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2015년 전국 초·중·고등학교 자살학생현황 분석결과

“학생자살을 방치하는 것은 미래를 포기하는 일”


- 2015년 들어 성적비관으로 자살하는 학생 비중 높아져

- 학교급이 높을수록 자살자가 많아져, 자살자의 절반 이상이 고등학생

- 죽음으로 내모는 교육이 아니라, 살아갈 힘을 북돋는 교육으로 전환 필요   

- 입시왜곡은 물론 사회구조적 원인도 세심하게 점검해 보아야


◦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이 전국 시·도교육청으로부터 자살학생현황을 받아 분석한 결과, 2012년부터 2015년 8월30일까지 총 438명의 학생이 자살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급학교일수록 자살한 학생이 많았고, 특히 올해 들어 성적 문제로 자살한 학생 비중이 크게 높아졌다.  


◦ 전국 자살학생 현황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성적 비관이 3대 자살 요인 중 하나로 고착되고 있으며, 올해 들어서는 그 비율이 크게 높아졌다. 


 - 2012~14년 자살원인은 가정불화 33.9%, 염세비관 21.7%, 성적비관 11.4% 등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올해(~8월30일)는 가정불화 26.2%, 성적비관 23.05, 염세비관 14.8% 등 순으로 나타나 성적비관으로 인한 자살 비율이 크게 높아졌음을 확인할 수 있다.


 - 학교급이 높아질수록 자살한 학생이 많았다. 학생들이 상급학교에 진학할수록 갖가지 이유의 절망을 더욱 절박하게 경험하고 있는 것이다. 2012~2015년 학교유형별로 보면 고등학교 63.75%, 중학교 24.3%, 초등학교 2.4% 등 순이고, 그밖에 2012~2015년 성별현황은 남성 51%, 여성 45%, 미파악 4%인 것으로 나타났다.


◦ 이번 분석결과는 과도한 경쟁체제를 고집하면서도 인간답게 생활할 최소한의 여건도 보장하지 않는 한국사회의 문제점과 이에 순응하는 교육의 병폐가 학생들을 극단적 선택으로 내몰고 있는 현실을 보여준 것으로 풀이된다. 


 - 학생자살의 주요원인인 가정불화, 염세비관, 성적비관은 개인적인 원인들이라기보다, 더 이상 나빠지기도 힘들만큼 비인간적인 한국사회의 생존환경이 얽혀있어, 단지 다른 모습의 폭력으로 학생들의 생명들을 앗아가고 있을 뿐임을 직시해야 한다.

 

 - ‘시간적·경제적으로 여유를 주지 않는 사회현실’이 가정불화를 부채질하고, ‘꿈을 갖기 힘든 현실’과 ‘어떤 노력을 해도 일그러진 일상을 바로잡기 힘들다는 절망’이 세상을 비관하게 하며, ‘비관적인 현실에서 명문학교 진학만이 유일한 생존이라고 말하는 교육’이 그러기 힘든 자신의 성적을 죽어야 할 이유로 만들고 있는 것이다. 이것은 명백하게 자살로 위장된 타살이다. 


 - 본래 교육은 세상을 넓게 볼 수 있는 힘과 지혜롭게 사는 힘을 불어 넣는 일이며, 학력이란 배워서 생긴 힘이고, 더 자존감을 가지고 살도록 배울 수 있는 힘이어야 할 텐데, 학생 대다수를 패배자로 만들고, 열등감을 심어주는 숫자가 되고 있는 현실은 참으로 끔찍한 것이다. 


 - 진보교육감들이 공교육을 정상화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사회, 노동, 복지 등의 기본조건들이 변하지 않고, 왜곡된 입시체제가 변하지 않는 한 한국사회의 학생들이 스스로 목숨을 끊는 비극은 멈추지 않을 것이다. 앞으로 진보교육감들이 더욱 격렬하게 학교현장의 비교육, 반교육과 싸워야 할 이유이기도 하다. 


◦ 또한, 결과로 드러난 자살학생의 수치는 빙산의 일각일 뿐임을 명심해야 한다. 연세대 사회발전연구소의 올해 보고서에 따르면 자살충동을 느낀 학생들이 전체 학생의 5분의 1이나 된다. 학생자살을 개인의 의지와 가정의 문제로 치부하거나, 자살에 이른 학생 숫자만 보고 상황을 느슨하게 보아서는 안 된다는 것을 경고하는 부분이다. 


