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학교 합격자, 서울지역 및 특수목적고 매몰현상은 지역의 불평등과 특정계층만 특권을 누리는 현상을 야기 시킨다.


한국의 학벌 성지라 불리는 서울대학교. 서울대학교가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2013년 서울대 합격자(검정고시, 외국 소재 고등학교 출신제외) 3284명 중 입학생이 가장 많은 지역은 서울이다. 무려 1196명이 입학했다. 물론 서울에 인구가 집중되어 있다는 점이 반영되어야겠지만 전체 합격자의 36%가 서울 출신이라는 것은 매우 높은 수치다. 경기와 인천을 포함해서 보면 전체 합격자의 59%, 서울대 성골이 수도권 출신인 셈이다.


또 하나 주목할 만한 것은 외고, 국제고, 과학고, 영재고 등 특수목적고등학교 합격자중 서울출신이 크게 두드러진 다는 것이다. 2013년도 입학 자료에 따르면 일반계고 합격자는 2333명, 국제고/외국어고 합격자는 412명, 과학고/영재고 합격자는 353명, 예술고/체육고 합격자는 179명, 전문계고 합격자는 6명이다. 이 중 외국어고·과학고·예술고·국제고 등 특목고 합격자 중 서울 출신을 보면 다음과 같다.


일반고

외국어고

과학고

예술고, 체육고

전문계고

서울

708

199

142

145

2

전국

2333

412

353

179

6

비율

30%

48%

40%

81%

33%


일반고 중 서울 출신 합격자가 30%고, 전문계고에서는 33%로 전체 서울대 합격자 중 서울지역 비율보다 낮게 나타난다. 그러나 특목고 합격자들은 서울출신이 40% 이상이다. 외고는 48%, 과학고는 40%가 서울 지역 출신이며. 예고 출신은 무려 81%가 서울 지역이다. 통계상으로만 봐도 지역과 서울간의 교육 불평등의 지점이 확연히 드러나고 있다.


마지막으로 봐야 할 것은 전문계고 출신의 서울대 합격률이 너무 낮다는 점이다. 비록 전문계 고등학교가 수능시험 준비 등 대학 입학을 위한 공부의 비중이 낮고, 공업, 상업, 디자인 등 특정분야에 대한 전문성과 기능을 양성하는 게 중심이기는 하지만, 엄연히 서울대에 전문계고 입학 전형이 존재하는데 전체 입학생의 0.2%도 되지 않는다는 것은 그만큼 전문계고 졸업생에게 서울대의 문턱이 높다는 얘기이며, 서울대의 전문계고 전형이 허울에 불과하다는 얘기일 수 있다.


결국, 서울대의 입시안은 특목고 출신 학생들에게 매우 유리한 방향으로 적용되어 4명중 1명꼴로 합격자를 배출하고 있는 현실이며, 그 톡수목적고 진학자 절반이 강남3구와 교육특구 지역출신들이 많은 것으로 보았을 때, 부모들의 재산에 따라 학벌이 되물림 될 수 있다는 영향이 크다.


특목고가 설립목적과 다르게 입시 준비학교가 되어버린 현 상황에서, 서울대 마저도 특목고를 우대하는 방향으로 입시 제도를 진화시키고 있다. 이런 불평등함을 시정하기 위해 정부차원에서 특목고 도입에 대해 재고할 필요가 있고, 특목고들에게 특혜를 베푸는 서울대가 국민을 상대로 사기행위를 하지 않는 올바른 입시정책이 필요하다. 특히, 이와 같은 대학서열화 및 불평등 현상을 없애기 위해 대학평준화의 기틀에 맞춘 교육정책 도입이 하루 빨리 필요하다.


