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예술교육 기회 확대 위해 사회적배려대상자 전형 마련해야

 

최근 광주광역시교육청은 고등학교 입학전형위원회를 열어 광주예술고등학교를 포함한 관내 고등학교의 2026학년도 신입생 입학전형을 승인했다.

 

- 그동안 우리 단체는 특수목적고인 광주예술고가 신입생 모집 시 일정 비율을 성적 우수자에게 할당한 것은 보편 교육 원칙에 위배된다.’고 비판해왔다. 이에 학교는 2026학년도부터는 무용과(댄스스포츠)를 제외한 3개 학과에서 관련 특별전형을 폐지하기로 했다.

 

2025학년도 특별전형 2026학년도 특별전형
전공과 지원자격 전형요소 및
반영비율
전형요소 및
반영비율
내신성적 (100) 실기평가
(100)
내신성적 (100) 실기평가
(100)
무용과 대한 댄스스포츠경기연맹이 공인·승인하는 전국규모대회에서 모던 또는 라틴 5종목 이상 입상실적이 있는 자 90% 10% 90% 10%
국악과 중학교 내신 석차백분율이 50% 이내인 자 50% 50% 폐지
한국화과 중학교 내신 석차백분율이 50% 이내인 자 100% 없음 폐지
미술과 중학교 내신 석차백분율이 20% 이내인 자 100% 없음 폐지

2025-2026학년도 광주예술고등학교 신입생 입학 관련 특별전형 비교표

 

- 예술학교 입학 기회를 내신 성적으로 왜곡하는 폐해가 일정 부분 해소된 것에 우리 단체는 환영하는 바이며, 이를 통해 헌법상 '교육의 기회균등' 원칙이 더 적극적으로 실현될 것으로 기대하는 바이다.

 

- 다만, 아쉬운 점도 존재한다. 지난해 고교 입학전형위원회의 권고에도 불구하고, 광주예술고는 끝내 사회적배려대상자 전형을 마련하지 않았다. 고등교육에서는 경제적사회적 약자를 위한 예술교육 기회를 확대하고자 노력하고 있는데, 정작 초중등교육 단계에서는 희망의 사다리가 끊겨 있는 것이다.

 

- 지원자격-


고등학교 졸업 학력이 인정되는 학교를 졸업한 자(20262월 졸업예정자 포함) 또는 관계 법령에 의하여 이와 동등 이상의 학력이 있다고 인정되는 자(고등학교 졸업학력 검정고시 합격자 및 외국 소재 고등학교 졸업(예정)자 포함) 로서,


지원서 접수 마감일 기준으로 아래 조건 중 하나에 해당하는 자
.국민기초생활 보장법2조 제1호에 따른 수급권자 또는 동조 제2호에 따른 수급자
.국민기초생활 보장법2조 제10호에 따른 차상위계층 중 차상위 자활, 차상위 장애수당, 차상위 장애인연금 부가급여, 차상위 건강보험본인부담금 경감, 한부모 가정 지원 중 하나 이상의 급여를 받고 있는 가구의 학생
. 차상위계층 확인서 발급 대상 가구의 학생

한국예술종합학교 예술사(대학)과정 - 2026학년도 정원 외 전형(교육기회균등) 신입생 모집요강

 

그동안 교육 당국은 과학 분야에 편중된 영재교육을 예술 분야로 확대하고, 영재교육의 중요성을 사회적으로 환기하고자 광주 예술영재교육원을 거쳐 예술중, 예술고로 이어지는 체계적인 지역 예술교육 시스템을 구축해왔다.

 

- 하지만 사교육 중심, 엘리트 중심이라고 비판받아 온 영재교육의 문제점이 유독 예술 분야에서는 해소되지 않고 있다. 광주예술고가 일반전형을 통해 신입생을 선발할 때도 영재성, 성장가능성에 주목하기보다 우수한 내신, 선행학습 여부가 중시되고 있는 것만 봐도 그렇다. 여기엔 부모의 경제력이 반영되기 쉽다.

 

- 지금이라도 이러한 부작용을 해소하고, 사회적 배려대상자를 위한 전형을 마련하는 것이 매우 상식적이며 시급한 과제임을 광주시교육청은 인식해야 할 것이다.

 

영재성은 타고난 것이면서도 환경에 따라 크게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공교육을 책임지는 교육청과 학교는 영재성을 지녔음에도 사회적, 경제적 여건 탓에 성장 기회를 박탈당하는 인재가 없는지 끊임없이 살펴야 한다.

 

- 이에 우리 단체는 사회적 배려 대상자에게 예술교육 기회를 늘리는 방향으로 광주예술고(광주예술중 포함) 입학전형을 개선할 것을 광주시교육청에 촉구하는 바이다. 나아가 이들이 예술가로서 자기 정체성을 발견하고, 성장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지원할 것을 요구하는 바이다.

