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ㆍ입학 규정 논란… 의견 수렴
광주교육대 부설초등학교가 교직원 자녀에게 전ㆍ입학 특혜를 주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면서 논란이 일고 있는 가운데 학교운영위원회가 전ㆍ입학 규정 개정에 나섰다.
12일 광주교대 부설초등학교에 따르면 운영위원회가 13일 학부모 총회를 갖고 전ㆍ입학 규정에 대한 의견을 수렴한다.
운영위원회는 재학생 결원시 본교 교직원 자녀를 1순위로 두고 있는 현재 규정과 재학생 형제자매를 1순위로 하는 안, 교직원 자녀를 배제하고 순위를 없애는 안 등 총 4가지 안을 제시할 방침이다.
이후 운영위원회는 설문과 공청회, 최종 심의를 거쳐 12월 초께 2018학년도 전ㆍ입학 규정을 제정할 계획이다.
그러나 논란이 되고 있는 전ㆍ입학 특혜 규정이 개정될지는 미지수다.
운영위원회와 학부모회는 교직원 자녀를 전입 1순위로 두고 있는 것은 우수한 교사를 영입하기 위한 고육지책이라는 입장이다.
운영위ㆍ학부모회에 따르면 올해 부설초등학교가 전입 희망교사 12명을 모집하려 했으나 겨우 4명만이 지원했다.
부설초등학교의 근무 강도가 일반 학교보다 높고 별다른 인센티브가 없어 교사들이 지원을 기피한다는 것이다.
반면 학벌없는 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은 우수 교사 영입을 이유로 그 자녀에게 특혜를 주는 것은 불공정하다는 입장이다. 교사영입 문제는 근무 여건을 개선하는 제도를 통해 해결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노병하 기자
전남일보 http://www.jnilbo.com/read.php3?aid=1505228400532028004
학벌없는사회 “불필요한 개인정보 수집” 문제제기
해당사항 기재란 모두 삭제 조치…“재발방지 노력”
최근 논란이 된 광주 사립초 신입생 입학원서의 문제 사항들이 개선 조치됐다.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은 지난달 24일 ‘광주광역시 소재 사립초 3곳(광주송원고, 광주삼육초, 살리시오초)가 신입생 입학원서를 통해 불필요한 개인정보(출신유치원 등)을 수집하고 있는 것을 시교육청이 지적했다고 밝혔다.
이에 광주서부교육지원청은 사립초의 불필요한 수집 관행 개선 조치에 돌입했다.
1차로 해당학교에 유선 연락해 불필요한 개인정보 수집 금지를 요청했고, 2차 공문 발송을 통해 2018학년도에 적용할 ‘신입생 입학원서 및 가정환경조사서’ 양식을 요구했다.
학벌없는사회가 확인 결과, 해당학교의 입학지원서와 가정환경조사서에 불필요한 개인정보 기재란이 모두 삭제됐다.
이에 학벌없는사회는 “지속적인 모니터링으로 재발방지를 위해 노력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대부분의 사립초가 지원자의 출신유치원‧배정학교, 부모의 종교‧졸업생 학부모 관계 여부 등의 신상정보를 입학지원서를 통해 적시하도록 요구했었다.
이에 학벌없는사회는 감독기관인 광주광역시교육청에게 해당학교의 입학지원서 개선을 요구하였으며, 가정환경 조사서에 대해서도 지도점검을 제안한 바 있다.
김우리 기자 uri@gjdream.com
광주드림 http://www.gjdream.com/v2/news/view.html?news_type=202&uid=482271
‘관계자 자녀들에 우선권’ 불공정 선발규정 만들어
광주교육대학교 부설초등학교가 신입생 선발 과정에서 학교관계자 자녀에게 전·입학 특혜를 준 것으로 드러나 논란이 되고 있다.
광주교대 부설초교는 2017학년도 일반전형 기준 경쟁률 6.8:1이 될 정도로 학부모들 사이에서 인기가 높은 국립학교다. 입학 시기에 맞춘 학부모들의 전입으로 인근 아파트의 인기가 덩달아 높아질 정도다.
