묻는 것을 금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해당 내용을 요구하고 있는 것이다. 


27일 학벌없는 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이하 학벌없는사회)에 따르면 정부의 블라인드 채용 가이드라인 발표 후인 지난 14일부터 25일까지 광주지역 근무지 기준 공공기관의 채용공고 현황을 조사한 결과 총 16건 중 정부 방침을 이행한 곳은 단 3곳으로 확인됐다.


해당 가이드라인을 도입하지 않은 13건은 직무능력과 연관이 없는 응시자의 개인정보를 입사지원서에 작성하도록 했다. 학력 기재가 13건으로 가장 많았고 출신학교 12건, 학업성적 10건, 어학성적 9건, 사진 5건, 신체조건 1건, 종교 1건 순으로 집계됐다. 


어학능력을 필요직무로 한 경우에만 사전에 사유를 채용공고 또는 직무기술서에 명시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어학성적을 요구한 채용공고 9건 중 단 1건만 사유를 명시했다.


학벌없는사회는 "각종 차별과 인권침해 요소를 입사지원서에 기재하게 하는 것은 특정 요소에 의해 차별하거나, 특정 출신자를 우대 또는 배제하는 사회적 편견으로 이어진다"며 "이는 개인의 능력에 따른 인재채용을 저해하고 응시자들의 심리적 박탈감과 열등감을 초래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블라인드 채용이 전 공공기관에 도입될 수 있도록 정부에 상시적인 관리·감독을 촉구했다"며 "향후 지역 공기업과 지방자치단체 산하 출연·출자기관에 대해서도 블라인드 채용 도입 여부 실태조사를 진행하겠다"고 밝혔다.


주현정기자 doit850@gmail.com


무등일보 http://honam.co.kr/read.php3?aid=15011676005313090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