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도 광주권역 주요 전문대학원의 신입생 출신학교> 정보공개현황


- 5개 전문대학원 평균, 자교 출신 25.08% 서울권역 대학 출신 48.36%, 사립대 출신 57.7%
- 특정학교와 특정지역의 대학출신 많아, 지방대학의 고른 기회균등을 가져다주지 못해.
- 다양한 대학이나 지역 학생들이 합격할 수 있도록 차별 없는 선발제도 개선 필요

 

○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이 주요 광주권역 전문대학원을 대상으로 <2014년도 신입생 출신학교>현황을 정보공개청구 한 결과, 특정학교와 특정지역의 대학출신이 전문대학원 신입생으로서, 전문대학원 신입생 선발제도의 허점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 여기서 말하는 주요 전문대학원은 ‘지방대학 및 지역균형인재 육성에 관한 법률 - 제15조 대학의 입학기회 조항’에서 명시된 법학전문대학원, 의학전문대학원, 치의학전문대학원 및 한의학전문대학원으로서, 이들 대학은 지역의 우수인재를 선발하기 위하여 지역(고교, 대학) 할당제 실시를 노력해야하는 곳이다.

 

○ 자세한 현황을 들여다보면, 조선대학교는 의학전문대학원 25.6% 치의학전문대학원 18.8%의 신입생이 자교 출신이었다. 전남대학교는 법학전문대학원 20.3% 의학전문대학원 31.7% 치의학전문대학원 29%의 신입생이 자교출신이었으며, 전체(5개 대학원) 평균 25.08%로 무려 4명 중 1명이 자교 출신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 특히 서울권역 대학 출신자는 전문대학원 신입생 다수를 이루었다. 조선대학교 전문대학원 신입생의 경우, 의학전문대학원 44% 치의학전문대학원 36.3%가 서울권역 대학 출신자이며, 전남대학교 전문대학원 신입생은 법학전문대학원 68% 의학전문대학원 41.3% 치의학전문대학원 52.2%가 서울권역 대학 출신자였다. 전체 평균으로 따져봤을 때 48.36%, 신입생의 절반이 서울권역 대학 출신인 셈이다.

 

○ 이처럼 자교와 서울권역 대학 출신을 제외하면, 26.56% 학생만이 전문대학원을 들어가는 결과로써, 그렇지 않아도 입학의 문이 좁은 전문대학원이 지역민과 사회적 약자에 대한 충분한 배려 없이 신입생선발을 진행해 왔음을 보여주고 있는 대목이다.

 

○ 그리고 자교 출신을 지나치게 많이 뽑는 것은 ‘자기 식구 챙기기’로 비쳐질 수 우려가 있으며, 서울권역 대학 출신을 뽑는 것 또한 ‘출신학교나 지역의 기회균등 측면’에서 문제가 생길 수 있다. 그러므로 전문대학원은 능력과 균등을 중심으로 선발하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며, 2015년도 입학생 선발부터 시행되는 지역할당제에 대해서는 전문대학원들이 의무적으로 적용해야 할 것이다.

 

○ 또, 일부 전문대학원에서 극소수의 기득권 유지를 위한 통로로 신입생 선발을 독점화 하고 있는 현상을 바라볼 때, 설립 취지대로 운영되지 않는 전문대학원에 대해서는 강경한 패널티를 시행해야 할 것이다.

,

특정 대학·지역 독점 심화…지역민과 사회적 약자 배려해야

 

광주지역 전문대학원이 신입생 10명중 7명 이상이 자교(自校)나 서울권역 대학 출신자로 나타나 지역민과 사회적 약자에 대한 충분한 배려가 없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이 주요 광주권역 전문대학원을 대상으로 '2014년도 신입생 출신학교' 현황을 정보 공개청구해 19일 분석·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특정학교와 특정지역의 대학출신이 전문대학원 신입생의 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전문대학원은 '지방대학 및 지역균형인재 육성에 관한 법률 제15조 대학의 입학기회 조항'에서 명시된 법학전문대학원, 의학전문대학원, 치의학전문대학원 및 한의학전문대학원을 말한다. 이들 대학은 지역의 우수인재를 선발하기 위해 지역 고교와 대학 할당제 실시를 노력해야하는 곳이다.

세부적으로 조선대 의학전문대학원 25.6%, 치의학전문대학원 18.8%의 신입생이 자교 출신이었다. 전남대  법학전문대학원 20.3% 의학전문대학원 31.7% 치의학전문대학원 29%의 신입생이 자교 출신이었다. 

조선대와 전남대 전체 5개 대학원 평균 자교출신 비율은 25.08%로 4명중 1명을 모교 출신을 선발한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서울권역 대학 출신자가 전문대학원 신입생 다수를 차지했다.

