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사진은 지난주 광주어린이청소년친화도시 추진협의회 총회모습. 성황리에 잘 마쳤답니다. 어린이청소년이 도시에서 어떻게 행복하게 살 것인가? 이 추상적인 질문에 우리 모두가 상상하고 만들어갈 과제가 남았네요. 추진협의회는 단체나 개인 누구나 참여 가능하고, 의견을 개진할 수 있답니다. 조만간 토론회도 개최할 예정인데요. 지정토론이 없이 하는만큼 참가하신 분들의 의견을 최대한 반영하고자 합니다. 토론회 공지는 조만간 드리도록 하고요. 그럼 총총총!

,

“나는 00학교 출신이 아닌, 사회적 존재” 

특정학교 합격 게시물을 반대하는 금요캠페인 참가자를 모집합니다.


▶ 언제 : 매주 금요일 아무 때나 (오후5시 이후 권장)

▶ 어디서 : 광주광역시 동구 장동 학원가 (중앙도서관 사거리 부근)

▶ 어떻게 : 약1시간 동안, 자기 소개를 적은 피켓 들기

▶ 피켓예시 : 나는 철학을 공부하는 사람입니다 / 나는 농부를 꿈꾸는 사람입니다. 

              나는 자급 자족을 위해 노력하는 사람입니다. / 나는 나입니다.

▶ 신청 : 인터넷 http://goo.gl/IkJdDK

          전화 070-8234-1319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


우리주변에 있는 학교나 사설학원을 살펴보면, 흔히 말하는 명문대 합격을 알리는 게시물을 자주 발견할 수 있습니다. 특정 누군가 대학에 진학했다는 것을 축하하는 순수한 의도로 보일 수 있지만, 사실 다른 이면에는 어느 학교출신이란 것을 과시하고 싶은 게 주된 목적일 것입니다. 이처럼 인간이란 사회적 존재가 의식을 규정하는 것이 아니라, 학벌이란 사회적 의식이 존재를 규정하는 시대로 건너가고 있습니다.

그런데 문제가 있습니다. 전인적 주체로서 어떤 의미의 삶을 살 것인가를 고민해야 하는데, 특정학교를 가기 위해 혹은 돈을 많이 벌기 위해 무수한 경쟁을 하고 있는 것입니다. 즉, 인간의 삶이 점점 경제적으로 전락하고 있는 것입니다. 결국 이러다보면 상대방에 대한 관심사나 평가 기준이 '돈을 얼마나 버느냐'로 한정될 수밖에 현실에 부딪히게 됩니다. 

이런 경제적 현실 속에서 대부분의 사람들이 경쟁하는 가운데, 인간본연의 가치를 중요시 여기는 사람들이 사회 밖으로 출현하고 있습니다. 그동안 ‘특정학교 합격 게시물 반대 캠페인’에 참여한 사람들도 그 부류입니다. 본인들이 꿈꾸는 가치가 제대로 평가받기 위해, 출신학교를 밝히는 사회적 분위기를 거부하며, 이상을 위해 살아가고 있는 것입니다.

이처럼 누구나 추구하는 이상이 있으며 실현하고자 하는 권리도 있습니다. 예컨대 ‘나는 자급자족하는 삶을 꿈꾼다.’면 이를 실현하기 위해 나 자신의 의식을 전환해야 할 것입니다. 그리고 그 꿈을 위해 노력하고, 주변에서 인정하고 함께 도와야 할 것입니다. 지금이라도 이런 질문을 내 스스로에게 던져봅시다. “내 생각은, 어떻게 내 생각이 되었을까. 그것이 진짜 나의 생각일까. 태어났을 때 없던 생각이 지금 어떻게 내 생각이 되었을까?” 

이 캠페인은 사람을 더 알아가고, 그 사람이 가진 진면목을 확인하고, 우리 모두가 용기를 얻고 연대해가며 삶을 살아갔으면 하는 취지에서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내 삶의 좌표를 보여줄 사람을 모집합니다.


