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남교육청, 어린이 통학버스 문제 ·형사상 책임은 교육청이 지기로

- 광주교육청, 어린이 통학버스 계약 취소 시 위약금은 학교가 책임지기로

 

서이초등학교 교사의 49재인 공교육 멈춤의 날 참여를 위한 학교·개별 교사들의 행동에 대해, 광주광역시교육청은 학교 공동체를 보호해주지 못할망정, 교육부의 위법사항 안내 공문을 근거로 징계를 운운한 바 있다.

 

- 교육부 장관의 입장선회로 재량휴업 결정, 연가·병가 사용을 한 교장, 교사들의 징계는 없던 일이 되었지만, 광주시교육청과 교육감이 학교 공동체를 보호해주지 못한 대표적인 선례가 되어, 학교현장의 공분은 여전히 가득 차 있다.

 

- 법령상 이유로 학교에 책임을 떠넘기는 상황은 이 뿐 만이 아니다. 전국적으로 논란이 되고 있는 학교 현장체험학습, 수학여행 관련 어린이 통학버스 문제도 책임주체를 학교로 두고 있어, 학교가 부담을 느껴해 현장체험학습을 취소하는 등 학생들의 교육활동 피해로 이어지고 있다.

 

지난해 10월 법제처는 현장체험학습을 위한 어린이 이동도 통학에 해당된다.’는 해석을 한 바 있다. , 전세버스나 관광버스도 어린이 운송을 위해서는 어린이 통학버스 규정에 맞게 도색 등 구조변경을 해야 운행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 이러한 해석 이후, ‘어린이 통학버스가 부족해 현장체험학습을 할 수 없다.’며 계약 취소 사례들이 연이어 벌어지고 있다. 경찰청이 관련 단속을 유예하기로 했지만 교사나 학교의 과실을 물을 여지가 있기 때문이다.

 

- 물론 법제처의 해석대로 현장체험학습에 적합한 어린이 통학버스를 학교가 직접 구하는 것은 하늘의 별 따기나 마찬가지다. 그렇다면 교육당국이 현장체험학습 통학버스에 운영에 대해 책임을 갖고 대책을 세워야 할 텐데 여전히 현실에 안주하는 모양새다.

 

이러한 가운데 전라남도교육청은 최근 공문을 통해 현장체험학습 중 통학버스가 아닌 차량 사용에 따른 문제 발생할 경우 민·형사상 책임은 교육청에 있다, 정상적인 학사 운영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학교에 안내한 바 있다.

 

- 그런 반면, 같은 날 광주시교육청은 공문을 통해 현장체험학습 운영방법 변경이 필요할 경우 학교운영위원회 심의를 거쳐야 하며, 이로 인한 계약 취소 시 발생하는 위약금은 학교회계 예산에서 지출이 가능하다.”며 학교에 책임을 물고 있다.

 

- 이처럼 전세버스나 관광버스를 통학차량으로 이용하는 것이 위법함을 알면서도 그 책임을 일선 학교들에 미루는 광주시교육청의 무책임한 상황 인식에 학교 현장은 개탄하고 있다. 이에 우리단체는 시급히 광주시교육청에 요구한다.

 

어린이 통학버스 문제 발생에 대해 교육청이 민·형사상 책임을 지고, 현장체험학습, 수학여행 등 정상적인 교육활동이 이뤄질 수 있도록 노력할 것.

 

2023. 9. 10.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시민모임

,

[보도자료] 강제로 스마트기기 빌려 쓰라는 광주시 교육청

_ 학교 상황파악, 사전 수요조사 없이 학생 수만큼 구입했는데 수요자 없어 난감.

_ ‘희망자 신청 대여기간 연장 모든 학생 동의서 수거 지시행정 양상 변화.

_ 업무 무관한 26명의 장학사 학교방문 지시, 태블릿 PC 영업사업 취급.

_ 일방행정, 예산낭비 사태에 대해 광주시의회가 질타하고, 감독기관은 감사해야.

 

최근 추경을 통해 추진하는 중고등학교 스마트기기 보급 사업과 관련하여, 광주광역시교육청이 학생들에게 스마트기기를 강제로 대여하는 행태를 멈추지 않고 있어, 광주시의회의 조사와 감독기관의 감사가 필요하다.

 

지난해 광주시의회에서 준비 부족을 이유로 스마트기기 보급 사업을 중단시킨 것을 돌아보며, 학교 상황과 수요를 파악한 후 스마트기기를 구매하는 것이 상식적인 행정일 텐데, 스마트기기를 모든 학생 수(43,000)만큼 사놓고 대여 희망자를 창출하려는 거꾸로된 행정을 하고 있는 것이다.

 

처음에는 순수하게 희망자를 모집하더니, 희망자가 턱없이 부족하자 동의서 제출 기간을 연장했고, 그래도 안 되자, 이제 모든 학생이 스마트기기를 대여 받을 수 있도록동의서를 수합하라며 학교를 다그치고 있다.