조선대 전문대학원 신입생의 경우 의학전문대학원 44% 치의학전문대학원 36.3%가 서울권역 대학 출신자로 나타났다.

전남대의 경우 법학전문대학원 68% 의학전문대학원 41.3% 치의학전문대학원 52.2%가 서울권역 대학 출신자였다. 전체 평균으로 따져봤을 때 48.36%, 즉 신입생의 절반 가까이가 서울권역 대학 출신인 셈이다.

이처럼 자교와 서울권역 대학 출신 합계 73.44%을 제외하면 26.56%, 다시말해 10명중 2~3명만이 지역 타 대학 및 타 지방 출신으로 분석됐다.

광주시민모임은 "그렇지 않아도 입학의 문이 좁은 전문대학원이 지역민과 사회적 약자에 대한 충분한 배려 없이 신입생선발을 진행해 왔음을 보여주고 있는 대목"이라면서 "자교 출신을 지나치게 많이 뽑는 것은 '자기 식구 챙기기'로 비쳐질 수 우려가 있다"고 지적했다.

또 "서울권역 대학 출신을 뽑는 것 또한 출신학교나 지역의 기회균등 측면에서 문제가 생길 수 있다"면서 "전문대학원은 능력과 균등을 중심으로 선발하도록 노력해야 하고, 2015년도 입학생 선발부터 시행되는 지역할당제에 대해서는 전문대학원들이 의무적으로 적용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광주시민모임은 일부 전문대학원이 극소수의 기득권 유지를 위한 통로로 신입생 선발을 독점화 하고 있는 현상을 바라볼 때 설립 취지대로 운영되지 않는 전문대학원에 대해서는 강경한 패널티를 시행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hskim@

 

뉴스1

http://news1.kr/articles/?1864517

,

광주 학벌없는사회 ‘주요 전문대학원 신입생 출신학교’ 정보 공개

자교출신 25%·서울지역 대학 48% “차별없는 선발제도 개선 필요”

 

올해 광주권역 주요 전문대학원의 신입생 대부분이 특정학교, 특정지역 대학 출신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민과 사회적 약자에겐 입학의 문이 좁아 선발제도 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19일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이하 시민모임)’이 정보공개 청구해 분석한 ‘2014년도 광주권역 주요 전문대학원의 신입생 출신학교 현황’에 따르면, 조선대학교의 경우 자교 출신 신입생 비중이 의학전문대학원은 25.6%, 치의학천문대학원은 18.8%로 나타났다.

전남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은 20.3%, 의학전문대학원 31.7%, 치의학전문대학원은 29%였다.

이들 전체 전문대학원 5곳의 평균을 내면 2014년 신입생 중 25.08%, 즉 4명 중 1명이 자교 출신인 것으로 파악됐다.

특히, 서울권역 대학 출신자 비중은 더 높았다. 조선대학교 전문대학원 신입생의 경우 의학전문대학원 44%, 치의학전문대학원 36.3%가 서울권역 대학 출신이었다.

전남대학교는 법학전문대학원 68%, 의학전문대학원 41.3%, 치의학전문대학원 52.2%로 역시 서울권역 대학 출신자의 비중이 절반 이상이거나 절반에 가까웠다.

5개 전문대학원의 평균을 따지면 48.36%의 신입생이 서울권역 대학 출신인 셈이다.

시민모임은 “이처럼 자교와 서울권역 대학 출신을 제외하면 26.56% 학생만이 전문대학원을 들어가고 있는 것으로, 그렇지 않아도 입학의 문이 좁은 전문대학원이 지역민과 사회적 약자에 대한 충분한 배려 없이 신입생 선발을 진행해 왔음을 보여주고 있는 대목”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자교 출신을 지나치게 많이 뽑는 것은 ‘자기 식구 챙기기’로 비쳐질 우려도 있다”면서 “서울권역 대학 출신을 뽑는 것 또한 ‘출신학교나 지역의 기회균등 측면’에서 문제가 생길 수 있다”고 주장했다.

시민모임은 “전문대학원은 능력과 균등을 중심으로 선발하도록 노력해야 한다”며 “2015년도 입학생 선발부터 시행되는 지역할당제에 대해서는 전문대학원들이 의무적으로 적용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 “일부 전문대학원에서 극소수의 기득권 유지를 위한 통로로 신입생 선발을 독점화 하고 있는 현상을 바라볼 때, 설립 취지대로 운영되지 않는 전문대학원에 대해서는 강경한 패널티를 시행해야 한다”고 밝혔다.

한편, 주요 전문대학원은 ‘지방대학 및 지역균형인재 육성에 관한 법률 제15조 ‘대학의 입학기회 조항’에 명시된 법학전문대학원, 의학전문대학원, 치의학전문대학원 및 한의학전문대학원을 말한다.


강경남 기자 kkn@gjdrea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