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학사 투입 현장 점검…통학불편 해소도 협의

 

광주시교육청이 2일부터 8시30분 이전 강제 등교를 금지한 가운데 일부 학교에서 이를 지키지 않아 관리·감독을 강화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학벌없는 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은 3일 보도자료를 통해 "9시 등교의 성공적 안착을 위해 광주시교육청은 각급 학교의 관리·감독을 강화하라"고 촉구했다.

시민모임에 따르면, A고교의 경우 학기초에 학부모와 학생에게 배포한 일과 및 시간 운영계획에서 아침 등교시간을 7시30분으로 알렸다.

B고와 C여고 학생들은 등교시간을 8시10분까지로 알고 있었으며, 일부 학교는 고3만 7시50분에 등교하도록 했다.

이처럼 시교육청이 8시30분 강제등교 금지 지침을 내렸음에도 일부 학교에서 등교 시간을 조정하지 않은 건 학교장의 재량에 따라 등교시간을 조정하도록 하는 등 강제성이 없기 때문이다.

시행 첫날인 2일 시교육청은 310개 학교 대부분이 등교시간을 8시30분 이후로 조정했다고 밝혔다.

하지만 일부 학교가 실제 등교시간을 교육청에 보고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시교육청은 4일부터 이틀간 본청 장학사 37명을 담당학교로 보내 현장 점검을 벌일 계획이다.

등교시간에 학생들을 직접 만나 현장 조사를 벌이고 학교 측을 상대로 8시30분 이전 자율등교 학생들에 대한 관리 문제에 대해서도 지도할 방침이다.

시교육청 관계자는 "시행 초기인만큼 다소 혼선과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예상돼 지도·관리를 강화하기로 했다"며 "등교가 늦어지면서 셔틀버스 이용 학생들의 불편이 제기된 만큼 광주시와 협의해 시내버스 배차를 조정하는 방안도 논의하겠다"고 밝혔다.

김명식 기자 msk@namdonews.com

 

남도일보 http://www.namdo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380679

,

광주 한 고등학교, 자기주도적 학습 강제... 개학 직후 '강제 야자' 속출

 

 

 

▲  광주의 한 고등학교가 '야간 자율학습을 하지 않을 경우 대학입시에 불이익을 주겠다'는 내용의 통지서를 학생과 학부모에게 배포했다. 광주시교육청이 고등학교의 강제 야간 자율학습을 금지하고 있는 상황에서, 해당 통지서가 학생과 학부모의 선택권을 침해했다는 비판이 나올 전망이다. 3일 <오마이뉴스>가 입수한 A고등학교의 '가정학습 신청서'에는 "교내에서 실시하는 자기주도적 학습 시간을 충분히 확보하지 못한 경우 수시원서 작성 시에 담임 추천서를 쓸 수 없음을 이해하라"는 내용이 담겨 있다. 
ⓒ 소중한

 

"교내에서 실시하는 자기주도적 학습 시간을 충분히 확보하지 못한 경우 수시 원서 작성 시에 담임 추천서를 쓸 수 없음을 이해하고, 추후 담임 선생님을 비롯한 모든 교사에게 추천서를 요구하지 않을 것을 약속한다."

 

광주의 한 고등학교가 '야간 자율학습을 하지 않을 경우 대학입시에 불이익을 주겠다'는 통지서를 학생과 학부모에게 배포해 문제가 되고 있다.

광주시교육청이 고등학교의 강제 야간 자율학습을 금지하고 있는 상황에서, 해당 통지서가 학생과 학부모의 선택권을 침해했다는 비판이 나올 것으로 보인다.

3일 <오마이뉴스>가 입수한 A고등학교의 '가정학습 신청서'에는 "교내에서 실시하는 자기주도적 학습 시간을 충분히 확보하지 못한 경우 수시원서 작성 시에 담임 추천서를 쓸 수 없음을 이해하라"는 내용이 담겨 있다.

이어 "(자기주도적 학습을 하지 않을 경우) 추후 담임 선생님을 비롯한 모든 교사에게 추천서을 요구하지 않을 것을 부모님 연서로 약속한다"는 내용과 함께 학생과 학부모의 서명란이 마련돼 있다.

신청서에 말하는 '자기주도적 학습'은 정규 수업이 끝난 뒤에 진행되는 보충수업과 야간 자율학습을 지칭한다.

 

광주시교육청 "정규수업 외 교육활동, 강제 못해"

 

 

▲  지난 2월,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에 따르면, 광주 관내 고등학교가 광주시교육청의 느슨한 지침마저 위반한 채 방학 중 자율학습을 진행한 것으로 확인됐다. 
ⓒ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
 

고3 학생을 대상으로 한 이 가정학습 신청서는 표면적으로 자기주도적 학습의 선택권을  학생과 학부모에게 주는 것처럼 돼 있다. 신청서에는 '학생이 자기주도적 학습을 하고 싶지 않을 경우 학부모의 동의가 있어야 한다'는 내용이 주로 담겨 있다. 학생·학부모 모두가 서명한 신청서를 학교에 제출하면, 학생은 자기주도적 학습을 하지 않아도 된다.

문제는 "수시 원서 작성 시 담임 추천서를 쓸 수 없다", "모든 교사에게 추천서를 요구하지 않는다" 등의 내용이다. 자기주도적 학습을 하지 않는 학생의 경우 대학입시에 불이익을 받을 수 있다는 내용이 담긴 것이다.