 

특히 시민사회에서 이미 해당 사안에 대해 문제 제기했음에도, 광주시교육청은 이에 아랑곳하지 않고, 장학사 26명을 고등학교로 급파해 설득하겠다는 계획을 시행하였는데, 업무와 무관한 교육전문 인력을 태블릿PC 판매 영업사원 취급하며 스마트기기 보급에 열을 올리고 있다.

 

또한, ‘학생의 스마트기기 보유 여부와 상관없이 지급할 계획인데, 이는 예산낭비와 탁상행정을 감추기 위해 광주시교육청 창고에서 낡아가게 될 스마트기기를 여론이 집중되기 전 서둘러 학생 자택으로 옮기겠다는 발상이다.

 

한편, 현장 교사, 학부모, 학생의 불만이 고조되는 것에 대해 광주시교육청 담당부서는 미래교육 확산의 일환’, ‘디지털 교과서 보급을 위한 초석등 추상적인 수사만 반복하거나, ‘광주가 스마트기기 보급률 전국 시도 13위인데, 광주학생들만 피해를 입어도 좋다는 거냐?’는 말만 맥락 없이 강변하고 있다.

 

이처럼 미래 교육을 준비하는 정도를 학교에 보급한 스마트기기 숫자로 증명하는 것은 전형적인 관료행정이며, ‘강제로’ ‘빌려주겠다.’는 모순도 못 깨닫는 것은 행정의 치부를 감추기에 급급한 탓이다.

 

제약된 예산과 행정력을 알차게 활용하지 않으면, 그 손해는 결국 교육 주체들에게 돌아갈 수밖에 없다. 지금 광주시교육청이 추진하고 있는 행정의 방식은 스마트기기 제조·판매 업체의 배를 불려주려는 의도나 행정 구멍을 힘으로 감추려는 억지를 전제하지 않으면 이해하기 어렵다.

 

이에 우리는 다음과 같이 요구하는 바이다.

_ 광주시교육청은 일방적인 스마트기기 강제 보급 사업을 멈추고, 수습 대책을 마련하라.

_ 광주시의회는 구멍투성이 스마트기기 보급 계획을 조사하라.

_ 기획재정부(예산낭비신고센터)는 예산 낭비 사업을 철저하게 감사하고 책임자를 문책하라.

 

2023. 9. 8.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시민모임

,

https://stib.ee/iDl8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시민모임 2023년 6번째 소식지

 

stibee.com

 

'각종 매체 > 웹소식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년 8번째 웹소식지  (0) 2023.11.30
2023년 7번째 웹소식지  (0) 2023.11.03
2023년 5번째 웹소식지  (0) 2023.06.07
2023년 4번째 웹소식지  (0) 2023.03.31
2023년 3번째 소식지  (0) 2023.02.28
,

2023년 제6차 살림회의록.hwp
0.01MB
2023년 제6차 살림회의 자료.hwp
0.03MB

,

KBS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7694273&ref=A 

 

,

뉴스1 https://www.news1.kr/articles/5073761

 

광주 고등학생 30% '비만'…척추측만 등 체형불균형 심각

(광주=뉴스1) 서충섭 기자 | 광주지역 고등학생들의 비만과 척추측만 등 체형불균형이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12일 광주 교육시민단체인 '학벌 없는 사회를 위한 시민모임'에 따르면 지난해 광

www.news1.kr

 

,

노컷뉴스 https://www.nocutnews.co.kr/news/5958576

 

전남대, 광주지역 대학 中 외부업체 입점 '최다'

광주지역 대학 가운데 전남대에 가장 많은 외부업체가 입점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3일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시민모임에 따르면 광주 관내 15개 대학에 입점해 있는 외부업체는 총 89개로 이

www.nocutnews.co.kr

 

,

광주드림 http://www.gjdream.com/news/articleView.html?idxno=629253 

 

광주 ‘학교폭력’ 담당 교사 싱가포르 가는 이유 - 광주드림

광주시교육청이 학교폭력 담당 생활교사들의 생활교육 방향 정립 및 개선방안 탐색을 위해 국외연수를 추진하고 있다. 사회질서가 정립돼있는 싱가포르를 연수지로 선정하면서, 시사점을 얻고

www.gjdream.com

 

,

한겨레 https://www.hani.co.kr/arti/area/honam/1096082.html

 

광주 국공립유치원 특수학급 설치율 21%뿐…광역단체 꼴찌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시민모임 확대 촉구

www.hani.co.kr

 

,

오마이뉴스 https://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936468 

 

광주 대안교육기관 지원 조례, 통과됐으나 첨예한 갈등 예고

교육청 재의 요구 가능성 있어... 광주교육시민연대 "조례안 의결 환영, 교육청은 즉각 시행해야"

www.ohmynews.com

 

,