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씨가 많이 수그러들었죠? 안녕하세요. 학벌없는사회 광주모임입니다.

홈페이지 메일링을 통해 <교육담론>을 준비한다고 공지를 했는데요.


현재 오방창환, 김영대, 정창호, 지훈, 박고형준 5명 회원들이 매주 모여 글쓰기, 편집을 도모하고 있답니다.


근데 책자를 만든다는 게 쉬운 일은 아니네요. ^^


단어 뜻 그대로 담론을 만들기 위해, 회원 여러분들의 생각을 <원고>로 받아 만들어가고자 합니다.


적극적인 참여를 바라며…

 
<교육담론 원고모집>

□ 교육담론 소개 : 학벌차별과 교육에 주목하는 잡지. 교육영역 간 서로 다른 가치와 운동 사이를 횡단하며 대화하며 다양한 시각과 상상력으로 현장 교육운동과 만들어 나가는 담론문집입니다.


□ 교육담론의 방향과 성격 : 교육을 주제로 한 다양하고 풍부한 이야기를 담으려고 노력하지만 교육에 대한 이야기만 나오는 잡지는 아닙니다.<교육담론>은 사람 사는 이야기에 주목하고, 교육의 이웃 의제와 횡단을 시도하며, 다양한 시각과 비판적 상상력으로 이론가 현장의 만남을 모색하고자 합니다.


소수자, 가난한 사람들, 억압받는 사람들, 저항하는 사람들의 이야기는 곧 나의 이야기입니다. 이런 이야기와 더불어 교육이 우리 현실에서 어떤 의미와 활동을 하고 있는지 움직이는 지점을 담아내는 교육담론은 독자들에게 또 다른 가치체계를 전달할 것입니다. 살아가는 데 필요한 삶의 비타민이 바로 <교육담론>입니다.


□ 발간일정 : 2009년 1월 1일 창간


□ 투고할 내용의 종류 : 교육과 관련한 이야기 (에세이, 서평, 사례, 보고서, 주장, 인터뷰, 만화, 사진 등 다양한 방식 가능)


□ 접수
http://cafe.daum.net/edudiscussion (교육담론 임시홈페이지-기고 게시판)

□ 분량 : 자유


□ 투고자격 : 누구나


□ 기한 : 상시적. *창간호는 11월 말까지 보내주셔야 합니다.
,

인권은인간의 보편적인 권리입니다. 우리가 주장하는 학벌폐지 또한, 인권을 보장받기 위한 하나의 구호지요.

현대 사회에 이르기까지 개인은 자신의 인권을 보호받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해왔습니다. 그렇다면 타인에 대한 인권 존중은 얼마나 실현되고 있을까요?

화려한 레드카펫도 현란한 볼거리도 없는, 그러나 사회의 낮은 곳을 향한 따뜻한 시선을 느낄 수 있는 영화제.

오는 19일 개막해 22일까지 4일간 열리는 제 14회 광주인권영화제가 열립니다.



14회 광주인권영화제

기간 : 2009 11 19~22

장소 : 전남대학교 용봉문화관

 

<영화상영시간표>

 

11 19 ()

11:00 나는 엄마계의 이단아(52)

12:40 어린광부(45)

13:40 아마추어의 반란(80)

15:15 기억하는 공간(13)

His Name Is Trevor(12'29")

무죄 주장 (3743)

16:40 텐텐(103)

19:30 개막식

20:30 떠나지 못하는 사람들(60)- 개막작. GV

 

11 20 ()

11:00 누가 치아비치아를 죽였나(81)

13:00 퀴어 스폰:퀴어의 아이들(30)

13:50 기타이야기(104)

15:50 꼬마사장님과 키다리조수(25)

사진 속 그녀(1745)

Alien Blues(19'31")

17:10 2000년대 한국문학 속 불안한 청춘들(286)

18:30 학교를 다니기 위해 필요한 것들(34)

19:20 개청춘(90)

21:00 씨네토크-20, 시대를 말하다

(개청춘, 학교를 다니기 위해 필요한 것들, GV)

 

11 21 ()

10:50 국경은 없다(64')

12:40 조금 불편한 그다지 불행하지 않은 0.24(33')

13:30 태백, 잉걸의 땅(74')

15:00 저널리스트(52')

16:10 버마 VJ (84')

17:45 버라이어티 생존토크쇼(72')

19:10 레즈비언 정치도전기 (117') -GV

 

11 22 ()

11:00 Good Man(13'48")

아빠가 필요해(10)

내친구 고라니(411)

티타임(4)

외출(11)

Rolling(630)

12:50 부르크만 여성노동자(88)

14:35 소년마부(44)

15:35 오프스크린(55)

16:45 조난 프리타(67)

18:30 폐막식

19:30 평촌의 언니들(113) - 폐막작 GV

,
안녕하세요. 올 겨울을 뜨겁게 보낼 세미나를 가집니다.

관심있는 분들의 뜨거운 참여 바랍니다.

 시간 : 매주 화요일 저녁730
장소 : 연구공간 환대 <전남대학교 상대 부근>
 여는 이 : 학벌없는사회 광주모임 소식지 <교육담론>
               cafe.daum.net/edudiscussion
 문의 : 070-8234-1319


『페다고지』는 이미 우리에게도 낯설지 않은
, 아니 어느 한때 금서 목록의 한 칸을 차지했을 만큼 잘 알려진 책이다. 이 책은 1970년대 후반부터 1980년대까지 암울했던 군사 독재 시기 금서 목록에 올라 비합법적으로 유통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진보적 지식인, 노동자, 학생 들에게 민중의 의식을 깨우치는 책이자 교육자 자신이 교육받는 책으로 널리 읽혀진 바 있다. 이 책에서 프레이리는 진정으로 '불순'한 교육은 가치를 개입시키는 교육이 아니라 과학의 이름으로 가치를 배제하면서 현존하는 억압을 은폐하는 교육이라고 말한다. 그에게 있어 세상을 배우는 것, 즉 교육은 세상을 바꾸는 것과 같은 문제였던 것이다.

 

“가르친다는 것은 희망을 말하는 것, 배운다는 것은 성실을 가슴에 새기는 것”

― 루이 아라공(L. Aragon ; 1897~1970, 프랑스의 민중 시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