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4-3(고등학교 이하 외국인 유학생) 비자를 소지한 이주 배경 청소년이 고등학교에 진학하려면 체류 연장 조건이 까다롭다.

 

학비가 연간 500만 원 이상이며 교육감 설립 인가를 받은 학력 인정 기관(각종학교 중 외국인학교, 대안학교)에 입학한 경우에만 비자를 발급받을 수 있다고 법무부가 규정하고 있는 탓이다. 결국 부모의 경제력에 따라 고등학교 입학, 한국 체류 여부가 결정된다.

 

이 때문에 초등학교 5학년 때 한국에 와서 광주광역시 관내 초등학교·중학교를 졸업한 학생의 경우, 올해 3월 비자 만료로 인해 추방 위기에 몰리게 된다.

 

이주배경 청소년이 어떤 비자로 공부하는가는 본인의 의지나 노력 바깥의 일인데, D-4-3 비자 소지자라는 이유로 인간으로서 가장 기본적인 권리인 교육권이 박탈되는 것이다. 그런데 교육 당국은 이러한 상황조차 제대로 인지하지 못하고 있었다.

 

이에 우리단체는 D-4-3 비자 소지자의 교육권 박탈 사례를 점검하고, 합리적인 구제 대책을 마련하라고 광주시교육청에 촉구한 바 있다.

 

하지만 지난해 9월 광주시교육청은 해당 민원에 떠밀려 광주출입국·외국인사무소에 공문만 보냈을 뿐 별도의 후속 조치는 없었고, 올해 3월경 학생이 광주시교육청에 자필 편지를 발송하고 나서야 이정선 교육감이 직접 출입국사무소에 방문하는 등 노력을 보였지만, 결국 특별한 방법이 없다며 회신했다.

그런데 비자 만료 1주일을 앞두고 기적이 일어났다. 전남교육청이 학생을 장학생으로 선발, 초청하여 비자 발급을 받을 수 있게 된 것이다.

 

법무부의 사증 민원 자격별 안내 매뉴얼에 따르면, 교육청 등 지방자치단체가 장학생으로 선정하여 초청할 경우 무상교육기관이더라도 비자를 발급받을 수 있는데, 전남교육청이 해당 지침을 적극 활용하여 학생을 구제한 것이다.

 

이처럼 이주배경 청소년들에게 체류자격을 부여하는 것은 단순히 국내에 머무를 수 있도록 국가가 허락하는 것에 그치지 않는다. 이곳을 유일한 터전으로 생각하며 살아온 청소년들에게 실존의 토대를 제공하는 일이며, 어떤 이유로도 훼손될 수 없는 인간의 기본적 권리를 확인하는 일이다.

 

이에 우리단체는 단 한 명의 아이도 포기하지 않는 교육을 위해 노력해준 전남교육청의 적극 행정을 환영하는 바이며, 전남 국제직업고 신설 등 앞으로도 이주배경 청소년의 교육, 취업 등 기본권을 확보해 나가길 기대하는 바이다.

 

2024. 4. 16.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시민모임

,

〇 『광주광역시 교육비 특별회계 소관 공용차량관리 규칙에 따르면, 공용차량 중 전용 차량은 교육감, 부교육감, 교육장에게만 배정되어 있다. 그런데, 우리단체가 광주시교육청 공유설비 예약 현황 및 차량 운행일지를 확인한 결과, 업무용 차량을 교육청 국장급 고위 간부들의 전용 차량처럼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 광주시교육청 본청 공용차량은 총 8대로 전용차량 2, 의전용차량 1, 나머지 5대는 업무용차량이다. 업무용차량의 경우 교육행사 등을 위해 강사를 초빙하거나 본청 출장·외근업무 등에 필요한 경우에 공무를 위해사용되어야 하는 것이 원칙이나, 업무용 차량 중 4대는 교육·행정·정책국장, 공보팀 직원이 특정차량을 독점하여 사용한 것을 확인됐다.

 

- 구체적으로 2024(1~42) 광주시교육청 업무용 차량 예약 현황에 따르면, A차량 20, B차량 16, C차량 13건 등 각 국장 부속실 직원이 차량을 예약하였고, D차량의 경우 별도 예약 및 승인 없이 공보팀 특정 직원이 교육감 취재 지원용으로 사용하는 등 25인승 버스(E차량)를 제외한 모든 업무용 차량은 특정인이 사실상 사유화하고 있는 셈이다.