 - 학생 자살은 '너의 문제'가 아니라 ‘우리의 문제’로 심각하게 인식할 수 있어야 하며, 개인과 가정만 탓하는 대책을 넘어 사회와 국가를 성찰하는 고민이 필요하다. 


 - 학생들의 죽음에 둔감한 사회는 미래가 있을 리 없다. 그런데, 학생자살은 더 이상 뉴스거리도 되기 힘들만큼 둔감해지고 있다. 꾸준히 자살예방교육을 했다는 증거를 남기는 식의 일시적이고, 임시적인 대책으로 우리 사회의 건강한 미래를 얻을 수는 없을 것이다. 


 - 학교현장, 시·도교육청, 교육당국은 물론, 우리 사회 전체가 각성하여, 학생자살의 원인을 세밀하게 분석해야하며, 본질적이고, 진정성 있는 대책을 세워야 할 것이다.


◦ 한편 광주는 2012년부터 올해 8월30일까지 25명의 학생이 자살한 가운데, 자살사유는 염세비관 11명·가정불화 4명·이성관계 4명·성적비관 2명·생활비관 1명·기타 3명, 학교유형별로는 중학교 7명·고등학교 18명인 것으로 드러났다.


2015. 10. 7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


참고1. 2012~2015년(~8월) 전국 자살학생 사유별 현황


지역

년도

자살사유별

이성

관계

염세

비관/

우울증

가정

불화/

가정

문제

성적

비관

신체결함/질병

폭력/

집단

괴롭힘

생활

비관/

경제

궁핍

기타

강원

2012

2

1

3

 

 

 

 

 

2013

 

 

2

 

 

 

 

 

2014

 

 

 

2

 

 

 

1

2015(~8월)

1

 

 

1

 

 

 

1

경기

2012

1

6

6

3

 

 

 

5

2013

2

3

6

5

 

 

 

8

2014

2

3

9

2

1

 

 

9

2015(~8월)

 

2

4

5

2

 

 

7

경남

2012

1

2

4

 

 

 

 

2

2013

 

3

4

1

 

1

 

1

2014

 

2

4

 

 

 

 

1

2015(~8월)

 

2

1

1

 

 

 

 

경북

2012

4

6

7

2

 

3

 

3

2013

2014

2015(~8월)

 

 

 

 

 

 

 

1

광주

2012

3

2

3

1

 

 

 

 

2013

 

5

1

1

 

 

 

 

2014

1

4

 

 

 

 

1

2

2015(~8월)

 

 

 

 

 

 

 

1

대구

2012

 

 

4

2

1

1

 

1

2013

 

1

2

1

 

 

 

1

2014

 

1

3

 

1

 

1

1

2015(~8월)

 

 

1

 

 

 

 

1

대전

2012

1

1

5

1

 

 

 

1

2013

 

 

2

 

 

 

 

2

2014

 

 

 

2

 

 

 

1

2015(~8월)

 

 

2

1

 

 

 

2

부산

2012

 

1

3

 

1

 

 

2

2013

 

2

4

1

 

 

 

6

2014

 

 

1

 

 

 

1

5

2015(~8월)

 

1

3

1

 

 

 

 

서울

2012

 

6

9

3

1

 

 

5

2013

 

2

4

3

 

 

 

5

2014

1

14

7

3

 

 

 

 

2015(~8월)

 

1

1

2

 

 

 

2

울산

2012

 

 

1

 

 

 

 

1

2013

 

 

2

1

 

 

 

1

2014

 

1

1

 

 

 

 

2

2015(~8월)

1

 

 

1

 

 

 

1

인천

2012

2

1

6

1

 

 

 

1

2013

 

 

6

 

 

 

 

2

2014

2

1

1

 

 

 

 

 

2015(~8월)

 

 

3

1

 

 

 

 

전남

2012

 

1

 

2

 

 

 

1

2013

1

1

1

1

 

 

 

2

2014

 

 

1

 

 

 

1

1

2015(~8월)

 

 

 

1

 

 

 

 

전북

2012

 

1

2

 

1

 

 

1

2013

1

 

1

1

 

 

 

 

2014

2

2

 

 

 

 

 

 

2015(~8월)

 

 

