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벌없는사회, “학교 이해관계자
자녀들에게 우선권 부여”
광주교육대학교 부설 광주초등학교가 학교 이해관계자 자녀들에게 전입학 특혜를 주는 것으로 드러나 논란이다.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이 광주교대 부설 광주초등학교의 입학관련 자료를 청구해 분석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을 확인하고 5일 보도자료를 발표했다.
학벌없는사회에 따르면, 광주교대 광주부설초교는 2017학년도 일반전형 기준 경쟁률 6.8:1이 될 정도로 학부모들 사이에서 인기가 높은 국립학교다.
일반전형(공개 추첨) 및 특별전형(국가유공자 및 다문화 가정)에 의해 신입생을 선발하고 있다.
문제는 재학생 및 신입생의 결원이 생겼을 경우, 공개추첨 및 국가유공자·다문화가정 우선 배정과 같은 기존 신입생 선발방식이 아닌 불공정 전입학이 이뤄지고 있다는 것.
학벌없는사회는 “학교 이해관계자 자녀들에게 우선권을 부여하는 불공정한 선발 방식을 도입하여 결원을 충원하고 있다”며 문제를 제기했다.
광주교대 광주부설초교의 2017학년도 전입학 규정에 따르면, 재학생 결원의 경우 본교 교직원 자녀(1순위), 본교 대학교 교직원 자녀·운영위원회 자녀·본교 재학생 형제자녀(2순위), 일반 학생(3순위) 순에 따라 충원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신입생 결원의 경우, 신입생 추첨 당일 대기자 남·녀 각각 2명을 1순위로 두고 있지만, 본교 교직원 자녀, 본교 대학교 교직원 자녀·운영위원회 자녀·본교 재학생 형제자녀를 2, 3순위로 두어 충원하고 있다.
국립초등학교의 전입학 규정 등 학교학칙이 교육지원청(지도감독기관)이나 교육부(상급기관)의 보고·승인사항이 아닌, 각 학교 운영위원회 심의를 통해 무방비 상태로 시행되고 있었던 것.
이에 학벌없는사회는 “공개 추첨을 통해 공정한 전입학을 실시하거나, 특별전형을 통해 사회적 약자 또는 국가 정책적으로 장려가 필요한 가정의 자녀에 기회를 줄 수 있도록, 광주교대 광주부설초교의 전입학 규정을 개정할 것”을 광주광역시 동부교육지원청 및 교육부에 촉구했다.
한편, 광주교대 광주부설초교는 본교 교직원 자녀 7명, 본교 대학교 교직원 자녀 7명, 학교운영위원회 자녀 7명 등이 전입하여 재학 중이다.
김우리 기자 uri@gjdream.com
광주드림 http://www.gjdream.com/v2/news/view.html?news_type=202&uid=482244
학벌없는사회, 불공정한 방식 도입 의혹 제기
광주교대 광주부설초가 신입생 선발 과정에서 학교 관계자 자녀에게 전·입학 특혜를 주고 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5일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이하 학벌없는사회)에 따르면 광주교대 광주부설초교는 2017학년도 일반전형 기준 경쟁률이 6.8대1에 이를 정도로 학부모들 사이에 인기가 높은 국립 학로 일반전형(공개 추첨)과 특별전형(국가유공자 및 다문화가정)으로 신입생을 선발하고 있다.
그런데 재학생과 신입생의 결원이 생겼을 때 기존 신입생 선발 방식이 아닌, 학교 이해관계자 자녀들에게 우선권을 부여하는 불공정한 방식을 도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광주교대 부설초의 2017학년도 전·입학 규정에는 재학생 결원 시 본교 교직원 자녀(1순위), 본교 대학교 교직원 자녀·운영위원회 자녀·본교 재학생 형제자매(2순위), 일반 학생(3순위) 순으로 충원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또 신입생 결원이 있을 때는 신입생 추첨 당일 대기자 남녀 각각 2명을 1순위로 두고 있지만, 본교 교직원 자녀(2순위), 본교 대학교 교직원 자녀·운영위원회 자녀·본교 재학생 형제자매(3순위), 일반 학생(4순위) 순으로 충원하고 있다.
현재 광주교대 부설초교에는 본교 교직원 자녀 7명, 본교 대학교 교직원 자녀 7명, 학교운영위원회 자녀 7명 등이 재학 중이다.
학벌없는사회 관계자는 “이 같은 불공정한 관행을 막을 수 없는 것은 국립초등학교의 전·입학 규정 등 학칙이 지도감독 기관인 교육지원청이나 상급기관인 교육부의 보고·승인 사항이 아니라 각 학교운영위원회 심의를 통해 무방비 상태로 시행되고 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이어 학벌없는사회는 공개 추첨을 통해 공정한 전·입학을 실시하거나 특별전형을 통해 사회적 약자 등에게 기회를 줄 수 있도록 규정을 개정할 것을 교육지원청과 교육부에 촉구했다.
박은성 기자 pes@kjdaily.com
광주매일신문 http://www.kjdaily.com/read.php3?aid=1504609216417647005
결원 발생때 교직원 자녀 1순위 충원
광주교육대 부설초등학교가 신입생 선발과정에서 학교 관계자 자녀에게 전·입학 특혜를 주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5일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이하 학벌없는사회)에 따르면 광주교대 광주부설초교는 재학생과 신입생의 결원이 생겼을 때 기존 신입생 선발 방식이 아닌, 학교 이해관계자 자녀들에게 우선권을 부여하고 있다.