 

- 지난 2020년 광주시교육청이 공용차량 이용 활성화 및 효율성 제고, 교직원 업무경감 등을 위해 업무관리시스템 공용차량 배차신청 활용 매뉴얼을 마련하여 기존 공문으로 신청했던 공용차량 배차신청을 온라인으로 변경하고, 모든 교육청 직원들이 배차신청을 할 수 있도록 시행하였지만, 현실은 위와 같이 매뉴얼 취지대로 운영되지 않고 있다.

 

한편, 2024년 공용 차량 운행일지를 열람한 바에 따르면, 부교육감이 운전원이 배정된 전용차량을 타고 근무지까지 출·퇴근하는 등 운전원의 장시간 근무를 요구하고 있다. 이정선 교육감의 경우. 자신의 승용차를 직접 운전해 출·퇴근 하는 등 근무시간 내 업무용으로만 기관장에게 주어진 사용 권한을 행사하는 점과는 매우 대조적이다.

 

- 물론 중요한 의사 결정을 하는 고위 관료들에게 적절한 편의가 주어질 수 있다는 점은 충분히 이해한다. 하지만, 공공의 규칙과 상식이 허락하는 범위를 넘어서면 안 되며, 통학거리가 멀어 등교에 어려움을 겪는 학생들, 카시트가 장착된 차량이 없어서 원외 체험을 가기 힘든 원아들, 자립 등교가 불가능한 장애학생들에게 지원할 공공자원이 부족한 상황에서는 더욱 그렇다.

 

- 이에 우리단체는 업무용 차량의 특정직원 독점, 전용 차량의 운전원 장시간 근무(목적 외 사용) 등 드러난 문제 해결을 통해 공용차량 운용 목적을 달성할 것을 광주시교육청에 촉구하는 바이며, 더불어 운행일지 작성 시 업무성격, 행선지를 명확하게 기재하여 투명한 행정을 구현할 것을 요구하는 바이다.

 

2024. 4. 15.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시민모임

 

,

https://stib.ee/S4uB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시민모임 2024년 3번째 소식지

 

stibee.com

 

'각종 매체 > 웹소식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년 5번째 웹소식지  (0) 2024.06.28
2024년 4번째 웹소식지  (0) 2024.05.03
2024년 2번째 웹소식지  (0) 2024.03.06
2024년 1번째 웹소식지  (0) 2024.02.15
2023년 9번째 웹소식지  (0) 2023.12.29
,

2024년 제3차 살림회의 자료.hwp
0.02MB
2024년 제3차 살림회의록.hwp
0.01MB

'회원활동 > 살림위원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년 제4차 살림회의록  (0) 2024.05.23
제4차 살림회의 안내  (0) 2024.05.12
2024년 제2차 살림회의록  (0) 2024.02.29
2024년 제2차 살림회의 안내  (0) 2024.02.20
2024년 제1차 살림회의록  (0) 2024.01.22
,

부산일보 https://www.busan.com/view/busan/view.php?code=2024040817433228671

 

[밀물썰물] 과잠 시위

한 번도 안 입은 사람은 있지만 한 번만 입은 사람은 없다. 누군가에게는 ‘우리’임을 확인시켜 주지만 그 무리에 속하지 못한 이에겐 ‘학벌 과시’로 다가오기...

www.busan.com

 

,

광주드림 https://www.gjdream.com/news/articleView.html?idxno=641311

 

,

CMB http://www.cmbkj.co.kr/ab-991-31133

 

˝화정초 BTL 중단 촉구˝...시교육청 ˝교육환경 개선해야˝ - CMB 광주방송 - 생활속의 TV, 여러분의

■CMB뉴스 광주교육시민단체가 광주화정초의 임대형 민자사업 중단을 촉구한 가운데 시교육청은 교육환경 개선을 위해 필요하다고 주장했습니다. 18일 학벌없는사회를위한시민모임에 따르면,

www.cmbkj.co.kr

 

,

중앙일보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236851

 

전북교육청 2260억 뿌린 태블릿PC사업...애물단지 전락하나 | 중앙일보

전북교육청은 21일 "'에듀테크(정보통신 기술을 활용한 교육)' 기반 교실 환경 구축을 위해 885억9000만원을 들여 지난해 9월 도내 초·중·고교 757곳에 스마트 기기 6만5496대를 보급했다"고 밝혔다.

www.joongang.co.kr

 

,

경향신문 https://www.khan.co.kr/national/education/article/202403241620001

 

,

광주일보 http://www.kwangju.co.kr/article.php?aid=17115375007662680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