이 학교는 일반전형(공개 추첨)과 특별전형(국가유공자 및 다문화 가정) 방식으로 신입생을 뽑고 있다. 문제는 특혜성 선발 규정까지 만들어가며 대놓고 '불공정 전입학'의 전횡을 일삼고 있다는 점이다.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은 “학교 이해관계자 자녀들에게 우선권을 부여하는 불공정한 선발 방식을 도입해 결원을 충원하고 있다”며 문제를 제기했다.
학벌없는 사회가 교대부설초교의 입학관련 자료를 청구해 분석한 결과, 학교 이해관계자 자녀들에게 전입학 특혜를 주는 것으로 드러났다.
재학생과 신입생의 결원이 생겼을 경우, 공개추첨 및 국가유공자·다문화가정 우선배정과 같은 기존 신입생 선발방식이 아닌, 학교 이해관계자 자녀들에게 우선권을 부여하는 불공정한 선발방식을 도입해 결원을 충원하고 있다는 것이다.
광주교대부설초교의 2017학년도 전입학 규정에 따르면, 재학생 결원의 경우 교직원 자녀(1순위), 광주교대 교직원 자녀·운영위원회 자녀·재학생 형제자녀(2순위), 일반 학생(3순위) 순에 따라 충원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신입생 결원이 발생하면 신입생 추첨 당일 대기자 남·녀 각각 2명을 1순위로 두고있다. 하지만, 이 학교는 본교 교직원 자녀, 본교 대학교 교직원 자녀·운영위원회 자녀·본교 재학생 형제자녀를 2, 3순위로 두고 충원하고 있다.
국립초등학교의 전입학 규정 등 학교학칙이 지도감독기관인 교육지원청이나 상급기관교육부의 보고·승인사항이 아닌, 각 학교 운영위원회 심의를 통해 무방비 상태로 시행되고 있었던 셈이다.
광주교대 부설초교는 교직원 자녀 7명, 광주교대 교직원 자녀 7명, 학교운영위원회 자녀 7명, 재학생 형제자녀 42명 등이 전입해 재학 중이다.
이에 학벌없는사회는 “공개 추첨을 통해 공정한 전입학을 실시하거나, 특별전형을 통해 사회적 약자 또는 국가 정책적으로 장려가 필요한 가정의 자녀에 기회를 줄 수 있도록, 광주교대 광주부설초교의 전입학 규정을 개정할 것”을 광주시 동부교육지원청과 교육부에 촉구했다.
조현중 기자 ilyo66@ilyo.co.kr
일요뉴스 http://ilyo.co.kr/?ac=article_view&entry_id=268020
VIDEO
시민단체가 차별과 입시를 조장하는 학용품 제조업체 4곳에 대해 국가 인권위에 진정서를 제출했습니다.
혐오문화대응네트워크는 이들 업체가 판매하는 일부 상품은 심각한 차별*입시조장 요소를 담고 있어 청소년들에게 특정 집단에 대한 편견과 혐오 의식을 심어주고 있다고 진정 배경을 설명했습니다.
해당 업체들은 2천 15년 문제가 불거지자 문제의 상품 판매를 중지하겠다는 사과문을 게시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판매를 재개해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광주KBC
VIDEO
혐오문화 대응 네트워크가 차별과 입시를 조장하는 상품 판매나 광고가 근절되지 않고 있다며, 국가 인권위원회에 이를 중단시켜 달라는 진정서를 제출했습니다.
학벌없는 사회를 위한 모임과 광주여성민우회 등 참여 단체들은 최근 조사를 통해 차별과 입시를 조장하는 문구류 30여 개를 적발했고, 결혼 정보회사와 출판사, 학습지 등의 상품이나 광고에도 문제가 없는 지 조사를 하고 있습니다.
광주MBC
학벌없는사회, 불공정한 방식 도입 의혹 제기
데일리모닝] 홍갑의 기자 = 광주교대 광주부설초가 신입생 선발 과정에서 학교 관계자 자녀에게 전·입학 특혜를 주고 있다는 주장이다.
6일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학벌없는사회)에 따르면 광주교대 광주부설초교는 2017학년도 일반전형 기준 경쟁률이 6.8대1에 이를 정도로 학부모들 사이에 인기가 높은 국립 학로 일반전형(공개 추첨)과 특별전형(국가유공자 및 다문화가정)으로 신입생을 선발하고 있다.
