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지역 방과후학교가 '다양한 교육 제공'이라는 본래 취지에 맞지 않게 운영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2일 '학벌없는사회를위한광주시민모임'이 광주시교육청으로부터 받아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광주지역 고등학교는 국·영·수 등 교과 관련 위주로, 사립초등학교는 영어 교육 위주로 운영되고 있는 것.
광주는 313개 초·중·고 가운데 2곳을 제외한 311곳에서 방과후학교를 운영하고 있다. 고등학교는 67곳에서 총 5678강좌, 국·공립 초교는 152곳에서 총 6246강좌, 사립 초교는 3곳에서 426강좌를 개설했다.
고등학교는 전체의 94.3%가 교과 관련 강좌이고 특기적성 관련 강좌는 5.7%에 불과했다. 참여자 숫자도 고교생 15만1000명 중 교과 관련 강좌는 14만4530명이 참여해 95.7%, 특기적성 참여자는 6470명으로 4.3% 수준이었다.
학벌없는사회는 "고등학교의 방과후학교는 정규수업의 연장선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라며 "광주시교육청은 고등학교의 경우 '학생 희망에 의해 반편성이 되는 수준별 심화·보충 학습'이 가능하다는 지침을 마련해 방과후학교가 입시교육을 부추기는 면죄부를 마련해줬다"고 지적했다.
초등학교의 경우 국·공립은 특기적성 관련 위주의 강좌 비중이 높았으나 사립은 교과 관련 강좌가 더 많고 특히 영어 교과 비율이 절반에 가까웠다.
국·공립은 특기적성이 4806개로 76.9%, 교과 관련 강좌는 1440개로 23.1%였고 사립은 특기적성 195개 45.8%, 교과 관련 강좌 231개 54.2%였다.
사립 초교의 전체 강좌 중 영어교과 비율은 44.4%로 국·공립의 8.2%보다 높았다.
학벌없는사회는 "방과후학교는 단순히 사교육비 경감이란 정책으로 접근해서는 안 되고 학생들에게 창의적이고 다양한 교육의 경험을 제공하는 것이 기본전제가 돼야 한다"며 "참여율, 강좌수 등 양적 성과를 내기보다 우수사례 발굴, 특색사업 운영 등 내실을 기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머니S http://moneys.mt.co.kr/news/mwView.php?no=2017080213218070455&outlink=1
'각종 매체 > 언론보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광주 방과후 학교 본래 취지 무색 고교 ‘입시’·사립초교 영어 집중 (0) | 2017.08.03 |
---|---|
광주 관내 초.중.고교, 방과후학교 현황 분석결과 공개 (0) | 2017.08.03 |
"방과후학교, 고교는 입시위주…사립초교는 영어 위주" (0) | 2017.08.03 |
광주 관내 초·중·고교, 방과후학교 현황 분석결과 공개 (0) | 2017.08.03 |
광주 초·고교 방과후학교 교과위주 편중 (0) | 2017.08.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