광주교대 부설초등학교 2017학년도 전·입학 규정은 재학생 결원시 본교 교직원 자녀 1순위, 본교 대학교 교직원 자녀·운영위원회 자녀·본교 재학생 형제 자녀 2순위, 일반 학생 3순위로 정하고 있다.
신입생 결원 때에는 추첨 당일 대기자 남·여 각각 2명을 1순위로 두고 있지만, 교직원 자녀 또는 운영위원회 자녀, 재학생 형제 자녀를 2, 3순위로 충원하고 있다.
국립초등학교 학칙은 교육지원청이나 교육부의 보고·승인사항이 아니고 학교 운영위원회 심의를 통해 결정하면서 이 같은 폐단이 발생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현재 이 학교에는 초등학교 교직원 자녀 7명, 대학교 교직원 자녀 7명, 학교운영위원회 자녀 7명 등이 재학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학벌없는사회 관계자는 “이 같은 불공정한 전·입학 관행을 막을 수 없었던 것은 국립초등학교의 학칙이 지도감독기관인 교육지원청이나 상급기관인 교육부의 보고·승인사항이 아닌, 각 학교 운영위원회 심의를 통해 시행되고 있었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공개 추첨을 통해 공정한 전·입학을 실시하거나 특별전형을 통해 사회적 약자 등에게 기회를 줄 수 있도록 규정을 개정할 것을 교육지원청과 교육부에 촉구했다.
한편 광주교대 광주부설초등학교는 2017학년도 일반전형 기준 경쟁률이 6.8대 1에 이를 정도로 학부모들 사이에 인기가 높은 국립학교다. 이 학교는 일반전형(공개 추첨)과 특별전형(국가유공자 및 다문화가정)으로 신입생을 선발하고 있다.
광남일보 http://www.gwangnam.co.kr/read.php3?aid=1504605922266474018
전남인터넷신문 http://jnnews.co.kr/news/view.php?idx=208946
신문고뉴스 http://www.shinmoongo.net/sub_read.html?uid=106892
플러스코리아타임즈 http://www.pluskorea.net/sub_read.html?uid=98073
통합뉴스 http://www.tonghab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44801
광주교대 광주 부설초교가 학교 교직원 등 학교 이해관계자 자녀들에게 전·입학 특혜를 준 것으로 드러났다.
5일 학벌 없는 사회 광주시민모임(이하 학벌 없는 사회)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광주교대 광주 부설초교는 재학생과 신입생 결원이 생겼을 때 공개추첨 등의 기존 선발 방식이 아닌 학교 이해관계자 자녀들에게 우선권을 부여했다.
광주교대 광주 부설초교의 전·입학 규정에 따르면 재학생 결원 시 본교 교직원 자녀 1순위, 본교 대학교 교직원 자녀·운영위원회 자녀·본교 재학생 형제 자녀 2순위 등에 따라 충원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이에 따라 해당 학교에는 본교 교직원 자녀, 본교 대학교 교직원 자녀, 운영위원회 자녀가 각각 7명이 재학 중이다.
학벌 없는 사회는 "이와 같은 불공정한 전·입학 관행이 적용될 수 있었던 것은 국립초등학교의 전·입학 규정 등의 학교 학칙이 각 학교 운영위원회 심의를 통해 시행되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또 "공개 추첨을 통해 공정한 전·입학을 실시하거나 사회적 약자 가정 자녀에 기회가 되도록 전·입학 규정 개정을 광주시 동부교육지원청과 교육부에 촉구했다"고 말했다.
광주교대 광주 부설초교는 2017학년도 일반전형 기준 경쟁률이 6.8대 1을 기록할 정도로 학부모들에게 인기가 높은 국립학교다.
노컷뉴스 http://www.nocutnews.co.kr/news/4841972#csidx6c216371e468f9db2df59243307cc8a
VIDEO
광주교대 부설초등학교가 학생 선발 과정에서 학교 관계자 자녀에게 전·입학 특혜를 주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습니다.
학벌없는 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은 이 학교가 학생 결원이 생기면 학교 관계자 자녀들에게 우선권을 부여하는 것에 대해 불공정하다고 주장했습니다.
실제로 이 학교에는 학교 교직원 자녀 14명, 학교운영위원회 자녀 7명 등이 재학 중인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광주KBS
VIDEO
광주교대 부설 초등학교에서 교직원 자녀 등 학교 관계자 자녀에게 전·입학 특혜를 주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에 따르면, 광주교대 부설 초등학교에서 재학생·신입생의 결원이 발생할 경우, 공개추첨이나 국가유공자, 다문화 가정 우선배정이 아닌 교직원이나 운영위원회 자녀 등을 우선 충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학벌없는사회는 국립초교의 학칙이 관내 교육지원청이나 교육부 승인 사항이 아닌, 학교 운영위 심의를 통해 결정된다는 점을 지적하고, 광주교대 부설 초교의 전입학 규정을 개정해야한다고 요구했습니다.
광주KB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