,



학벌과 성적을 뛰어넘어, 나눔이 가득한 평등명절 캠페인


○ 요즘 청소년들의 이야기를 엿들어보면, 명절 때 고향집을 방문하고 친척들을 만나는 것이 갈수록 꺼려진다고 합니다. 특히 고3이 되면 그 기피증세가 더 심해진다고 하네요. 현상적으로는 한국 전통문화에 대한 거부감처럼 느껴질 수 있지만, 실은 연휴가 시험기간에 끼어있어서 핑계 삼아 혼자 집에 있는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 친척집을 방문한 청소년도 내키지는 않으나 부모님에게 끌려가게 되는 것이 대부분이고, 심지어는 명절은 싫지만 친척들이 주는 용돈 때문에 따라 나선다는 청소년도 있답니다. 이처럼 청소년들이 명절 친척집 방문을 기피하는 가장 큰 이유는 얼굴을 보자마자 성적이야기를 꺼내어 스트레스를 받기 때문이라는데요.


○ 물론 가족, 친척끼리 궁금한 게 많은 건 당연합니다. 하지만 상대방이 곤란해 할 질문은 굳이 묻지 않는 배려도 필요하겠죠. 관심의 표현이 오히려 부담과 스트레스가 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특히 어색함을 피하고자 난처한 질문으로 인사를 대신하는 건 참아줘야 합니다. 예컨대 ‘성적은 잘 나오지? 잘 할 수 있을 거야.’처럼 민감한 질문은 공개적인 자리 대신 따로 자리를 마련해 나누는 것이 좋겠죠.


○ 이런 문제의식 속에서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은 성적․대학․입시․스펙 등 가족과 친척간의 위화감과 차별을 조성하는 대화를 줄이고, 보다 편하고 동등한 분위기 속에서 명절을 보내자는 취지에서 평등명절 캠페인을 진행하고자 합니다. ‘더도 말고 덜도 말고 한가위만 같아라.’라는 말이 있습니다. 덥지도 춥지도 않은 날씨에, 곡식까지 풍요로우니 더없이 좋은 날이라는 뜻이죠. 여러분도 이번 추석 사랑하는 가족, 친구들과 함께 풍요롭고 행복하게 보내시기 바랍니다.


+@ 휘영청 밝은 보름달 보고 소원 비는 것도 잊지 마시고요!


○ 캠페인1) 명절만큼 이런 얘기는 참아주세요.

․‘대학 갈 준비는 잘하고 있지? 네 00만큼은 해라.’

․‘눈높이 낮춰야 하는 거 아니니? 00이는 어디에 입학했더라.’

․‘취업은 언제 하니? 그러니까 4년제 대학은 나와야지.’

․‘네가 모 대학에 들어가면 00가 등록금을 내주겠다.’


○ 캠페인2) 평등명절 현수막을 게시해주세요.

․게시기간 : 2013년 추석연휴 전부터~

․현수막 문구 : ‘가는 곳은 달라도 평등한 명절, 명절만큼은 대학입시 얘기는 참아주세요.’, ‘상상만 해도 즐거운 명절, 대학진학이 아닌 자기진로에 대한 꿈을 나눠요.‘

․설치장소 : 명절 때 이동이 많은 기차역, 버스터미널, 톨게이트 등 출입구 지역


○ 캠페인2-1) 평등명절 현수막 설치를 위해 후원해주세요.

․입금 계좌번호 : 광주은행 019-107-337776 농협 301-0124-8869-41

․소셜펀치 : http://www.socialfunch.org/equalityedufestive

․현수막 설치장소 : 기차역 (광주역, 송정역), 유스퀘어 터미널, 시외버스터미널 (문화동, 운남동, 학동, 송정동) 톨게이트 (동광주, 서광주, 북광주) 등

․필요한 예산 : 현수막 출력비 15장*2만원=30만원, 주유비 10만원 = 총40만원


○ 문의 : 070.8234.1319 antihakbul@gmail.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