광주시교육청이 각 학교에 내린 '정규수업 이외 교육활동 기본계획'에는 보충수업, 자율학습의 경우 "학생·학부모에게 자율적 선택권을 부여하고, 어떤 경우에도 학생 선택을 강제할 수 없다"는 내용이 명시돼 있다.

광주 관내 고등학교의 한 교사는 "학생이 자기주도적 학습을 했는지, 하지 않았는지 여부는 수시 원서의 담임 추천서를 쓰는 것과 아무런 관련이 없다"며 "해당 가정학습 신청서는 문제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A고등학교 측은 3일 <오마이뉴스>와 한 통화에서 "신청서에 '교내에서 실시하는 자기주도적 학습을 하지 않을 경우 담임 추천서를 쓸 수 없다'고 돼 있는데 '교내외'라고 쓴다는 것을 '교내'로 잘못 쓴 것 같다"며 "자기주도적 학습을 하지 않는 학생의 경우, 방과 후 교외 생활지도가 어려워 이를 학부모에게 당부하기 위해 신청서를 보냈다"고 해명했다.

이어 "문제가 된 '수시원서 작성 시 담임 추천서를 써줄 수 없다'는 내용을 지우고, 다시 학생과 학부모에게 신청서를 보내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야간 자율학습, 암묵적 강요 행태 여전

 

한편 2일 광주 대다수 학교가 개학하면서 '강제 야간 자율학습'을 둘러싼 문제가 커지고 있다. A고등학교와 같이 '대학입시에 불이익을 주겠다'는 경우는 아니더라도, 많은 학교에서 학생과 학부모의 선택권을 박탈한 채 야간 자율학습을 진행한 것으로 나타났다.

B고등학교 1학년 학생은 "신청서를 받지도 않고, 개학하자마자 야간 자율학습을 시켰다"고 말했고, C고등학교 1학년 학생의 학부모는 "개학 첫날, 2주 동안 야간 자율학습을 하는 게 의무사항이란 통보를 받았다"고 설명했다.

D고등학교 1학년 학생도 "담임 교사로부터 '면학 분위기 흐리지 말고, 한 명도 빠짐없이 야간 자율학습에 참여하라'는 말을 들었다"고 강조했다.

앞서 개학 이전에는 '방학 중 강제 자율학습'과 관련된 광주시교육청의 느슨한 지침과 이 지침마저도 지키지 않은 일부 고등학교가 논란이 되기도 했다.

박고형준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 상임활동가는 "형식적으로 선택 여부를 물어볼 뿐 실제로는 (야간 자율학습을) 암묵적으로 강요하는 분위기가 고등학교 내에 여전히 존재한다"며 "학생들은 학교가 기르는 사육대상이 아니다"라고 비판했다.

이어 "광주시교육청은 반복되는 강제학습 문제를 묵인하지 말고, 일선 학교에서 재차 강제 학습을 실시할 경우 행·재정적 조치를 취하는 등 관리 감독을 강화해야 한다"며 "나아가 자율학습 금지 조치와 같은 강력한 결단을 내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오마이뉴스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086494&CMPT_CD=P0001

,

학벌없는사회 "자율학습 불이익 엄포로 사실상 강제"

광주시교육청의 금지 방침에도 불구하고 광주지역 일부 학교들이 야간자율학습 불참시 불이익을 주겠다고 공공연히 엄포를 놓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학벌없는 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이하 시민모임)은 4일 보도자료를 내 “ㅅ교등학교의 경우 학교에서 자기주도적 학습 시간(야간자율학습)을 하지 않을 경우 수시원서 접수 시 담임 추천서를 써줄 수 없다고 하면서 사실상 강제학습을 실시하고 있다”며 “이러한 강제학습은 비단 학교만의 일이 아니며 광주시교육청이 방관하는 입시교육의 현주소”라고 주장했다.

이어 “우리 단체가 폭넓게 조사하지 않았지만 많은 학교에서 학생들에게 형식적으로 선택 여부를 물을 뿐 실제로는 야간자율학습을 하고 싶지 않더라도 암묵적으로 강요하는 분위기는 여전히 존재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주장했다.

시민모임에 따르면 ㅅ고등학교 외에도 ㅁ고, ㄷ고교 등이 학생들의 학습 선택권과 행복추구권 등을 침해하는 강제야간자율학습이 공공연하게 이뤄지고 있다.

이 단체는 “학생들은 학교가 시키는 대로 길러지는 사육대상이 아니며 온전한 자기 시간을 통해 즐겁고 자유로운 생활을 할 수 있어야 한다”면서 “이러한 자유에 대한 권리는 광주학생인권조례에 명시돼 있다”고 밝혔다.

또 “그렇기에 우리 단체는 관리·감독기관인 광주시교육청이 더 이상 이처럼 반복되는 강제학습 문제를 묵인하지 말고, 선택권 보장을 넘어 자율학습 금지 조치와 같은 강력한 결단을 내려야 한다고 촉구한다”면서 “일선 학교에 강제 야간자율학습을 실시할 경우 행·재정적 조치 등 관리감독을 강화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아울러 “특히 학생들의 강제자율학습으로 광주학생인권조례가 사문화되고 있다”며 “시교육청은 학생인권조례를 만들었다면 이에 따른 학습권 보장을 위해 책임 있는 자세로 나서고, 인권친화적 교육활동 운영지침을 마련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고 강조했다.

이호행 기자 gmd@gjdream.com

 

광주드림 http://www.gjdream.com/v2/news/view.html?uid=4635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