 

 

 

 

 

 

제주

2012

 

 

 

1

 

 

 

 

2013

 

1

 

 

 

 

 

 

2014

 

 

 

 

 

 

 

 

2015(~8월)

 

 

 

 

 

 

 

 

충남

2012

1

2

2

 

 

 

 

1

2013

 

1

5

 

 

 

 

2

2014

 

1

3

 

 

 

 

2

2015(~8월)

 

3

1

 

 

 

 

1

충북

2012

 

2

1

1

 

 

 

1

2013

 

 

1

1

 

 

 

1

2014

1

2

1

1

 

 

 

 

2015(~8월)

 

 

 

 

 

 

 

1

2012~14년 자살자 수

28

82

128

43

6

5

3

81

2015(8월)년 자살자 수

2

9

16

14

2

0

0

18

2012~14년 유형별 비율

7.4%

21.7%

33.9%

11.4%

1.6%

1.3%

0.8%

21.4%

2015년(~8월) 유형별 비율

3.3%

14.8%

26.2%

23.0%

3.3%

0.0%

0.0%

29.5%


참고2. 2012~2015년(~8월) 전국 자살학생 성별·학교유형별 현황

지역

년도

성별

합계

학교유형별

합계

파악

각종

파악

강원

2012

4

2

 

6

1

1

4

 

 

6

2013

2

 

 

2

 

 

2

 

 

2

2014

1

2

 

3

 

1

2

 

 

3

2015(~8월)

1

2

 

3

 

2

1

 

 

3

경기

2012

11

10

 

21

 

11

10

 

 

21

2013

16

8

 

24

1

6

17

 

 

24

2014

18

8

 

26

1

7

18

 

 

26

2015(~8월)

7

13

 

20

 

5

15

 

 

20

경남

2012

3

6

 

9

 

4

5

 

 

9

2013

5

5

 

10

 

6

4

 

 

10

2014

4

3

 

7

 

3

4

 

 

7

2015(~8월)

4

 

 

4

 

1

3

 

 

4

경북

2012

15

10

 

25

 

8

16

1

 

25

2013

2014

2015(~8월)

1

 

 

1

1

 

 

 

 

1

광주

2012

4

5

 

9

 

1

8

 

 

9

2013

3

4

 

7

 

2

5

 

 

7

2014

6

2

 

8

 

4

4

 

 

8

2015(~8월)

 

1

 

1

 

 

1

 

 

1

대구

2012

4

5

 

9

 

3

6

 

 

9

2013

4

1

 

5

1

1

3

 

 

5

2014

3

4

 

7

2

 

5

 

 

7

2015(~8월)

1

1

 

2

 

 

2

 

 

2

대전

2012

3

6

 

9

 

3

6

 

 

9

2013

2

2

 

4

 

1

3

 

 

4

2014

 

3

 

3

 

1

2

 

 

3

2015(~8월)

2

3

 

5

 

2

3

 

 

5

부산

2012

4

3

 

7

 

3

4

 

 

7

2013

6

7

 

13

1

1

11

 

 

13

2014

4

3

 

7

1

2

4

 

 

7

2015(~8월)

3

2

 

5

 

1

4

 

 

5

서울

2012

12

12

 

24

2

7

15

 

 

24

2013

9

5

 

14

1

2

11

 

 

14

2014

20

5

 

25

2

4

19

 

 

25

2015(~8월)

3

3

 

6

 

1

5

 

 

6

울산

2012

1

1

 

2

 

 

2

 

 

2

2013

3

1

 

4

 

 

4

 

 

4

2014

3

1

 

4

 

 

4

 

 

4

2015(~8월)

1

2

 

3

 

 

3

 

 

3

인천

2012

7

4

 

11

 

6

5

 

 

11

2013

5

3

 

8

 

2

6

 

 

8

2014

2

2

 

4

 

1

3

 

 

4

2015(~8월)

4

 

 

4

 

1

3

 

 

4

전남

2012

 

 

4

4

 

 

 

 

4

4

2013

 

 

6

6

 

 

 

 

6

6

2014

 

 

3

3

 

 

 

 

3

3

2015(~8월)

 

 

1

1

 

 

 

 

1

1

전북

2012

 

 

5

5

 

1

4

 

 

5

2013

 

 

3

3

 

 

3

 

 

3

2014

 