그런데 재학생과 신입생의 결원이 생겼을 때 기존 신입생 선발 방식이 아닌, 학교 이해 관계자 자녀들에게 우선권을 부여하는 불공정한 방식을 도입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광주교대 부설초의 2017학년도 전·입학 규정에는 재학생 결원 시 본교 교직원 자녀(1순위), 본교 대학교 교직원 자녀·운영위원회 자녀·본교 재학생 형제자매(2순위), 일반 학생(3순위) 순으로 충원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또 신입생 결원이 있을 때는 신입생 추첨 당일 대기자 남녀 각각 2명을 1순위로 두고 있지만, 본교 교직원 자녀(2순위), 본교 대학교 교직원 자녀·운영위원회 자녀·본교 재학생 형제자매(3순위), 일반 학생(4순위) 순으로 충원하고 있다.
현재 광주교대 부설초교에는 본교 교직원 자녀 7명, 본교 대학교 교직원 자녀 7명, 학교운영위원회 자녀 7명 등이 재학 중이다.
학벌없는사회 관계자는 “이 같은 불공정한 관행을 막을 수 없는 것은 국립초등학교의 전·입학 규정 등 학칙이 지도감독 기관인 교육지원청이나 상급기관인 교육부의 보고·승인 사항이 아니라 각 학교운영위원회 심의를 통해 무방비 상태로 시행되고 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이어 학벌없는사회는 공개 추첨을 통해 공정한 전·입학을 실시하거나 특별전형을 통해 사회적 약자 등에게 기회를 줄 수 있도록 규정을 개정할 것을 교육지원청과 교육부에 촉구했다.
데일리모닝 http://www.dmorning.kr/news/articleView.html?idxno=28732
학벌없는 사회를 위한 광주 시민모임이 광주교대 부설초등학교가 학교 관계자 자녀에게 전학이나 입학 특혜를 주고 있다며 규정 개정을 요구했습니다.
광주 시민모임은 학부모들에게 인기가 높은 교대 부설초등학교가 재학생과 신입생 결원이 생겼을 때 선발 방식이 아닌 학교 교직원 등 이해관계자에게 우선권을 주는 규정을 두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불공정한 관행으로 공개 추첨이나 사회적 약자 등에게 기회를 주는 방식으로 개정돼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광주MBC http://www.kjmbc.co.kr/board/index.cfm?bbs_name=todaynews&wr_id=221671&w=view&page=1&&spt=0
결원 발생시 교직원 자녀 1순위 충원
시민단체 "공개 추첨·규정 개정해야"
광주교대 광주부설초등학교가 신입생 선발 과정에서 학교 관계자 자녀에게 전·입학 특혜를 주는 것으로 드러났다.
5일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이하 학벌없는사회)이 광주교대 부설초교관련 자료를 청구해 분석한 결과 재학생 및 신입생의 결원 발생시 학교 이해관계자 자녀들에게 우선권을 부여하는 불공정한 선발방식을 도입해 결원을 충원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광주교대 광주부설초교는 2017학년도 일반전형 기준 경쟁률 6.8:1이 될 정도로 학부모들 사이에서 인기가 높은 국립학교다. 일반전형(공개 추첨) 및 특별전형(국가유공자 및 다문화 가정)에 의해 신입생을 선발하고 있다.
광주교대 광주부설초교의 2017학년도 전입학 규정에 따르면, 재학생 결원의 경우 본교 교직원 자녀(1순위), 본교 대학교 교직원 자녀·운영위원회 자녀·본교 재학생 형제자녀(2순위), 일반 학생(3순위) 순에 따라 충원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특히 신입생 결원의 경우, 신입생 추첨 당일 대기자 남·녀 각각2명을 1순위로 두고 있지만, 본교 교직원 자녀, 본교 대학교 교직원 자녀·운영위원회 자녀·본교 재학생 형제자녀를 2,3순위로 둬 충원하고 있다.
학벌없는사회는 "불공정한 전입학 관행을 막을 수 없었던 이유는 국립초등학교의 전입학 규정 등 학교학칙이 교육지원청(감독기관)이나 교육부(상급기관)의 보고·승인사항이 아닌, 각 학교 운영위원회 심의를 통해 무방비 상태로 시행되고 있기 때문이다"고 지적했다.
