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공공기관 16건 중 3건만 블라인드 채용 시행


광주 전남 공공기관들이 학력 등을 묻지 않는 블라인드 채용을 '외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벌 없는 사회를 위한 광주 시민모임(이하 시민모임)이 알리오(공공기관 경영정보 공개시스템 www.alio.go.kr)를 통해, 7월 14일부터 25일까지 광주광역시 소재 공공기관 채용공고 현황을 조사한 결과 공고된 총 16건 중 3건 만이 블라인드 채용을 도입한 것으로 집계됐다. 


그 외 13건의 채용공고는 직무능력과 연관이 없는 채용 응시자의 개인정보를 입사지원서에 작성하도록 요구했다.  


이 가운데 가장 많이 요구되는 인적사항은 학력으로 13건에 달했으며, 그 뒤로 출신학교(12건), 학업 성적(10건), 어학 성적(9건), 사진(5건), 신체조건(1건), 종교(1건) 순이었다. 


어학 능력을 있어야 하는 직무인 경우 사전에 그 사유를 채용 공고나 직무 기술서에 명시해야 함에도 어학성적을 요구한 채용공고 9건 중 1건만 직무연관 사유를 명시했다. 


시민모임은 이처럼 각종 차별과 인권침해 요소를 입사지원서에 기재하게 하는 것은 특정 요소에 의해 차별하거나, 특정 출신자를 우대 또는 배제 더 나아가 사회적 편견으로 이어진다고 지적했다. 


또한, 개인의 능력에 따른 인재채용을 저해하고, 채용 응시자들의 심리적 박탈감과 열등감을 초래하는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다고 덧붙였다.


학벌 없는 사회를 위한 광주 시민 모임은 이런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고 블라인드 채용이 모든 공공기관에 도입하도록 정부에게 상시적인 관리·감독을 촉구했다.


한편, 정부는 블라인드 채용 추진방안을 지난 5일에 발표했고,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블라인드 채용 가이드라인을 13일에 배포했다. 


이는 평등한 기회와 공정한 과정을 위한 채용방안으로, 332개 공공기관은 가이드라인 배포 이후부터 블라인드 채용을 의무적으로 도입해야 한다.


블라인드 채용의 핵심은 학력, 출신학교(지역), 신체 조건, 가족 관계 등 인적사항을 서류 전형이나 면접 과정에서 적거나 묻는 것을 금지하는 방식이다.


이에 따라 앞으로 고용현장에서는 각종 차별과 인권침해가 줄어들고, 교육현장에서는 불필요한 입시경쟁과 스펙 쌓기가 다소 해소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노컷뉴스 http://www.nocutnews.co.kr/news/4822499#csidx297633994f44cff960b9004ecd34ea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