2013. 3. 25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



,

작년에 이어 올해도 회계감사를 하게 되었습니다. 작년과는 다르게 올해는 도톰한 자료를 바탕으로 회계감사를 시작했습니다. 작년 회계감사 때, 영수증 처리를 권유해드렸는데, 정말 꼼꼼하게 영수증 처리를 해주었습니다. 바쁜 시간을 쪼개어 회계정리를 해주셨을 텐데 제가 괜히 번거로움을 주었던 부분인 것 같아 자료를 검토하면서 미안한 마음이 들었습니다.


1. 작년과 마찬가지로 올해도 통장 2개를 사용했습니다. 수수료 때문에 2개의 통장을 번갈아 가며 사용했는데요, 알뜰한 살림을 위해 노력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지금까지 형준님의 개인통장으로 사용했는데, 이제는 법인 통장으로 발급받아 사용하고 있답니다. 고생하셨습니다.


2. 작년에는 통장에 찍혀있는 입‧출금 내역을 보면서 감사를 진행했습니다. 작년과 달리 올해는 꼼꼼하게 영수증 증빙이 다 되어있었으며, 입‧출금 내역 또한 모두 출력해주어서 세세하게 검토해볼 수 있었습니다. 작년과 올해 회계감사를 하면서 비교하고 느끼며 좀 더 효율적인 검토 방법이 무엇인지 며칠 고민해보았습니다. 저의 개인적인 의견을 감히 제시하자면 엑셀을 이용해 날짜별 지출내역을 정리해보면 어떨까 싶습니다. 통장엔 찍혀지는 글자 수가 한정되어 있어서 자칫 어떠한 내역으로 돈이 오고 갔는지 확인이 안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러한 경우를 대비하기 위해 자세한 내용들을 따로 적어두는 부분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영수증들이 모아지는 경우는 따로 정리하되, 통장으로 확인되는 부분은 따로 출력하여 증빙할 필요는 없을 것 같습니다. 이상은 저의 개인적인 의견이니 회원 여러분께서 조금 더 이야기 나눠주셨으면 합니다.


3. 2012년 10월부터 2013년 12월까지 간혹 급여가 밀리는 경우가 있긴 했지만 작년 정기총회 때 약속했던 90만원이라는 급여를 정기적으로 받을 수 있었습니다. 많지 않은 급여라 계산하는 것조차 미안합니다. 하지만 이전 지급내역에 비해서 많이 좋아지고 있는 것 같아 미안한 마음을 조금 덜었습니다. 형준님의 급여부분이 한 해 한 해 나아질 수 있도록 올해도 의견을 모아주십시오.


4. 계획에 없던 물품구입비 지출이 두 번 크게 있었습니다. 빔 프로젝터 구입과 태양광 발전기 설치인데요. 학벌살림살이를 길게 봤을 때 꼭 필요한 물품들입니다. 물품을 구입할 수 있는 여유 돈이 만들어져 다행이도 살림살이 장만을 했는데요, 예정에 없던 지출이긴 하지만 고민하고 구입했을 거라 생각됩니다. 알뜰살뜰 모아 살림살이 장만을 해주어서 감사합니다.


5. 보증금 400만원에 대한 부채가 남아있습니다. 어떠한 방법으로 부채를 상환해야 할지 고민해보아야 할 것입니다.

한 해 고생하셨습니다. 미안하고 고맙습니다.


2014. 1. 16 신민정 감사

'살림살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4년 1월 살람살이  (0) 2014.02.19
2013년 10~12월 살림살이  (0) 2014.02.19
2013년 9월 살림살이  (0) 2013.12.10
2013년 7,8월 살림살이  (0) 2013.09.03
2013년 6월 살림살이  (0) 2013.07.03
,




함평 아인스학원에서 게시한 특정학교 합격 현수막을 제보받았습니다. 그리고 바로 전남교육청에게 민원을 제기했습니다. 제보해주신 알똥 님 감사! 특정학교 합격 게시물은 국가인권위원회에서 인권침해(학벌차별)라고 결정내린 사안입니다. 제발 지켜주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