 

4

4

 

 

4

 

 

4

2015(~8월)

 

 

 

0

 

 

 

 

 

0

제주

2012

 

1

 

1

 

1

 

 

 

1

2013

1

 

 

1

 

 

1

 

 

1

2014

 

 

 

0

 

 

 

 

 

0

2015(~8월)

 

 

 

0

 

 

 

 

 

0

충남

2012

4

2

 

6

 

 

 

 

6

6

2013

5

3

 

8

 

 

 

 

8

8

2014

1

5

 

6

 

 

 

 

6

6

2015(~8월)

2

3

 

5

 

 

 

 

5

5

충북

2012

4

1

 

5

 

1

3

1

 

5

2013

 

3

 

3

 

1

2

 

 

3

2014

2

3

 

5

 

1

4

 

 

5

2015(~8월)

1

 

 

1

 

1

 

 

 

1

2012~14년 자살자 수

202

151

24

377

12

97

233

2

32

377

2015(~8월)년 자살자 수

30

30

1

61

1

14

40

0

6

61

2012~14년 유형별 비율

53.6%

40.1%

6.4%

100%

3.2%

25.7%

61.8%

0.5%

8.5%

100%

2015년(~8월) 유형별 비율

49.2%

49.2%

1.6%

100%

1.6%

23.0%

65.6%

0.0%

9.8%

100%



참고3. 2012~2015년(~8월) 광주 자살학생 현황


지역

년도

자살사유별

이성

관계

염세

비관/

우울증

가정

불화/

가정

문제

성적

비관

신체

결함/

질병

폭력/

집단

괴롭힘

생활

비관/

경제

궁핍

기타

광주

2012

3

2

3

1

 

 

 

 

2013

 

5

1

1

 

 

 

 

2014

1

4

 

 

 

 

1

2

2015(~8월)

 

 

 

 

 

 

 

1

지역

년도

성별

합계

학교유형별

합계

파악

각종

파악

광주

2012

4

5

 

9

 

1

8

 

 

9

2013

3

4

 

7

 

2

5

 

 

7

2014

6

2

 

8

 

4

4

 

 

8

2015(~8월)

 

1

 

1

 

 

1

 

 

1



,

2014년 광주관내 사립대학 법인 수익용기본재산 현황에 관한 정보 분석결과 발표


- 대학법인에서 책임질 비용이 등록금, 호주머니에서 빠져나가고 있어

- 대학법인의 수익용 토지재산은 많아도, 정작 수익률이 1%도 못채워

- 수익이 발생해도 학교운영경비로 한 푼도 부담하지 않는 대학법인도 있어 

- 부실 사립대학, 공공대학(국공립대, 공영형 사립대)으로 전환되어야

- 시민모임, 12개 사립대학을 순회하며 ‘사학운영 정상화 촉구’ 일인시위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이 한국사학진흥재단으로부터 광주 관내 사립대학교 학교법인의 2014년 수익용 기본재산 보유현황과 수익금, 부담금 현황, 수익소재지 등의 자료를 받아 분석한 결과, 수익용 기본재산의 확보율과 수익률이 법정 기준 치에 미달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1. 수익용 기본재산 확보 현황

◦ 수익용 기본재산은 사립대학 법인이 설립․경영하는 대학운영에 필요한 법정부담금 등 운영경비를 충당하기 위해 의무적으로 보유하는 재산으로, 법인이 수익용 기본재산을 충분히 보유해야 소관 대학에 필요한 경비를 충분히 지원할 수 있다. 이에「대학설립․운영규정」 및 동 규정 시행규칙에서는 대학의 연간 학교회계 운영수익총액(운영수익총계-전입금 및 기부금 수입)에 해당하는 금액의 수익용 기본재산을 확보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 구체적인 수치로 들어가, 2014년 광주 사립대학 법인의 수익용 기본재산 확보율은 43.3%로 절반에 못 미친다. 최근 3년 이래 최저치며, 수익용 기본재산 확보율은 2012년 49.0%, 2013년 47.5%, 2014년 43.3%로 점차 떨어지는 추세이다.


◦ 그리고, 법인별 수익용 기본재산 확보율 분포를 보면, 광주 전체 12개 법인 가운데 법정 기준을 준수하고 있는 법인은 2개 법인에 불과하다. 이에 반해 전체 법인의 절반에 가까운 7개 법인의 확보율이 법정 기준 대비 30% 미만이며, 이 가운데 2개 법인의 수익용 기본재산 확보율은 10%에도 못 미친다.