광주교대 광주부설초교는 본교 교직원 자녀 7명, 본교 대학교 교직원 자녀 7명, 학교운영위원회 자녀 7명 등이 전입해 재학 중이다.
학벌없는사회는 "공개 추첨을 통해 공정한 전입학을 실시하거나, 특별전형을 통해 사회적 약자 또는 국가 정책적으로 장려가 필요한 가정의 자녀에 기회를 줄 수 있도록, 광주교대 광주부설초교의 전입학 규정을 개정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전남매일 http://www.jndn.com/article.php?aid=1504623600242941005
광주교육대학교 부설초등학교가 학교 관계자들에게 자녀 전ㆍ입학 특혜를 주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돼 논란이 일고 있다.
학벌없는 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학벌없는사회)은 5일 "광주교대 부설초등학교가 재학생 및 신입생 결원이 발생했을 때 기존 신입생 선발방식이 아닌 학교 관계자 자녀들에게 우선권을 부여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들에 따르면 광주교대 부설초등학교 2017학년도 전ㆍ입학 규정은 재학생 결원시 본교 교직원 자녀 1순위, 본교 대학교 교직원 자녀ㆍ운영위원회 자녀ㆍ본교 재학생 형제 자녀 2순위, 일반 학생 3순위로 정하고 있다.
이 가운데 신입생 결원시에는 추첨 당일 대기자 남ㆍ여 각각 2명을 1순위로 두고 있지만, 교직원 자녀 또는 운영위원회 자녀, 재학생 형제 자녀를 2, 3순위로 충원하고 있다.
학벌없는사회 측은 "국립초등학교 학칙은 교육지원청이나 교육부의 보고ㆍ승인사항이 아니고 학교 운영위원회 심의를 통해 결정하면서 이 같은 폐단이 발생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이날 현재까지 광주교대 부설초등학교에는 교직원 자녀 14명과 운영위원회 자녀 7명, 재학생 형제 자녀 42명이 전입해 재학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광주교대 부설초등학교는 올해 일반전형 경쟁률이 6.8대 1이 될 정도로 학부모들 사이에서 인기가 높다.
학벌없는사회는 "공개 추첨을 통해 공정한 전ㆍ입학을 실시하거나 사회적 약자 가정에 기회를 줄 수 있도록 규정을 개정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노병하 기자
전남일보 http://www.jnilbo.com/read.php3?aid=1504623600531550004
광주교육대학교 부설 광주초등학교가 학교 이해관계자 자녀들에게 전입학 특혜를 주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은 5일 자료를 발표하고 광주교육대 부설초교의 입학관련 자료를 청구해 분석한 결과 이 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학벌없는사회광주에 따르면 광주교대부설초의 일반전형 기준 경쟁률은 올해에만 6.8대1을 기록할 정도로 학부모들 사이에서 인기가 높은 국립학교로, 공개추첨을 통한 일반전형, 국가유공자 및 다문화 가정 등을 대상으로 한 특별전형 방식으로 신입생을 선발하고 있다. 신입생의 결원이 생겼을 경우 공개추첨 또는 특별전형 대기자를 1순위로 배정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교직원 자녀 2순위, 본교 재학생 형재자매 또는 본대학교 교직원 자녀와 운영위원회 자녀는 3순위, 일반학생 4순위로 명시하고 있다.
문제는 학교 측이 규정에 따라 결원을 충원하지 않고 학교 이해관계자 자녀들에게 우선권을 부여하는 등 불공정한 방법으로 선정하고 있는 점이라고 학벌없는사회 광주는 지적했다.
학벌없는사회광주는 이 같은 불공정한 전입학 관행을 막을 수 없었던 이유는 국립초등학교의 전입학 규정 등 학교학칙이 교육지원청(지도감독기관)이나 교육부(상급기관)의 보고·승인사항이 아닌, 각 학교 운영위원회 심의를 통해 무방비 상태로 시행되고 있었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주현정기자 doit850@gmail.com
무등일보 http://honam.co.kr/read.php3?aid=1504623600534563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