 

2025. 7. 3.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시민모임

,

2025년 5~6월 살림살이

from 살림살이 2025. 7. 2. 13:48
구분 5월 6월
후원금 CMS 후원금 3,429,690 3,639,020
자동이체 후원금 10,000 10,000
일시 후원금 1,350,630  
기타 4,368,352 66,247
총계 9,158,672 3,715,267
5월 6월
인건비 4대 보험비   1,034,460
급여 2,692,050 2,692,050
원천세 9,390 9,390
지방소득세 930 930
급여 미지급(2024년)    
식비, 공제회비 110,000 110,000
상여금    
퇴직금 225,198 225,198
퇴직금 미지급(2024년)    
운영비 물품구입비 115,300 2,730
정수기 렌탈비    
사무실 관리비 75,290 13,420
사무실 임대료 250,000 250,300
문자발송비    
통신비 36,090 51,700
홈페이지 관리비 10,000 10,000
사업비 내부사업비 12,748 1,208,340
연대사업비    
기타 3,901,000 1,000,500
총계 7,437,996 6,609,018
구분 이월금 수입 지출 입금 - 지출 총 잔액
5월 18,677,989 9,158,672 7,437,996 1,720,676 20,398,665
6월 20,398,665 3,715,267 6,609,018 - 2,893,751 17,504,914

'살림살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1~4월 살림살이  (0) 2025.04.23
2024년 살림살이  (0) 2025.01.03
2023년 살림살이  (0) 2024.02.15
2022년 살림살이  (0) 2023.01.12
2021년 10~12월 살림살이  (0) 2022.01.12
,

최근 과도한 학습 시간, 전자기기 사용 증가 등으로 신체활동이 줄어들자, 척추측만증, 비만 등 체형이 불균형한 학생이 늘고 있다. 이 가운데, 광주광역시교육청은 학생 불균형체형 예방교육 지원 조례를 근거로 다양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 그런데, 일부 사업에 실효성 논란, 예산 낭비, 특정 기관이나 업체를 위한 특혜 의혹 등이 불거지고 있다.

 

광주시교육청은 2024년부터 관내 초등학교 6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보호자의 동의를 받아 척추측만증 진단검사 사업을 실시하고 있다. 척추측만증 예방을 위해서 조기 발견이 중요하기 때문이라고 한다.

 

- 하지만 이미 중 1학년 학생 건강검진을 할 때, 흉부 엑스선 촬영으로 척추측만증을 진단하고 있어, 불과 1년 사이에 동일 검사가 중복되고 있다. 방사선에 노출되는 것도 좋을 일이 없는데, 보람도 없이 돈만 쓴다는 비판이 나온다.

 

- 또한, 정규수업 시간 중 출장 형태로 진단검사가 이루어져 학생들의 학습권도 침해되고 있다.

 

- 해당 검사는 ◐▥ 의료기관이 2년 연속 맡고 있는데, 통상적인 공개경쟁이 아닌 업무협약을 근거로 계약이 추진되고 있다. 이로써 2025년 기준 11천여만 원이 편성된 이 사업은 특정 기관에 집중적으로 예산이 집행되었다.

 

한편, 광주시교육청은 학생 불균형 체형 예방 일환으로 올해 처음으로 건강증진 진단기구 구입비 지원 사업을 시행했다. 초등학교 4, 중학교 3곳 등 총 7개 학교를 선정해 각 학교당 2천만 원(14천만 원)을 지원했으나, 특정 업체의 제품에 계약이 집중된 사실이 드러났다.

 

(단위 : 만원)

사업선정
학교명
풍영초 고실중 첨단초 미산초 광주양산초 성덕중 수완하나중
계약 업체명
/계약금액
A/1998 B/1980 C/1995 C/1995 C/1900
D/100
C/1909
D/100
C/1900
D/100
비고     트레드밀 포함 가격 D사 제품 트레드밀

2025년 건강증진(불균형 체형 예방) 진단기구 구입 지원 사업

 

- 선정 과정에서도 일부 학교는 관리자(교장 등)의 요구에 의해 신청이 이루어졌는데, 보건교육 현장에서는 실효성과 활용도가 낮다고 평가하고 있다. 고가 장비가 애물단지로 전락할 상황인데, 교육청은 현장을 들여다보지도 않고 있다.

 

이처럼 불균형 체형 예방 사업이 목적 달성은커녕, 예산 낭비와 특혜 논란으로 얼룩지고 있다. 이에 우리 단체는 해당 사업을 전면 재평가할 것과 보건교육 현장의 의견 수렴을 통한 내실 있는 정책을 추진해 나갈 것을 광주시교육청에 촉구하는 바이다.

 

2025. 7. 2.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시민모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