법인명

평가액

수익용 기본재산 확보율현황

기준액

보유액

확보율

광신학원

6,324,098

6,740,740

6,324,098

93.8

성인학원

10,750,066

65,939,023

10,750,066

16.3

송강학원

12,567,603

37,998,709

8,700,869

22.9

송원대학교

16,150,783

14,375,002

16,150,783

112.4

우암학원

15,624,949

61,861,905

15,490,876

25.0

조선대학교

58,271,607

259,998,017

58,271,607

22.4

호남신학대학교

3,477,798

8,443,458

1,677,798

19.9

호심학원

38,141,027

67,292,307

38,141,027

56.7

광주기독병원교육재단

4,627,912

4,514,805

4,627,912

102.5

서강학원

1,934,316

35,602,662

1,934,316

5.4

전라기독학원

1,165,819

30,900,609

1,165,819

3.8

후성학원

10,709,622

27,761,283

10,709,622

38.6

▲ 2014년 광주 관내 사립대학 법인별, 수익용 기본재산 확보현황 (단위 : 천원, %)


2. 수익용 기본재산 수익 현황

◦ 「대학설립․운영규정」 제7조 제3항에 따르면, 사립대학 법인이 확보하는 수익용 기본재산은 그 총액의 3.5% 이상의 연간소득이 있어야 한다. 그러나 2014년 현재 광주 사립대학 법인의 수익용 기본재산 수익률은 2.3%로 법정 기준 미달이다.


◦ 이처럼 사립대학 법인의 수익용 기본재산 수익률이 낮은 이유는 수익률이 낮은 토지가 수익용 기본재산의 대부분이기 때문이다. 광주 사립대학 법인의 수익용 기본재산 중 토지재산의 보유비율은 평균 53.8% 절반이 넘은 수준이지만, 정작 토지 수익률은 평균 0.8%로 전체 평균 수익률(1.8%) 수준에도 못 미친다. 해마다 사학법인들이 수익이 나지 않는 토지를 과다보유하고 있다는 지적에도 불구하고 개선이 되지 않고 있는 것이다.


◦ 한편, 수익용 기본재산 수익률 법인분포를 살펴보면, 광주 전체 법인의 1곳만 법정 기준을 준수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해당 법인의 학교운영 부담률은 0%인 것으로 드러났다.


구분

보유액

보유비율

수입액

수익률

토지

93,570,261

53.8

748,842

0.8

건물

34,096,603

19.6

1,888,654

5.5

유가증권

2,643,866

1.5

33,241

1.3

신탁예금

42,988,623

24.7

1,375,080

3.2

기타

645,440

0.4

10,728

1.7

▲ 2014년 광주 관내 사립대학 법인 수익용 기본재산 유형별 현황 (단위 : 천원, %)


법인명

수익용 기본재산 수익률 현황

수입금

수익금

수익률

광신학원

42,176

42,176

0.67

성인학원

294,832

225,398

2.74

송강학원

555,530

555,530

6.38

송원대학교

233,180

233,180

1.44

우암학원

501,775

490,705

3.24

조선대학교

1,249,307

1,181,457

2.14

호남신학대학교

27,510

27,316

1.64

호심학원

794,863

702,624

2.08

광주기독병원교육재단

12,540

10,002

0.27

서강학원

42,738

29,951

2.21

전라기독학원

21,414

14,407

1.84

후성학원

280,680

262,101

2.62


▲ 2014년 광주 관내 사립대학 법인별, 수익용기본재산 수익현황 (단위 : 천원, %)


3. 학교운영경비 부담 현황

◦ 「대학설립․운영규정」에 따르면, 사립대학 법인은 매년 수익용 기본재산에서 생긴 소득의 80% 이상을 대학운영에 필요한 경비로 충당해야 한다. 2014년 광주 사립대학 법인의 평균 학교운영경비 부담률은 109.6%로 법정 기준을 충족하고 있다.


◦ 그러나 학교운영경비 부담률 법인분포를 보면, 이 중 학교운영경비를 한 푼도 부담하지 않는 법인 1곳(송강학원, 광주여자대학교)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물론 수익액이 없어 학교운영경비 부담액이 없을 수도 있겠으나, 해당 법인의 경우 수익액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학교운영경비로 전출하지 않은 것이다.


