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학생선발때 소득기준 없어


광주광역시가 운용하고 있는 빛고을장학재단이 장학생 선발 때 학업성적 비중을 낮추고 소득수준을 반영하는 계획을 마련했으나 명확한 기준을 마련하지 않아 일부 고소득층에게 장학금 혜택이 돌아간 것으로 나타났다.


30일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은 "광주시와 광주시교육청으로부터 제출받은 '2017년 빛고을장학재단 학업장려장학생 선발 현황'을 분석한 결과, 학업장려장학생 130명가운데 대학생 63명은 학업성적 및 한국장학재단 소득수준 등을 적용해 각 대학(교)에서 선발·추천하였는데, 고소득층 9명이 이들 명단에 포함된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또 "학업장려장학생가운데 고등학생 67명은 학업성적 및 생활형편 등을 감안해 학교장이 자율적으로 선발·추천했는데 이를 지도·감독해야 할 광주시교육청은 해당 장학생들의 소득수준 파악을 전혀 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고 덧붙였다.


이 단체는 "이러한 원인은 해당 장학생 선발 때 명확한 소득수준 기준을 마련하지 않은 것으로, 결국 현행 방식처럼 학업장려장학생을 선발할 경우 학업성적우수생 또는 고소득층 학생에게 장학금 혜택이 갈 여지가 높다"고 주장했다.


이에 따라 이 단체는 "허술한 학업장려장학생 선발기준으로 인해 장학금이 절실히 필요한 학생들이 더 피해를 보고 있고, 결국 학비 마련을 위해 공부는 뒤로 미룬 채 아르바이트 전쟁터로 내몰리고 있다"며 소득기준 마련을 촉구했다.


빛고을장학재단은 '2017년 장학생 선발결과를 통해 명확한 소득기준 필요성을 확인했고 2018년 장학생 선발계획 수립 시 관련 기준을 마련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노컷뉴스 

http://www.nocutnews.co.kr/news/4885302#csidx254582f60d837d68a57a0a5bc86014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