법인명

수익용 기본재산 학교운영 부담률 현황

부담기준액

부담액

부담률

광신학원

33,741

42,176

125.0

성인학원

180,318

225,398

125.0

송강학원

444,424

-

0.0

송원대학교

186,544

200,000

107.2

우암학원

392,564

490,705

125.0

조선대학교

945,166

1,076,695

113.9

호남신학대학교

21,853

27,316

125.0

호심학원

562,099

702,624

125.0

광주기독병원교육재단

8,002

9,405

117.5

서강학원

23,961

29,951

125.0

전라기독학원

11,526

14,000

121.5

후성학원

209,681

219,390

104.6


▲ 2014년 광주 관내 사립대학 법인 수익용 기본재산 법인별 부담현황 (단위 : 천원, %)


이처럼 대학 운영에 필요한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도입된 수익용 기본재산은 그 확보율과 수익률을 늘려야 하지만, 정작 수익이 제대로 발생하지 않는 토지를 과도하게 보유하고 있는 것이 사립대학 법인의 결정적인 문제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사학법인들은 수익이 나지 않는 불필요한 토지는 매각하고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수익이 발생하는 자산으로 전환하는 등 자체적인 개선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만약 이러한 문제가 장기화 될 경우, 학교의 재정이 악화되거나(학생들의 등록금 전가), 사학재단의 도덕불감증이 높아지는 등 학교법인이 책임을 방기할 수 있으므로, 교육부는 ▲ 수익용 기본재산의 실태점검 및 재산운영 컨설팅 ▲ 수익용기본재산 확보율·수익률에 따른 학교평가 강화 ▲ 부실 사립대학은 국립대 통합, 공립대나 공영형 사립대로 전환 등 특단의 대책을 마련하여 투명하고 공공성이 강화된 대학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해야 할 것이다.


2015. 10. 6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



※ 광주 관내 사립대학 순회, ‘학교운영 정상화 촉구’ 일인시위 

◦ 일시 : 10월6일~10월21일 12~13시, 각 대학교 정문 앞

◦ 장소 : 광주여자대학교(10.6), 호남대학교(10.7), 광신대학교(10.8), 송원대학교(10.9), 남부대학교(10.12), 호남신학대학교(10.13), 광주대학교(10.14), 기독간호대학(10.15), 서강정보대학(10.16), 광주보건대학(10.19), 동강대학(10.20), 조선대학교(10.21)


※ 수익용 기본재산 관련 산출방법

◦ 수익용 기본재산 확보율 = 수익용 기본재산 보유액 / 기준액

◦ 수익용 기본재산 수익률 = 수익용 기본재산 연간수입액 / 보유액

◦ 학교운영경비 부담률 = 학교운영경비 부담액 / 기준액

↳ 부담액 = 수익용 기본재산에서 발생한 소득액 중 학교회계로 전출한 금액

↳ 부담기준액 = 수익용 기본재산 소득액(총수입-제비용) × 0.8

,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이 한국사학진흥재단으로부터 광주 관내 사립대학교 학교법인의 2014년 수익용 기본재산 보유현황과 수익금, 부담금 현황, 수익소재지 등의 자료를 받아 분석한 결과, 수익용 기본재산의 확보율과 수익률이 법정 기준 치에 미달한 것으로 파악되었습니다.


이에 광주시민모임은 위 분석결과를 10월5일 언론을 통해 발표하고, 발표 시기부터 10월 21일까지 광주 관내 사립대학(12개 대학)을 순회하며 일인시위를 진행하고자 합니다. 교육부와 사립대학교 법인이 특단의 대책을 마련하여 투명하고 공공성이 강화된 대학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여러분들의 많은 관심과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 일시 : 10월6일~10월21일 12~13시, 각 대학교 정문 앞


◦ 장소 : 광주여자대학교(10.6), 호남대학교(10.7), 광신대학교(10.8), 송원대학교(10.9), 남부대학교(10.12), 호남신학대학교(10.13), 광주대학교(10.14), 기독간호대학(10.15), 서강정보대학(10.16), 광주보건대학(10.19), 동강대학(10.20), 조선대학교(10.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